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경기가 다소 회복되면서 조세수입이 크게 늘었다. 당초 예산보다 2조6000억원이나 더 걷힌 것으로 집계됐다. 순잉여금도 소폭 증가했다.
재정경제부는 12일 감사원 편호범 감사위원이 참석한 가운데 국가재정정보시스템(NAFIS)을 통해 `정부 2006회계연도 총세입부와 총세출부`를 마감했다.
작년 일반회계 세입은 147조9000억원, 세출은 144조8000억원으로 결산상 잉여금이 3조원 발생했다. 이 가운데 다음해로 이월되는 1조7000억원을 제외한 순잉여금은 1조4000억원이었다.
일반회계 순잉여금은 지난해 1조2000억원에 비해 1000억원 증가했다. 세입은 당초 예산에서 목표했던 147조원에 비해 9000억원 증가했는데, 이는 조세수입이 예산보다 2조6000억원 더 걷혔기 때문이다.
내국세가 예산대비 4조4000억원, 관세가 4000억원, 종합부동산세가 3000억원 각각 더 걷혔다. 반면 교통세는 2조1000억원 줄었다.
또 추경예산 편성에도 불구하고 정부가 국채발행 규모를 1조3000억원 줄였고 유가증권 매각 유보 등 재정을 탄력적으로 운용한 것도 한 몫했다.
세출의 경우 미래성장동력 확충과 양극화 완화 등에 초점을 맞춰 144조8000억원을 지출했는데, 이는 예산에 비해 2.2% 적은 규모였다. 경제개발에 30조1000억원이 쓰여 전체 세출가운데 가장 높은 20.8%의 구성비를 보였고, 교육비가 28조5000억원(19.6%), 방위비가 23조4000억원(16.2%), 지방재정교부금이 21조4000억원(14.8%)으로 그 뒤를 이었다.
/고병수 기자 byng8@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재정경제부는 12일 감사원 편호범 감사위원이 참석한 가운데 국가재정정보시스템(NAFIS)을 통해 `정부 2006회계연도 총세입부와 총세출부`를 마감했다.
작년 일반회계 세입은 147조9000억원, 세출은 144조8000억원으로 결산상 잉여금이 3조원 발생했다. 이 가운데 다음해로 이월되는 1조7000억원을 제외한 순잉여금은 1조4000억원이었다.
일반회계 순잉여금은 지난해 1조2000억원에 비해 1000억원 증가했다. 세입은 당초 예산에서 목표했던 147조원에 비해 9000억원 증가했는데, 이는 조세수입이 예산보다 2조6000억원 더 걷혔기 때문이다.
내국세가 예산대비 4조4000억원, 관세가 4000억원, 종합부동산세가 3000억원 각각 더 걷혔다. 반면 교통세는 2조1000억원 줄었다.
또 추경예산 편성에도 불구하고 정부가 국채발행 규모를 1조3000억원 줄였고 유가증권 매각 유보 등 재정을 탄력적으로 운용한 것도 한 몫했다.
세출의 경우 미래성장동력 확충과 양극화 완화 등에 초점을 맞춰 144조8000억원을 지출했는데, 이는 예산에 비해 2.2% 적은 규모였다. 경제개발에 30조1000억원이 쓰여 전체 세출가운데 가장 높은 20.8%의 구성비를 보였고, 교육비가 28조5000억원(19.6%), 방위비가 23조4000억원(16.2%), 지방재정교부금이 21조4000억원(14.8%)으로 그 뒤를 이었다.
/고병수 기자 byng8@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