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성 제암리 성역화 사업 본격화
2010년까지 범종교적 순국기념관 신축 문화재청·경기도·화성시 공동 추진
지역내일
2007-03-07
(수정 2007-03-07 오후 10:22:28)
3.1 운동에 대한 보복으로 주민 30여명이 집단 학살됐던 경기도 화성시 제암리 유적지에 대한 정부차원의 성역화 사업이 본격화된다. 최근 공개된 우쓰노미야 다로 조선군사령관의 일기를 통해 제암리 집단 학살 사건이 철저히 조작, 은폐됐던 것으로 드러나 성역화 사업에 대한 관심을 더욱 고조시키고 있다.
우쓰노미아 대장이 일기에서 밝힌 대로 당시 일본군경은 화성 발안지역에서 일어난 만세운동에 주도적 역할을 했던 제암리 교회를 보복하기 위해 4월 15일 제암리 교회에 주민들을 모이게 한 후 교회에 불을 지르고 무차별 총격을 가해 20명이 넘는 주민들을 학살했다. 이어 일본군경은 제암리 가옥 30여채를 불태우고 고주리에서 6명을 살해하는 만행을 저질렀다. 시신마저 주민들의 접근이 통제돼 캐나다 선교사 스코필드 박사가 불탄 교회에서 유골을 수습할 때까지 장기간 방치됐다.
이 때문에 제암리는 3.1 운동의 대표적인 성지로 자리잡았고 1982년에는 제암리 학살 현장이 사적 299호로 지정됐다. 매년 3.1절 기념 행사 때마다 주민들이 참여한 가운데 화성시 향남읍사무소∼발안장터∼제암리의 4㎞ 구간에서 ‘만세 재현’운동이 열리고 있다.
화성시의 성역화 사업은 지난 82년부터 시작됐다. 공동묘지 입구에 묻혀 있던 유해를 발굴해 새롭게 묘역을 조성하고 93년에는 3.1 운동 정신교육관을 건립했다. 2001년까지 38억원을 들여 순국기념관을 건립했고 공원 조성을 위해 지난해 말까지 토지 1350평에 대한 매입을 완료했다.
하지만 순국기념관 부지를 제공한 기독교 측의 교회가 기념관 안에 들어서자 지난 2000년부터 천도교와 유족회는 특정 교단의 성지로 바뀌었다며 새로운 순국기념관의 건립을 요구해왔다. 유족회에 따르면 제암리 사건 희생자 29명 중 천도교인이 무려 17명에 달한다.
제암리 학살사건 유족회 안용응(65) 회장은 “제암리 교회 건물을 순국기념관 보다 크게 해도 상관없지만 기념관은 따로 있어야 한다”이라며 “정부 차원에서 성역화 사업을 한다면 순국기념관이 역사적 사실에 맞게 범종교적인 기념관이 돼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현 기념관은 지하 1층과 1층을 전시실과 기념관으로 사용하고 2층은 교회로 이용하고 있다.
범종교적 순국기념관 건립은 지난해 3월 문화재청장이 제암리를 방문하면서 물꼬가 터졌다. 정부와 경기도, 화성시는 오는 2010년까지 70억원을 투입, 순국기념관을 신축하고 공원 조성을 완료할 방침이다. 우선 내년까지 21억원을 확보, 현 순국기념관 일대를 공원화하고 정신교육관 리모델링과 함께 주차장 등이 조성된다. 또 2단계로 49억원을 들인 새로운 순국기념관이 건립된다.
그러나 성역화 사업이 순탄하게 전개될지는 미지수다. 당장 올해에 확보된 예산이 4억7000만원 밖에 안된다. 실제 설계에 들어가면 사업비가 늘어날 것으로 보여 정부의 의지가 없으면 사업이 표류할 수도 있다.
시 관계자는 “공원 조성만으로 끝내려 했던 성역화 사업이 정부가 개입하면서 새로운 순국기념관 건립으로 커졌다”며 “결국 얼마나 제 때 국비가 확보되느냐에 따라 사업이 좌우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선상원 기자 won@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우쓰노미아 대장이 일기에서 밝힌 대로 당시 일본군경은 화성 발안지역에서 일어난 만세운동에 주도적 역할을 했던 제암리 교회를 보복하기 위해 4월 15일 제암리 교회에 주민들을 모이게 한 후 교회에 불을 지르고 무차별 총격을 가해 20명이 넘는 주민들을 학살했다. 이어 일본군경은 제암리 가옥 30여채를 불태우고 고주리에서 6명을 살해하는 만행을 저질렀다. 시신마저 주민들의 접근이 통제돼 캐나다 선교사 스코필드 박사가 불탄 교회에서 유골을 수습할 때까지 장기간 방치됐다.
이 때문에 제암리는 3.1 운동의 대표적인 성지로 자리잡았고 1982년에는 제암리 학살 현장이 사적 299호로 지정됐다. 매년 3.1절 기념 행사 때마다 주민들이 참여한 가운데 화성시 향남읍사무소∼발안장터∼제암리의 4㎞ 구간에서 ‘만세 재현’운동이 열리고 있다.
화성시의 성역화 사업은 지난 82년부터 시작됐다. 공동묘지 입구에 묻혀 있던 유해를 발굴해 새롭게 묘역을 조성하고 93년에는 3.1 운동 정신교육관을 건립했다. 2001년까지 38억원을 들여 순국기념관을 건립했고 공원 조성을 위해 지난해 말까지 토지 1350평에 대한 매입을 완료했다.
하지만 순국기념관 부지를 제공한 기독교 측의 교회가 기념관 안에 들어서자 지난 2000년부터 천도교와 유족회는 특정 교단의 성지로 바뀌었다며 새로운 순국기념관의 건립을 요구해왔다. 유족회에 따르면 제암리 사건 희생자 29명 중 천도교인이 무려 17명에 달한다.
제암리 학살사건 유족회 안용응(65) 회장은 “제암리 교회 건물을 순국기념관 보다 크게 해도 상관없지만 기념관은 따로 있어야 한다”이라며 “정부 차원에서 성역화 사업을 한다면 순국기념관이 역사적 사실에 맞게 범종교적인 기념관이 돼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현 기념관은 지하 1층과 1층을 전시실과 기념관으로 사용하고 2층은 교회로 이용하고 있다.
범종교적 순국기념관 건립은 지난해 3월 문화재청장이 제암리를 방문하면서 물꼬가 터졌다. 정부와 경기도, 화성시는 오는 2010년까지 70억원을 투입, 순국기념관을 신축하고 공원 조성을 완료할 방침이다. 우선 내년까지 21억원을 확보, 현 순국기념관 일대를 공원화하고 정신교육관 리모델링과 함께 주차장 등이 조성된다. 또 2단계로 49억원을 들인 새로운 순국기념관이 건립된다.
그러나 성역화 사업이 순탄하게 전개될지는 미지수다. 당장 올해에 확보된 예산이 4억7000만원 밖에 안된다. 실제 설계에 들어가면 사업비가 늘어날 것으로 보여 정부의 의지가 없으면 사업이 표류할 수도 있다.
시 관계자는 “공원 조성만으로 끝내려 했던 성역화 사업이 정부가 개입하면서 새로운 순국기념관 건립으로 커졌다”며 “결국 얼마나 제 때 국비가 확보되느냐에 따라 사업이 좌우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선상원 기자 won@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