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관리공단(이사장 손주석)은 29일 9243억 규모의 2007년 사업 발주 계획을 발표했다.
올해 발주할 사업 중 시설공사는 30건 8917억원, 용역 73건 245억원, 구매 72건 80억원 규모로 2006년 발주금액에 비해 약 70% 축소됐다.
이는 지난해 댐 상류 하수도시설사업(1조 1788억원)과 한강수계 하수관거 정비 2단계사업(2조 9415억원)이 모두 끝난 데다 BTL민자사업이 지난해(1조 3032억원)보다 약 45% 줄었기 때문이다.
◆“BTL민자사업 관련 용역 준비중” = 시설공사 가운데 9건(1384억 3500만원)은 사업자가 설계·시공을 모두 책임지는 설계시공일괄입찰(턴키) 방식으로, 12건(402억 9700만원)은 사업자가 시공만 담당하는 기타공사로 발주된다.
사업자가 설계·시공·자금조달·운영을 담당하는 9건(7130억원)의 BTL민자사업은 해당 지자체별로 고시된다.
특히 오는 3월 중 400억원 규모의 ‘파주·문산 하수관거 정비공사’ 발주가 계획돼 있고, 적게는 371억원에서 많게는 1334억원에 이르는 각 지자체 하수관거정비 BTL민자사업은 대부분 6월에서 9월 중 집중발주된다.
국가청렴위나 감사원 등에서 ‘예산낭비’ 지적이 많았던 턴키나 민자사업 방식의 발주가 전체 8917억 중 대부분인 8514억원에 이른다는 지적에 대해 환경관리공단 고재윤 사무처장은 “BTL민자사업은 사업물량, 추정사업비 확정을 위한 용역을 준비 중”이라며 “제반 사업참여 조건은 용역이 끝나는 5월에서 8월 중 확정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건설산업 양극화 막겠다” = 올해 턴키로 발주되는 주요 사업은 △파주시 문산 하수관거 정비(413억) △속초시 하수종말처리장 고도처리시설(156억) △고성군 토성면 하수관거 정비(133억) △삼척시 하수슬러지 및 생활폐기물 소각시설(81억) △태백시 생활폐기물 소각시설(150억) △제주도 하수슬러지 처리시설(110억) △양산시 하수슬러지 처리시설(160억) △진주시 하수슬러지 처리시설(100억) △순천시 하수슬러지 처리시설(80억) 등이다.
하수관거 BTL사업은 △원주시(1271억) △포항시(1334억) △칠곡군(982억) △문경시(966억) △울진군(853억) 등 총 9개 지자체에 대해 총 7130억원이 발주된다.
환경관리공단 김장원 관재팀장은 “건설산업 양극화를 막고 사업 신청자 사이의 경쟁을 높이기 위해 ‘대기업간 공동도급 제한’과 ‘공구분할 공사의 중복참여 배제’ 조치를 2006년에 이어 2007년에도 시행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런 제한조치가 없었던 2005년의 경우, 포스코건설 등 22개 기업이 17개 사업에 사업계획서를 제출, 이 가운데 13개 기업이 최소 1개 이상의 사업을 따냈다.
2005년 하수관거사업의 경우 사업비가 최소 200억원에서 최대 1140억원에 이르러 ‘일부 대형건설사들이 엄청난 이권이 걸린 사업을 골고루 나눠가졌다’는 비판이 제기되기도 했다.
/남준기 기자 jknam@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올해 발주할 사업 중 시설공사는 30건 8917억원, 용역 73건 245억원, 구매 72건 80억원 규모로 2006년 발주금액에 비해 약 70% 축소됐다.
이는 지난해 댐 상류 하수도시설사업(1조 1788억원)과 한강수계 하수관거 정비 2단계사업(2조 9415억원)이 모두 끝난 데다 BTL민자사업이 지난해(1조 3032억원)보다 약 45% 줄었기 때문이다.
◆“BTL민자사업 관련 용역 준비중” = 시설공사 가운데 9건(1384억 3500만원)은 사업자가 설계·시공을 모두 책임지는 설계시공일괄입찰(턴키) 방식으로, 12건(402억 9700만원)은 사업자가 시공만 담당하는 기타공사로 발주된다.
사업자가 설계·시공·자금조달·운영을 담당하는 9건(7130억원)의 BTL민자사업은 해당 지자체별로 고시된다.
특히 오는 3월 중 400억원 규모의 ‘파주·문산 하수관거 정비공사’ 발주가 계획돼 있고, 적게는 371억원에서 많게는 1334억원에 이르는 각 지자체 하수관거정비 BTL민자사업은 대부분 6월에서 9월 중 집중발주된다.
국가청렴위나 감사원 등에서 ‘예산낭비’ 지적이 많았던 턴키나 민자사업 방식의 발주가 전체 8917억 중 대부분인 8514억원에 이른다는 지적에 대해 환경관리공단 고재윤 사무처장은 “BTL민자사업은 사업물량, 추정사업비 확정을 위한 용역을 준비 중”이라며 “제반 사업참여 조건은 용역이 끝나는 5월에서 8월 중 확정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건설산업 양극화 막겠다” = 올해 턴키로 발주되는 주요 사업은 △파주시 문산 하수관거 정비(413억) △속초시 하수종말처리장 고도처리시설(156억) △고성군 토성면 하수관거 정비(133억) △삼척시 하수슬러지 및 생활폐기물 소각시설(81억) △태백시 생활폐기물 소각시설(150억) △제주도 하수슬러지 처리시설(110억) △양산시 하수슬러지 처리시설(160억) △진주시 하수슬러지 처리시설(100억) △순천시 하수슬러지 처리시설(80억) 등이다.
하수관거 BTL사업은 △원주시(1271억) △포항시(1334억) △칠곡군(982억) △문경시(966억) △울진군(853억) 등 총 9개 지자체에 대해 총 7130억원이 발주된다.
환경관리공단 김장원 관재팀장은 “건설산업 양극화를 막고 사업 신청자 사이의 경쟁을 높이기 위해 ‘대기업간 공동도급 제한’과 ‘공구분할 공사의 중복참여 배제’ 조치를 2006년에 이어 2007년에도 시행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런 제한조치가 없었던 2005년의 경우, 포스코건설 등 22개 기업이 17개 사업에 사업계획서를 제출, 이 가운데 13개 기업이 최소 1개 이상의 사업을 따냈다.
2005년 하수관거사업의 경우 사업비가 최소 200억원에서 최대 1140억원에 이르러 ‘일부 대형건설사들이 엄청난 이권이 걸린 사업을 골고루 나눠가졌다’는 비판이 제기되기도 했다.
/남준기 기자 jknam@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