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의 건강·경제성 따지는 식목행사
전성군 농협중앙교육원 교수, 경제학박사(HP : 011-9782-6292)
매년 식목일이면, 대대적인 나무심기 행사가 전개된다. 현 식목일은 신라가 삼국 통일을 이룬 날과 조선의 성종이 선농단에서 직접 논을 경작한 날(양력 4월 5일)에 맞춰 1946년에 제정됐다. 일제 때는 4월3일로 지정됐다가, 1960년에는 식목일을‘사방(砂防)의 날’로 대체하여 3월 15일로 지정하는 등 몇 번 날짜가 바뀌었다가 다시 4월5일로 확정된 후 오늘에 이르렀다.
여기서 식목일은 나무를 우리나라 강산에 번성시키는 날인 까닭에 4월 5일이라는 단순한 날짜와는 아무런 관계가 없다. 그런데도 역사적 상징성 때문에 기상상황에 맞추지 않고, 국가적으로 4월5일에 나무를 심는 것은 모순이다.
근래 지구 온난화 현상으로 땅이 일찍 녹고, 나무의 새순도 빨리 싹트는 현상이 해가 지날수록 뚜렷해지고 있다. 요즘의 4월 초순에는 이미 새싹이 돋아있어 그때 나무를 식수하게 되면 활착력이 좋지 않아 생존력도 떨어지게 된다. 이는 지금의 식목일이 한반도 기후변화와 이에 따른 상태변화를 따라가지 못하는 이유에서다.
3월 중순쯤이면 나무의 싹이 나기 전단계로, 나무 속 수액의 이동이 멈춰 있어서, 그때 식수하게 되면 뿌리 활착력이 좋아지고 수목의 생존력도 높아진다. 이때가 나무심기의 적기다. 즉 잎눈이 트고 물오름이 시작되기 전에 심어야 나무가 제대로 뿌리를 내려 생존율이 높다
이제는 보여주기 식 행사가 아닌,
먼저 나무의 건강을 생각하는 식목행사가 중요하다. 올해만 해도 평년 기온이 예년보다 높아 대부분 남부지역에서는 나무 심기를 끝냈거나 현재 마무리 중이며, 중부지방의 경우도 현 식목일보다 보름 정도 앞당겨 식목행사를 실시하는 곳이 많다. 따라서 새싹이 돋기 전 3월 중순으로 식목일을 앞당겨야만, 나무가 건강하게 자랄 수 있다.
다음으로 산에 나무를 심을 때는 혼식(混植)이 나무의 경제성을 보장할 수 있다. 혼식이란 다양한 수종으로 큰 나무 사이에 중간 크기 나무와 작은 식물을 함께 섞어 심는 방식이다.
실제로 강원 홍천읍 김윤재 씨는 나무와 함께 5천여 평에 표고버섯, 산더덕 등혼식경영으로 8천만원대 고소득을 올리고 있으며, 경북 경산시 용성면 동아임장 대표인 함번웅 씨도 30만 평의 산에서 연간 1억원대 소득을 올리고 있다. 10년 이상 자라야 수익을 내는 장기 수종과 5, 6년이면 수익을 내는 중기 수종, 2, 3년 만에 소득이 가능한 단기 수종을 함께 심은 덕택이다.
느티나무 물푸레나무 등 수십 년이 지나야 수익을 낼 수 있는 장기 수종 사이에 산수유 살구나무 오갈피나무 오미자나무 등의 중간 크기 나무를 함께 심으면 그만큼 경제성이 높아진다. 그리고 나무 밑에는 고사리 질경이 쇠비름 등 각종 식물을 심은 후 고사리를 수확해 수익을 내기도 하고 숲의 양분 공급원으로도 삼았다. 이처럼 혼식은 제한된 공간을 입체적으로 활용할 수 있게 한다.
이처럼 상품 가치가 높은 나무를 심고 다양한 산채를 함께 재배하는 산림복합경영으로 높은 소득을 올리는 산촌 주민들이 늘고 있는 추세다.
이제는 나무을 심을 때도 나무의 건강과 경제성을 꼼꼼히 따져야 한다. 기상상황에 맞추지 않고, 4월 5일이라는 단순한 날짜에 맞춰 의례적으로 나무를 이 심으면 된다는 생각과 편식 위주의 나무 심기 방식에서 벗어나야만 나무도 건강하게 자라고, 산림의 경제성도 보장해 줄 것이다.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전성군 농협중앙교육원 교수, 경제학박사(HP : 011-9782-6292)
매년 식목일이면, 대대적인 나무심기 행사가 전개된다. 현 식목일은 신라가 삼국 통일을 이룬 날과 조선의 성종이 선농단에서 직접 논을 경작한 날(양력 4월 5일)에 맞춰 1946년에 제정됐다. 일제 때는 4월3일로 지정됐다가, 1960년에는 식목일을‘사방(砂防)의 날’로 대체하여 3월 15일로 지정하는 등 몇 번 날짜가 바뀌었다가 다시 4월5일로 확정된 후 오늘에 이르렀다.
여기서 식목일은 나무를 우리나라 강산에 번성시키는 날인 까닭에 4월 5일이라는 단순한 날짜와는 아무런 관계가 없다. 그런데도 역사적 상징성 때문에 기상상황에 맞추지 않고, 국가적으로 4월5일에 나무를 심는 것은 모순이다.
근래 지구 온난화 현상으로 땅이 일찍 녹고, 나무의 새순도 빨리 싹트는 현상이 해가 지날수록 뚜렷해지고 있다. 요즘의 4월 초순에는 이미 새싹이 돋아있어 그때 나무를 식수하게 되면 활착력이 좋지 않아 생존력도 떨어지게 된다. 이는 지금의 식목일이 한반도 기후변화와 이에 따른 상태변화를 따라가지 못하는 이유에서다.
3월 중순쯤이면 나무의 싹이 나기 전단계로, 나무 속 수액의 이동이 멈춰 있어서, 그때 식수하게 되면 뿌리 활착력이 좋아지고 수목의 생존력도 높아진다. 이때가 나무심기의 적기다. 즉 잎눈이 트고 물오름이 시작되기 전에 심어야 나무가 제대로 뿌리를 내려 생존율이 높다
이제는 보여주기 식 행사가 아닌,
먼저 나무의 건강을 생각하는 식목행사가 중요하다. 올해만 해도 평년 기온이 예년보다 높아 대부분 남부지역에서는 나무 심기를 끝냈거나 현재 마무리 중이며, 중부지방의 경우도 현 식목일보다 보름 정도 앞당겨 식목행사를 실시하는 곳이 많다. 따라서 새싹이 돋기 전 3월 중순으로 식목일을 앞당겨야만, 나무가 건강하게 자랄 수 있다.
다음으로 산에 나무를 심을 때는 혼식(混植)이 나무의 경제성을 보장할 수 있다. 혼식이란 다양한 수종으로 큰 나무 사이에 중간 크기 나무와 작은 식물을 함께 섞어 심는 방식이다.
실제로 강원 홍천읍 김윤재 씨는 나무와 함께 5천여 평에 표고버섯, 산더덕 등혼식경영으로 8천만원대 고소득을 올리고 있으며, 경북 경산시 용성면 동아임장 대표인 함번웅 씨도 30만 평의 산에서 연간 1억원대 소득을 올리고 있다. 10년 이상 자라야 수익을 내는 장기 수종과 5, 6년이면 수익을 내는 중기 수종, 2, 3년 만에 소득이 가능한 단기 수종을 함께 심은 덕택이다.
느티나무 물푸레나무 등 수십 년이 지나야 수익을 낼 수 있는 장기 수종 사이에 산수유 살구나무 오갈피나무 오미자나무 등의 중간 크기 나무를 함께 심으면 그만큼 경제성이 높아진다. 그리고 나무 밑에는 고사리 질경이 쇠비름 등 각종 식물을 심은 후 고사리를 수확해 수익을 내기도 하고 숲의 양분 공급원으로도 삼았다. 이처럼 혼식은 제한된 공간을 입체적으로 활용할 수 있게 한다.
이처럼 상품 가치가 높은 나무를 심고 다양한 산채를 함께 재배하는 산림복합경영으로 높은 소득을 올리는 산촌 주민들이 늘고 있는 추세다.
이제는 나무을 심을 때도 나무의 건강과 경제성을 꼼꼼히 따져야 한다. 기상상황에 맞추지 않고, 4월 5일이라는 단순한 날짜에 맞춰 의례적으로 나무를 이 심으면 된다는 생각과 편식 위주의 나무 심기 방식에서 벗어나야만 나무도 건강하게 자라고, 산림의 경제성도 보장해 줄 것이다.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