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성공단은 경제적, 안보적 가치와 함께 북한 사회의 변화를 이끌고 있다는 평가도 받고 있다.
공단 사업을 통해 북한 근로자들이 시장경제 제도를 이해하면서 개방에 대한 필요성도 높아진다는 것이다. 사회주의 경제체제에서는 상상할 수 없는 성과급 제도를 요구하는 것이나, 북한 관리인력이 자본주의 세무회계 교육을 자청하는 일은 이런 변화를 반증하고 있다.
통일부 관계자는 “케도(KEDO)사업을 진행할 당시 북측이 갑자기 임금인상을 요구하거나 인근에서 조달하던 식재료 가격의 인상을 요구해 당황했던 적이 많았다”며 “개성공단 사업의 경우 이런 요구가 거의 없다는 점은 고무적이다”고 말했다.
외국인의 개성공단 방문을 전면 불허했던 것과는 달리 2005년 6월부터 외국 기업인과 외신기자들이 방문을 허용했다.
특히 800만평 규모의 개성공단 사업이 완료되면 35만명의 북측 인력이 채용되어야 하는 만큼 공단사업의 영향력은 개성인근 지역뿐만 아니라 북한 사회 전체로 파급될 가능성이 높다. 남북의 사회·문화적 차이뿐만 아니라 경제제도의 차이에서 오는 이질감을 극복할 수 있는 중요 거점이라는 것이다.
지난 9일 개성공단을 방문한 국제신용평가기관인 무디스(Moody''''s)의 국가신용평가팀 토머스 번 국장이 “개성공단이 원래 계획대로 2단계, 3단계로 확장되면 꽤 큰 사업으로 발전할 수 있다”며 “그렇게 되면 북한 경제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한 배경이기도 하다.
/허신열 기자 syheo@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공단 사업을 통해 북한 근로자들이 시장경제 제도를 이해하면서 개방에 대한 필요성도 높아진다는 것이다. 사회주의 경제체제에서는 상상할 수 없는 성과급 제도를 요구하는 것이나, 북한 관리인력이 자본주의 세무회계 교육을 자청하는 일은 이런 변화를 반증하고 있다.
통일부 관계자는 “케도(KEDO)사업을 진행할 당시 북측이 갑자기 임금인상을 요구하거나 인근에서 조달하던 식재료 가격의 인상을 요구해 당황했던 적이 많았다”며 “개성공단 사업의 경우 이런 요구가 거의 없다는 점은 고무적이다”고 말했다.
외국인의 개성공단 방문을 전면 불허했던 것과는 달리 2005년 6월부터 외국 기업인과 외신기자들이 방문을 허용했다.
특히 800만평 규모의 개성공단 사업이 완료되면 35만명의 북측 인력이 채용되어야 하는 만큼 공단사업의 영향력은 개성인근 지역뿐만 아니라 북한 사회 전체로 파급될 가능성이 높다. 남북의 사회·문화적 차이뿐만 아니라 경제제도의 차이에서 오는 이질감을 극복할 수 있는 중요 거점이라는 것이다.
지난 9일 개성공단을 방문한 국제신용평가기관인 무디스(Moody''''s)의 국가신용평가팀 토머스 번 국장이 “개성공단이 원래 계획대로 2단계, 3단계로 확장되면 꽤 큰 사업으로 발전할 수 있다”며 “그렇게 되면 북한 경제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한 배경이기도 하다.
/허신열 기자 syheo@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