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 미국의 총기문화가 무고한 생명 빼앗아
개인 정신이상 책임으로 모는 부시 문제해결 못해
버지니아공대 총기난사사건에 대해 유럽언론들은 일제히 미국의 총기소지법에 문제를 제기하고 나섰다. 또 미국 내에서 총기사고를 한 광인의 부적절한 행위로 몰면서 교수와 학생들이 총기소지를 할 수 있었다면 범인을 제압할 수 있었을 것이라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는 것에 경악을 금치 못하면서 유럽도 총기사고 위험에서 결코 안전하지 못하다고 지적했다.
영국 일간 ‘가디언’은 미국의 느슨한 총기소지법이 청소년들을 총기사고의 피해자로 만들고 있다면서 총기문화가 무고한 생명을 앗아가고 있다고 비난했다. ‘파이낸셜타임스’는 “버지니아공대 총기난사 사건으로 총기 규제가 또다시 미국 내 핵심 정치 의제로 부상하게 됐다”면서 “지난해 갤럽 여론조사 결과 국민 56%가 엄격한 총기 규제에 찬성했으며 이번 참사로 인해 찬성 의견이 더욱 우세해 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더타임스’도 ‘희생자의 이름과 숫자만 바뀌었다’는 제목의 기사에서 “왜 미국인들이 매년 수천명을 희생시키는 총기관련법규를 유지하는지 도무지 알수 없다”면서 “유럽은 총기규제로 희생자가 줄고 있다”고 지적했다.
프랑스 ‘르몽드’는 “미국에서 들려오는 총기 난사 소식은 ‘아메리칸드림’을 훼손시키고 있다”면서 “이번 총기사고로 미국은 다시한번 사회의 폭력성과 국민 상당수의 무기에 대한 맹목적 숭배, 풍요와 경쟁이라는 이중적 억압에 따르는 젊은이들의 무절제함이란 문제와 대면하게 됐다”고 강조했다. 또 “야생의 법칙을 유지하고 있는 텍사스 출신 부시 대통령에게 블랙스버그 총기난사는 한 개인의 비극적 정신착란일 뿐 미국 내 총기류판매 문제와는 무관하게 여겨진다”며 부시를 비난했다. 프랑스 일간은 “문제는 전미총기협회(NRA)의 강력한 로비만이 아니라 미국 사회에서 사건이후 교수와 학생들의 무기소지가 허용됐더라면 살인자를 저지할 수 있었을 것이라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는 것”이라면서 “이런 상황에서 미국이 폭력을 막기는 어렵다”고 지적했다.
유럽언론들은 또 유럽이 과연 이런 비극적 총기사고로 부터 안전한지 되물었다. 프랑스 ‘르피가로’는 “이번 사건으로 유럽인들은 유럽이 미국보다 우월하다고 생각할 수 있지만 현실은 꼭 그렇지만은 않다”면서 2002년 18명의 목숨을 앗아간 독일 에르푸르트고교 총기난사사건과 1996년 스코틀랜드 던블레인에서 한 킬러가 16명의 어린이와 1명의 교사를 총으로 쏘아 죽이고 자살한 사건, 그리고 2002년 3월 프랑스 낭테르 시의회에서 8명이 살해된 사건을 예로들며 “불행히도 총기 살인에는 국경이 없다”고 전했다. 그러나 유럽이 미국과 다른 점은 “유럽인에게 총기소지는 다소 구식으로 인식되지만 많은 미국인들에게는 자신의 안전을 보호하기위한 기본권으로 여겨지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독일 ‘프랑크푸르터 룬트샤우’는 에르프루트 고교 총기난사사건 이후 독일은 무기소지를 엄격히 제한했다고 전했다. 신문은 “그로부터 5년이 지난지금 독일이 더 안전해졌다고 확신할 수는 없지만 적어도 민간인의 총기소지 금지 논의가 독일에서는 금기사항이 아닌 것이 독일과 미국의 차이”라고 지적했다.
영국 ‘디인디펜던트’는 “영국의 총기폭력 상황이 미국과 비슷하면서도 영국이 미국을 비난하고 있다”고 지적하고 “토니 블레어 총리가 총기폭력이 영국사회 전반과 연관된 문제가 아닌 갱단에 속한 흑인 젊은이들의 문제로 몰고 있는 태도는 사람을 죽이는 것이 총기가 아니라 무기를 손에 넣은 미치광이라는 미국의 시각과 크게 다르지 않다”고 총리의 시각에 비판을 가했다.
스위스 ‘24시’는 스위스가 총기사고의 큰 위험에 노출돼 있다고 지적했다. 스위스는 군복무를 하는 모든 이에 대해 24시간 가택 총기소지를 법으로 허용하고 있다. 신문은 “이들은 총기조작에 대한 기본 훈련과 정기적 교육을 받으며 군용무기를 자택에 보관할 수 있다”면서 “스위스는 미국보다 정신이상자가 총기로 대량학살을 저지를 가능성이 더 높다”고 우려했다. 스위스에는 지난주 바덴의 한 카페에서 총기난사로 1명이 사망하고 십여명이 다치는 사건이 발생하기도하는 등 총기사고로 사망하는 사람의 수가 다른 유럽국가들 보다 높다. “갈수록 폭력적인 사회에 대응하기 위해 마련된 법에 대해 더 이상 동의하는 스위스 국민은 없다”고 신문은 지적했다.
이지혜 리포터 2main@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개인 정신이상 책임으로 모는 부시 문제해결 못해
버지니아공대 총기난사사건에 대해 유럽언론들은 일제히 미국의 총기소지법에 문제를 제기하고 나섰다. 또 미국 내에서 총기사고를 한 광인의 부적절한 행위로 몰면서 교수와 학생들이 총기소지를 할 수 있었다면 범인을 제압할 수 있었을 것이라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는 것에 경악을 금치 못하면서 유럽도 총기사고 위험에서 결코 안전하지 못하다고 지적했다.
영국 일간 ‘가디언’은 미국의 느슨한 총기소지법이 청소년들을 총기사고의 피해자로 만들고 있다면서 총기문화가 무고한 생명을 앗아가고 있다고 비난했다. ‘파이낸셜타임스’는 “버지니아공대 총기난사 사건으로 총기 규제가 또다시 미국 내 핵심 정치 의제로 부상하게 됐다”면서 “지난해 갤럽 여론조사 결과 국민 56%가 엄격한 총기 규제에 찬성했으며 이번 참사로 인해 찬성 의견이 더욱 우세해 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더타임스’도 ‘희생자의 이름과 숫자만 바뀌었다’는 제목의 기사에서 “왜 미국인들이 매년 수천명을 희생시키는 총기관련법규를 유지하는지 도무지 알수 없다”면서 “유럽은 총기규제로 희생자가 줄고 있다”고 지적했다.
프랑스 ‘르몽드’는 “미국에서 들려오는 총기 난사 소식은 ‘아메리칸드림’을 훼손시키고 있다”면서 “이번 총기사고로 미국은 다시한번 사회의 폭력성과 국민 상당수의 무기에 대한 맹목적 숭배, 풍요와 경쟁이라는 이중적 억압에 따르는 젊은이들의 무절제함이란 문제와 대면하게 됐다”고 강조했다. 또 “야생의 법칙을 유지하고 있는 텍사스 출신 부시 대통령에게 블랙스버그 총기난사는 한 개인의 비극적 정신착란일 뿐 미국 내 총기류판매 문제와는 무관하게 여겨진다”며 부시를 비난했다. 프랑스 일간은 “문제는 전미총기협회(NRA)의 강력한 로비만이 아니라 미국 사회에서 사건이후 교수와 학생들의 무기소지가 허용됐더라면 살인자를 저지할 수 있었을 것이라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는 것”이라면서 “이런 상황에서 미국이 폭력을 막기는 어렵다”고 지적했다.
유럽언론들은 또 유럽이 과연 이런 비극적 총기사고로 부터 안전한지 되물었다. 프랑스 ‘르피가로’는 “이번 사건으로 유럽인들은 유럽이 미국보다 우월하다고 생각할 수 있지만 현실은 꼭 그렇지만은 않다”면서 2002년 18명의 목숨을 앗아간 독일 에르푸르트고교 총기난사사건과 1996년 스코틀랜드 던블레인에서 한 킬러가 16명의 어린이와 1명의 교사를 총으로 쏘아 죽이고 자살한 사건, 그리고 2002년 3월 프랑스 낭테르 시의회에서 8명이 살해된 사건을 예로들며 “불행히도 총기 살인에는 국경이 없다”고 전했다. 그러나 유럽이 미국과 다른 점은 “유럽인에게 총기소지는 다소 구식으로 인식되지만 많은 미국인들에게는 자신의 안전을 보호하기위한 기본권으로 여겨지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독일 ‘프랑크푸르터 룬트샤우’는 에르프루트 고교 총기난사사건 이후 독일은 무기소지를 엄격히 제한했다고 전했다. 신문은 “그로부터 5년이 지난지금 독일이 더 안전해졌다고 확신할 수는 없지만 적어도 민간인의 총기소지 금지 논의가 독일에서는 금기사항이 아닌 것이 독일과 미국의 차이”라고 지적했다.
영국 ‘디인디펜던트’는 “영국의 총기폭력 상황이 미국과 비슷하면서도 영국이 미국을 비난하고 있다”고 지적하고 “토니 블레어 총리가 총기폭력이 영국사회 전반과 연관된 문제가 아닌 갱단에 속한 흑인 젊은이들의 문제로 몰고 있는 태도는 사람을 죽이는 것이 총기가 아니라 무기를 손에 넣은 미치광이라는 미국의 시각과 크게 다르지 않다”고 총리의 시각에 비판을 가했다.
스위스 ‘24시’는 스위스가 총기사고의 큰 위험에 노출돼 있다고 지적했다. 스위스는 군복무를 하는 모든 이에 대해 24시간 가택 총기소지를 법으로 허용하고 있다. 신문은 “이들은 총기조작에 대한 기본 훈련과 정기적 교육을 받으며 군용무기를 자택에 보관할 수 있다”면서 “스위스는 미국보다 정신이상자가 총기로 대량학살을 저지를 가능성이 더 높다”고 우려했다. 스위스에는 지난주 바덴의 한 카페에서 총기난사로 1명이 사망하고 십여명이 다치는 사건이 발생하기도하는 등 총기사고로 사망하는 사람의 수가 다른 유럽국가들 보다 높다. “갈수록 폭력적인 사회에 대응하기 위해 마련된 법에 대해 더 이상 동의하는 스위스 국민은 없다”고 신문은 지적했다.
이지혜 리포터 2main@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