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학생의 학교생활 적응을 지원하기 위해 특수교육보조원 배치가 대폭 확대된다.
교육인적자원부는 20일 3월 2일 새학기 개학에 맞춰 특수교육보조원 4016명을 전국 특수학교와 장애학생이 재학하고 있는 유치원 및 초·중·고등학교에 배치한다고 발표했다. 이는 시·도교육청을 통해 조사한 수요인원 4774명의 84% 수준이다.
특수교육보조원 배치는 특수교육 대상학생들이 겪는 학교생활의 어려움을 해소하고, 원활한 학습활동을 지원하기 위해 2004년 1952명으로 시작했다. 2005년에는 2250명, 2006년에는 2413명 등 꾸준히 배치 인원이 증가했다.
교육부는 일반학교의 일반학급, 특수학급, 특수학교의 특수교육 대상학생들 중에서 장애 정도가 무거운 중도·중복 장애학생이 있는 학급부터 우선적으로 특수교육보조원을 배치할 계획이다.
자격조건은 ‘고등학교 졸업이상의 학력을 소지한 자’이며 학교장이 채용공고 후 채용하게 된다. 채용되면 지역교육청 또는 학교별로 특수교육에 대한 자체연수를 이수한 후 각 학급에 배치된다. 담당 업무는 장애학생의 학습자료 준비, 제작 등의 학습보조, 신변처리, 건강 및 안전생활 지원과 이동보조, 학생활동 보조 등 특수교사들의 교수·학습 활동을 보조하게 되며, 신분은 학교회계계약직으로 보수는 연 1200만원 수준이다.
한편 2006년 4월 현재 특수학교와 일반학교에 다니는 특수교육 대상학생은 6만2538명이며 특수교사는 1만1259명이다.
교육부는 장애학생의 학내 이동과 학습활동의 편의를 위해 2006년부터 2009년까지 복권기금 총 945억원을 투입해 특수학급이 설치된 일반학교에 승강기, 경사로, 주출입구 접근로, 주출입구 높이 차이 제거, 화장실, 장애인 주차구역 등의 장애인 편의시설을 설치하고 있다.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교육인적자원부는 20일 3월 2일 새학기 개학에 맞춰 특수교육보조원 4016명을 전국 특수학교와 장애학생이 재학하고 있는 유치원 및 초·중·고등학교에 배치한다고 발표했다. 이는 시·도교육청을 통해 조사한 수요인원 4774명의 84% 수준이다.
특수교육보조원 배치는 특수교육 대상학생들이 겪는 학교생활의 어려움을 해소하고, 원활한 학습활동을 지원하기 위해 2004년 1952명으로 시작했다. 2005년에는 2250명, 2006년에는 2413명 등 꾸준히 배치 인원이 증가했다.
교육부는 일반학교의 일반학급, 특수학급, 특수학교의 특수교육 대상학생들 중에서 장애 정도가 무거운 중도·중복 장애학생이 있는 학급부터 우선적으로 특수교육보조원을 배치할 계획이다.
자격조건은 ‘고등학교 졸업이상의 학력을 소지한 자’이며 학교장이 채용공고 후 채용하게 된다. 채용되면 지역교육청 또는 학교별로 특수교육에 대한 자체연수를 이수한 후 각 학급에 배치된다. 담당 업무는 장애학생의 학습자료 준비, 제작 등의 학습보조, 신변처리, 건강 및 안전생활 지원과 이동보조, 학생활동 보조 등 특수교사들의 교수·학습 활동을 보조하게 되며, 신분은 학교회계계약직으로 보수는 연 1200만원 수준이다.
한편 2006년 4월 현재 특수학교와 일반학교에 다니는 특수교육 대상학생은 6만2538명이며 특수교사는 1만1259명이다.
교육부는 장애학생의 학내 이동과 학습활동의 편의를 위해 2006년부터 2009년까지 복권기금 총 945억원을 투입해 특수학급이 설치된 일반학교에 승강기, 경사로, 주출입구 접근로, 주출입구 높이 차이 제거, 화장실, 장애인 주차구역 등의 장애인 편의시설을 설치하고 있다.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