경기 북부지역 10개 시군을 포괄하는 의정부 노동 사무소 관할 지역의 산업재해 사망률이 경기도내 최고치를 기록했다. 2000년도 근로복지공단 요양 확정자 기준자료에 의하면, 경기도내 6개 노동사무소별 재해 중 의정부 노동 사무소 관할 지역과 안산 노동 사무소 관할지역의 재해가 가장 높은 것으로 밝혀졌다.
특히 경기도 지역 및 연도별 사망자 중 의정부 노동사무소 관할 지역의 사망자가 195명으로 사망률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나 재해사망 대책마련이 시급한 것으로 보인다.
경기도 지역 연도별 재해자는 △수원 노동사무소 3699명 △의정부 노동 사무소 3136명 △안산 노동 사무소 2402명 △성남 노동 사무소 1832명 △부천 노동 사무소 1719명 △안양 노동 사무소 1491명 순으로 나타났다.
경기도 총괄 연도별 재해자수는 총 1만4279명이고 이중 549명이 사망자다, 이로 인한 경제적 총손실은 1조1750억원에 이른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재해자수 및 중대재해자수는 해를 거듭할수록 증가한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2000년도 지역 직접보상비 통계는 수원 노동사무소가 557억원으로 가장 높았고, 의정부 노동 사무소가 506억원으로 뒤를 이었다.
근로복지공단 자료에 따르면 경기도의 재해자 1건당 직접보상비로 평균 1600만원이 지급됐는데, 이중 안양 노동사무소가 평균 2100만원으로 가장 높았으며, 부천 노동사무소는 1300만원으로 최하를 기록했다.
한편 지역별 분석 총괄 통계에 따르면 의정부 노동사무소 관할 사업장은 2만7241개로 29만9793명의 노동자가 고용돼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중 재해자가 3136명으로 재해율 1.05%을 기록했다.
특이한 것은 입사 6개월 미만자의 재해가 47%를 차지한 것이다. 한국산업안전공단 1999년도 분석자료에 따르면 97년부터 99년까지 정부 발표자료 3년간 총재해자수 17만4686명 중 입사 6개월 미만자가 8만2075명인 것으로 밝혀졌다.
이에 대해 정부는 재해예방관련 신입사원 교육 부재 원인을 들고 있지만, 민주노총에서는 사업장 주위 환경 적응 미숙을 원인으로 지적해 상반된 분석을 내놓았다.
특히 민주노총은 300인 미만 사업장 재해율 증가 원인으로 △정부의 산업안전정책 완화 △경영여건상 이유로 안전보건활동 후퇴 △노동자의 산업안전보건 일상활동 무관심을 지적했다.
한편 의정부 노동사무소 관계자는 "의정부 노동사무소가 경기북부 전지역뿐만 아니라, 철원까지 포함돼 관할 지역이 넓고, 업체 자체가 영세해 재해에 노출된 업종이 많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김성배 기자 sbkim@naeil.com
특히 경기도 지역 및 연도별 사망자 중 의정부 노동사무소 관할 지역의 사망자가 195명으로 사망률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나 재해사망 대책마련이 시급한 것으로 보인다.
경기도 지역 연도별 재해자는 △수원 노동사무소 3699명 △의정부 노동 사무소 3136명 △안산 노동 사무소 2402명 △성남 노동 사무소 1832명 △부천 노동 사무소 1719명 △안양 노동 사무소 1491명 순으로 나타났다.
경기도 총괄 연도별 재해자수는 총 1만4279명이고 이중 549명이 사망자다, 이로 인한 경제적 총손실은 1조1750억원에 이른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재해자수 및 중대재해자수는 해를 거듭할수록 증가한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2000년도 지역 직접보상비 통계는 수원 노동사무소가 557억원으로 가장 높았고, 의정부 노동 사무소가 506억원으로 뒤를 이었다.
근로복지공단 자료에 따르면 경기도의 재해자 1건당 직접보상비로 평균 1600만원이 지급됐는데, 이중 안양 노동사무소가 평균 2100만원으로 가장 높았으며, 부천 노동사무소는 1300만원으로 최하를 기록했다.
한편 지역별 분석 총괄 통계에 따르면 의정부 노동사무소 관할 사업장은 2만7241개로 29만9793명의 노동자가 고용돼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중 재해자가 3136명으로 재해율 1.05%을 기록했다.
특이한 것은 입사 6개월 미만자의 재해가 47%를 차지한 것이다. 한국산업안전공단 1999년도 분석자료에 따르면 97년부터 99년까지 정부 발표자료 3년간 총재해자수 17만4686명 중 입사 6개월 미만자가 8만2075명인 것으로 밝혀졌다.
이에 대해 정부는 재해예방관련 신입사원 교육 부재 원인을 들고 있지만, 민주노총에서는 사업장 주위 환경 적응 미숙을 원인으로 지적해 상반된 분석을 내놓았다.
특히 민주노총은 300인 미만 사업장 재해율 증가 원인으로 △정부의 산업안전정책 완화 △경영여건상 이유로 안전보건활동 후퇴 △노동자의 산업안전보건 일상활동 무관심을 지적했다.
한편 의정부 노동사무소 관계자는 "의정부 노동사무소가 경기북부 전지역뿐만 아니라, 철원까지 포함돼 관할 지역이 넓고, 업체 자체가 영세해 재해에 노출된 업종이 많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김성배 기자 sbkim@naeil.com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