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학규 전 경기지사가 2월10일자 동아일보 ‘손학규씨 변신하나’ 제하의 사설을 비판하며, “대북포용정책(햇볕정책)은 폐기의 대상이 아니라 계승, 발전시켜야 할 정책”이라고 다시 한번 강조했다. 그는 또 “햇볕정책에 대한 소신이 바뀐 것이 아니라 경기도지사 시절부터 일관되게 지켜온 원칙”이라고 설명했다.
손 지사는 ‘김학준 동아일보 발행인 겸 편집인에게 드리는 글’을 통해 “진의를 왜곡하고 발언의 취지를 폄훼한데 대해서 유감을 금할 수 없다”고 밝혔다. 사설에서 ‘갑자기 김대중 전 대통령의 햇볕정책을 옹호하고 나섰다’며 ‘소신이 바뀐 것인지, 정치적 계산 탓인지 혼란스럽다’고 한 부분에 대해 “김대중 전 대통령의 집권 시절부터 줄 곳, 제가 야당의 위치에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햇볕정책을 공개적으로 지지해 왔다”며 “갑자기 옹호하고 나선 것이 아니라 대북포용정책이 북한사회를 개혁 개방으로 이끌고, 이것이 결국 남북통일의 기반을 구축하는 길이라고 믿고 있다”고 반박했다.
또 사설에서 ‘여론의 지지도가 크게 뒤지는 상황에서 차별화를 통해 자신의 존재를 부각하려는 안간힘을 이해 못할 바는 아니다’ (중략) ‘하지만 아무리 다급해도 대북문제에 그런 식으로 접근해서는 곤란하다’는 사설 내용에 대해서도 “발언취지를 폄훼하고 모멸적인 표현”이라고 비판했다.
손 전 지사는 “6자회담이 타결될 경우 주변국들이 평화체제구축 프로세스에 들어서고 북한에 대한 경제적 지원에 대한 논의가 본격화될 것인 바, 이때를 대비해 우리의 역할을 준비하지 않으면 안 된다는 것이 저의 생각”이라며 “우리가 적극적으로 역할하지 않으면 북한 경제개발의 주도권은 다른 나라로 넘어가고 북한은 다른 나라에 더 의존하게 될 염려가 크다”고 설명했다. “대북포용정책(햇볕정책)은 폐기의 대상이 아니라 계승, 발전시켜야 할 정책”이라는 것이다.
한편 손 전 지사가 ‘북핵 실험’ 후 ‘대북강경기조’를 밝힌 것은 햇볕정책의 기조와 어긋난 것으로 ‘혼선’으로 받아들일 소지가 충분하다는 게 일반적인 시각이다.
백왕순 기자 wspaik@naeil.co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손 지사는 ‘김학준 동아일보 발행인 겸 편집인에게 드리는 글’을 통해 “진의를 왜곡하고 발언의 취지를 폄훼한데 대해서 유감을 금할 수 없다”고 밝혔다. 사설에서 ‘갑자기 김대중 전 대통령의 햇볕정책을 옹호하고 나섰다’며 ‘소신이 바뀐 것인지, 정치적 계산 탓인지 혼란스럽다’고 한 부분에 대해 “김대중 전 대통령의 집권 시절부터 줄 곳, 제가 야당의 위치에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햇볕정책을 공개적으로 지지해 왔다”며 “갑자기 옹호하고 나선 것이 아니라 대북포용정책이 북한사회를 개혁 개방으로 이끌고, 이것이 결국 남북통일의 기반을 구축하는 길이라고 믿고 있다”고 반박했다.
또 사설에서 ‘여론의 지지도가 크게 뒤지는 상황에서 차별화를 통해 자신의 존재를 부각하려는 안간힘을 이해 못할 바는 아니다’ (중략) ‘하지만 아무리 다급해도 대북문제에 그런 식으로 접근해서는 곤란하다’는 사설 내용에 대해서도 “발언취지를 폄훼하고 모멸적인 표현”이라고 비판했다.
손 전 지사는 “6자회담이 타결될 경우 주변국들이 평화체제구축 프로세스에 들어서고 북한에 대한 경제적 지원에 대한 논의가 본격화될 것인 바, 이때를 대비해 우리의 역할을 준비하지 않으면 안 된다는 것이 저의 생각”이라며 “우리가 적극적으로 역할하지 않으면 북한 경제개발의 주도권은 다른 나라로 넘어가고 북한은 다른 나라에 더 의존하게 될 염려가 크다”고 설명했다. “대북포용정책(햇볕정책)은 폐기의 대상이 아니라 계승, 발전시켜야 할 정책”이라는 것이다.
한편 손 전 지사가 ‘북핵 실험’ 후 ‘대북강경기조’를 밝힌 것은 햇볕정책의 기조와 어긋난 것으로 ‘혼선’으로 받아들일 소지가 충분하다는 게 일반적인 시각이다.
백왕순 기자 wspaik@naeil.co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