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검색시장의 절대강자 네이버의 강세가 올해 들어서도 지속되고 있다.
웹사이트 분석 전문기구인 ‘어메이징소프트(AmazingSoft)’에 따르면 지난 3월 네이버의 검색엔진 유입률은 72.2%로 조사됐다. 이는 지난해 말(71.0%)보다 1.2%p 증가한 것이다.
검색엔진 유입률은 검색엔진에서 웹사이트로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방문했는지 검색엔진별로 그 비율을 나타낸 수치다.
반면 다음은 2위 자리는 고수했지만 유입률은 하락했다. 다음은 지난해 말 12.8%에서 올해 3월에는 11.8%의 유입률을 나타내 1.0%p 감소했다. 이에 따라 네이버와의 격차는 더욱 커졌다.
야후 코리아와 엠파스도 지난해말 대비 유입률이 감소했다. 야후코리아는 6.7%에서 6.5%로, 엠파스는 2.0%에서 1.9%로 각각 0.2%p, 0.1%p가 감소했다.
1분기 전체적으로도 대부분의 포털이 부진한 모습을 보였다.
1월 73.1%의 유입률을 나타냈던 네이버가 2월 72.9%, 3월 72.2%로 소폭 하락했다. 야후코리아도 1월 6.8%에서 3월에는 6.5%로 감소했고, 1월 1.9%를 나타냈던 엠파스도 3월에는 1.9%로 제자리걸음을 했다. 다만 다음만이 1월 11.1%, 2월 11.6%, 3월 11.7%로 상승세를 유지했다.
한편 지난해 국내시장 공략에 적극 나섰던 구글코리아는 소폭이지만 꾸준히 상승세를 보여 눈길을 끌었다. 구글코리아는 1월 1.3%, 2월 1.5%, 3월 1.7%의 유입률을 나타냈다.
어메이징소프트는 “네이버를 제외하고는 대부분의 검색엔진이 부진한 모습을 보였다”며 “다만 구글코리아가 상승세를 타고 있어 눈여겨 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김병국 기자 bgkim@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웹사이트 분석 전문기구인 ‘어메이징소프트(AmazingSoft)’에 따르면 지난 3월 네이버의 검색엔진 유입률은 72.2%로 조사됐다. 이는 지난해 말(71.0%)보다 1.2%p 증가한 것이다.
검색엔진 유입률은 검색엔진에서 웹사이트로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방문했는지 검색엔진별로 그 비율을 나타낸 수치다.
반면 다음은 2위 자리는 고수했지만 유입률은 하락했다. 다음은 지난해 말 12.8%에서 올해 3월에는 11.8%의 유입률을 나타내 1.0%p 감소했다. 이에 따라 네이버와의 격차는 더욱 커졌다.
야후 코리아와 엠파스도 지난해말 대비 유입률이 감소했다. 야후코리아는 6.7%에서 6.5%로, 엠파스는 2.0%에서 1.9%로 각각 0.2%p, 0.1%p가 감소했다.
1분기 전체적으로도 대부분의 포털이 부진한 모습을 보였다.
1월 73.1%의 유입률을 나타냈던 네이버가 2월 72.9%, 3월 72.2%로 소폭 하락했다. 야후코리아도 1월 6.8%에서 3월에는 6.5%로 감소했고, 1월 1.9%를 나타냈던 엠파스도 3월에는 1.9%로 제자리걸음을 했다. 다만 다음만이 1월 11.1%, 2월 11.6%, 3월 11.7%로 상승세를 유지했다.
한편 지난해 국내시장 공략에 적극 나섰던 구글코리아는 소폭이지만 꾸준히 상승세를 보여 눈길을 끌었다. 구글코리아는 1월 1.3%, 2월 1.5%, 3월 1.7%의 유입률을 나타냈다.
어메이징소프트는 “네이버를 제외하고는 대부분의 검색엔진이 부진한 모습을 보였다”며 “다만 구글코리아가 상승세를 타고 있어 눈여겨 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김병국 기자 bgkim@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