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안에 황우석 사태 이후 1년 이상 논란이 돼왔던 생명윤리법이 개정이 추진된다. 또 이를 위해 그동안 윤리문제 등으로 논란을 거듭해온 체세포 복제배아 연구 허용 범위가 다음 달 중으로 확정된다.
정부는 22일 오전 서울 소공동 롯데호텔에서 김우식 부총리 겸 과학기술부 장관주재로 제22회 과학기술관계장관회의를 열어 ‘줄기세포 연구 현황 및 향후 추진방향’등 5개 안건을 심의·확정했다.
박종구 과학기술혁신본부장은 회의에 앞서 가진 기자회견을 통해 “체세포 복제배아연구의 허용범위를 3월까지 결론지을 방침”이라며 “줄기세포주 연구를 배아연구와 구분하여 별도 관리체계를 마련하는 등 규제합리화를 위한 생명윤리법 개정을 연내에 마무리해 줄기세포연구에 차질이 없도록 뒷받침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그동안 과학계에서는 ‘황우석 법’이라고 불렸던 생명윤리법이 정비되지 않아 배아복제 연구가 사실상 불가능하다며 빠른 제도 정비를 요구해 왔다.
과기부에 따르면 국가생명윤리심의위원회는 지난달 19일 서울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간담회에서 체세포 복제배아 연구 허용과 관련해 ‘제한적 허용’과 ‘한시적 금지’ 등 2개 방안을 놓고 격론을 벌였으나 합의점을 찾지 못했다. 이에 국가생명위는 3월 중 전체회의를 열어 체세포 복제배아 연구의 허용범위에 관해 최종적으로 결론짓기로 했다 .
한편 정부는 지난해 5월 ‘줄기세포연구 종합 추진계획’을 수립한데 이어 올해는 310억원 이상을 투자하기로 하는 등 줄기세포 연구 활성화를 위해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고성수 기자 ssgo@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정부는 22일 오전 서울 소공동 롯데호텔에서 김우식 부총리 겸 과학기술부 장관주재로 제22회 과학기술관계장관회의를 열어 ‘줄기세포 연구 현황 및 향후 추진방향’등 5개 안건을 심의·확정했다.
박종구 과학기술혁신본부장은 회의에 앞서 가진 기자회견을 통해 “체세포 복제배아연구의 허용범위를 3월까지 결론지을 방침”이라며 “줄기세포주 연구를 배아연구와 구분하여 별도 관리체계를 마련하는 등 규제합리화를 위한 생명윤리법 개정을 연내에 마무리해 줄기세포연구에 차질이 없도록 뒷받침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그동안 과학계에서는 ‘황우석 법’이라고 불렸던 생명윤리법이 정비되지 않아 배아복제 연구가 사실상 불가능하다며 빠른 제도 정비를 요구해 왔다.
과기부에 따르면 국가생명윤리심의위원회는 지난달 19일 서울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간담회에서 체세포 복제배아 연구 허용과 관련해 ‘제한적 허용’과 ‘한시적 금지’ 등 2개 방안을 놓고 격론을 벌였으나 합의점을 찾지 못했다. 이에 국가생명위는 3월 중 전체회의를 열어 체세포 복제배아 연구의 허용범위에 관해 최종적으로 결론짓기로 했다 .
한편 정부는 지난해 5월 ‘줄기세포연구 종합 추진계획’을 수립한데 이어 올해는 310억원 이상을 투자하기로 하는 등 줄기세포 연구 활성화를 위해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고성수 기자 ssgo@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