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심으로 성실히 일하면 자신의 업무가치를 높일 수 있다.”
이호조 서울 성동구청장은 창의가 화두인 요즘 성실한 공무원을 외친다.
창의만 주문한다고 해서 혁신적인 사업이나 정책이 나오지 않는다. 자신이 맡은 일과 주민봉사에 전력투구할 때만 새로운 아이디어도 나온다는 말이다.
지난해 공무원 승진 자격이수제를 도입했다. 무시험 심사로만 진행되는 사무관 승진에서 빈틈을 없애기 위해서였다. 대신 시험이 아닌 ‘소양’을 위한 지식을 요구했다. 간부회의도 바꿨다. 국별로 팀장급 회의를 직접 주재해 국·과장이 결재문서만 읽어내려가며 보고하곤 하던 관례를 바로잡았다. 확대간부회의에서는 동장이 지역 현안을 건의하면 주무 과장이 해답을 제시한다. 국·과장은 주요 정책사항을 별도로 보고해야 한다.
“지금 일상적으로 공부하는 분위기가 자리잡아가고 있습니다.”
탄탄한 기본기는 법이라는 틀을 수혜자에 맞춰 해석하는 융통성을 낳는다. 이 구청장은 취임 직후 개발예정지에 건축허가를 제한한다는 낯선 정책을 들고 나왔다. 구청 공무원들조차 처음에는 사유재산권 침해라 법적으로 불가능하다는 반응을 보였다. “법은 일반적인 원칙이니 전체 주민을 위해서는 과감한 적용이 필요하다”고 설득했다. 서울 25개 구청에서도 같은 정책을 펴기 시작했다.
한양대앞 옥수역 금남시장 도로를 점령한 불법노점상을 정비할 때도 정비대상의 입장을 고려했다. 특히 금남시장 노점상들은 30~40년 같은 자리를 지켜온 이들이기에 시장 안으로 들어가기 원할 경우 자리를 내주도록 시장상인들과 미리 협의했다.
이같은 행정은 주민 참여와도 일맥상통한다. 불법노점상 단속때는 시민들 스스로 불매운동을 할 수 있도록 했다. 또 재개발·재건축민원협의회를 꾸려 비일비재한 주민 분쟁을 사전에 대화를 통해 조율할 수 있도록 했다.
동사무소에서 책상 뒤로 물러앉기 일쑤인 동장들에게는 실질적으로 일선 행정을 책임질 힘을 실어주었다. 주민과 주민간 문제나 주민과 구청간 문제는 일단 동장을 거치도록 했다. 불법간판을 정비하는 일도 저소득층 아이들을 위한 공부방 운영도 동장 책임이다.
그의 집무실에는 스크랩북 한권이 놓여있다. 지난해 주민들이 불편을 호소한 내용과 이후 어떻게 바뀌었는지 한눈에 볼 수 있도록 정리한 것이다.
서울시공무원 출신으로 관선구청장을 지낸 터라 어떤 부분을 긁어야 하는지 환하다.
“주민 생활 기본은 의식주인데 성동에서 가장 부족한 부분은 주거환경입니다. 도심과 강남권 중간에 성동만 건너뛴 형국이에요.”
김진명 기자 jmkim@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이호조 서울 성동구청장은 창의가 화두인 요즘 성실한 공무원을 외친다.
창의만 주문한다고 해서 혁신적인 사업이나 정책이 나오지 않는다. 자신이 맡은 일과 주민봉사에 전력투구할 때만 새로운 아이디어도 나온다는 말이다.
지난해 공무원 승진 자격이수제를 도입했다. 무시험 심사로만 진행되는 사무관 승진에서 빈틈을 없애기 위해서였다. 대신 시험이 아닌 ‘소양’을 위한 지식을 요구했다. 간부회의도 바꿨다. 국별로 팀장급 회의를 직접 주재해 국·과장이 결재문서만 읽어내려가며 보고하곤 하던 관례를 바로잡았다. 확대간부회의에서는 동장이 지역 현안을 건의하면 주무 과장이 해답을 제시한다. 국·과장은 주요 정책사항을 별도로 보고해야 한다.
“지금 일상적으로 공부하는 분위기가 자리잡아가고 있습니다.”
탄탄한 기본기는 법이라는 틀을 수혜자에 맞춰 해석하는 융통성을 낳는다. 이 구청장은 취임 직후 개발예정지에 건축허가를 제한한다는 낯선 정책을 들고 나왔다. 구청 공무원들조차 처음에는 사유재산권 침해라 법적으로 불가능하다는 반응을 보였다. “법은 일반적인 원칙이니 전체 주민을 위해서는 과감한 적용이 필요하다”고 설득했다. 서울 25개 구청에서도 같은 정책을 펴기 시작했다.
한양대앞 옥수역 금남시장 도로를 점령한 불법노점상을 정비할 때도 정비대상의 입장을 고려했다. 특히 금남시장 노점상들은 30~40년 같은 자리를 지켜온 이들이기에 시장 안으로 들어가기 원할 경우 자리를 내주도록 시장상인들과 미리 협의했다.
이같은 행정은 주민 참여와도 일맥상통한다. 불법노점상 단속때는 시민들 스스로 불매운동을 할 수 있도록 했다. 또 재개발·재건축민원협의회를 꾸려 비일비재한 주민 분쟁을 사전에 대화를 통해 조율할 수 있도록 했다.
동사무소에서 책상 뒤로 물러앉기 일쑤인 동장들에게는 실질적으로 일선 행정을 책임질 힘을 실어주었다. 주민과 주민간 문제나 주민과 구청간 문제는 일단 동장을 거치도록 했다. 불법간판을 정비하는 일도 저소득층 아이들을 위한 공부방 운영도 동장 책임이다.
그의 집무실에는 스크랩북 한권이 놓여있다. 지난해 주민들이 불편을 호소한 내용과 이후 어떻게 바뀌었는지 한눈에 볼 수 있도록 정리한 것이다.
서울시공무원 출신으로 관선구청장을 지낸 터라 어떤 부분을 긁어야 하는지 환하다.
“주민 생활 기본은 의식주인데 성동에서 가장 부족한 부분은 주거환경입니다. 도심과 강남권 중간에 성동만 건너뛴 형국이에요.”
김진명 기자 jmkim@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