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도 횡성의 자립형 사립고교인 민족사관고등학교(교장 이돈희)가 교육의 지역 편중현상을 막고 전국에서 미래 지도자감을 골고루 뽑기 위해 지역균형 선발제도를 마련해 2008학년도 신입생 선발 전형부터 적용할 계획이라고 15일 밝혔다.
지역균형 선발제도는 이미 서울대에서 실시하고 있으나 고등학교에서 이를 도입하는 것은 민사고가 처음이다.
민사고의 지역균형 선발제도에 따르면 2008학년도 신입생 150명 가운데 50%인 75명은 현행대로 전국단위의 자유경쟁으로 선발하고 나머지 50%는 지역별 중학생 수를 고려해 지역별로 선발인원을 배정했다.
이에 따라 서울시와 경기도는 각각 7명이 배정됐다. 부산과 대구 그리고 인천광역시에 각각 5명을, 광주와 대전 그리고 울산광역시에 각각 4명의 신입생을 배정했다.
또 경남과 경북은 각각 5명, 충남·충북·전남· 전북 등의 자치단체에는 각각 4명씩을 배정했다.
이 외에도 제주도가 2명, 민사고가 소재한 강원도가 6명을 배정받았다.
민족사관고는 해당 지역에서 배정한 신입생이 나오지 않거나 모두 채우지 못할 경우에는 전국단위 자유경쟁을 통해 충원된다고 덧붙였다.
즉, 지역별로 정해진 숫자를 무조건 합격시키는 지역할당제와 달리 민사고의 지역균형 선발제도는 모집 정원의 2배수를 뽑는 영재판별검사를 통과한 수험생이 없으면 그 숫자 만큼 전국단위 경쟁선발을 통해 충원한다.
민족사관고의 올해 신입생 합격자 분포를 보면 전체 155명 가운데 서울지역 중학교 출신이 76명(49%), 경기지역 출신이 49명(31.6%)로 80% 이상을 수도권 학생들이 차지했다.
민족사관고 관계자는 “서울과 경기, 특히 강남출신 학생들의 입학이 초강세를 보이면서 지역별 빈익빈 부익부 현상이 심화되고 있다는 지적에 따라 지역균형 선발제도를 도입하게 됐다”며 “해당 지역에서 우수한 학생을 배출해 배정된 신입생 수를 모두 채워 주길 바란다”고 말했다.
장세풍 기자 spjang@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지역균형 선발제도는 이미 서울대에서 실시하고 있으나 고등학교에서 이를 도입하는 것은 민사고가 처음이다.
민사고의 지역균형 선발제도에 따르면 2008학년도 신입생 150명 가운데 50%인 75명은 현행대로 전국단위의 자유경쟁으로 선발하고 나머지 50%는 지역별 중학생 수를 고려해 지역별로 선발인원을 배정했다.
이에 따라 서울시와 경기도는 각각 7명이 배정됐다. 부산과 대구 그리고 인천광역시에 각각 5명을, 광주와 대전 그리고 울산광역시에 각각 4명의 신입생을 배정했다.
또 경남과 경북은 각각 5명, 충남·충북·전남· 전북 등의 자치단체에는 각각 4명씩을 배정했다.
이 외에도 제주도가 2명, 민사고가 소재한 강원도가 6명을 배정받았다.
민족사관고는 해당 지역에서 배정한 신입생이 나오지 않거나 모두 채우지 못할 경우에는 전국단위 자유경쟁을 통해 충원된다고 덧붙였다.
즉, 지역별로 정해진 숫자를 무조건 합격시키는 지역할당제와 달리 민사고의 지역균형 선발제도는 모집 정원의 2배수를 뽑는 영재판별검사를 통과한 수험생이 없으면 그 숫자 만큼 전국단위 경쟁선발을 통해 충원한다.
민족사관고의 올해 신입생 합격자 분포를 보면 전체 155명 가운데 서울지역 중학교 출신이 76명(49%), 경기지역 출신이 49명(31.6%)로 80% 이상을 수도권 학생들이 차지했다.
민족사관고 관계자는 “서울과 경기, 특히 강남출신 학생들의 입학이 초강세를 보이면서 지역별 빈익빈 부익부 현상이 심화되고 있다는 지적에 따라 지역균형 선발제도를 도입하게 됐다”며 “해당 지역에서 우수한 학생을 배출해 배정된 신입생 수를 모두 채워 주길 바란다”고 말했다.
장세풍 기자 spjang@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