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학교 단계부터 경제교육을 실시하는 것이 중요하며 수요자 입장에 맞는 자료 선별을 위해 검증기준을 마련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이러 주장은 재정경제부가 초등학교 경제교육의 실태를 알아보고 경제교육활성화를 위한 향후 과제를 논의하기 위해 24일 서울교대 부설초등학교 대강당에서 실시한 ‘초등학교 경제교육 활성화를 위한 토론회’에서 제기됐다.
이날 첫 번째 발표자로 나선 공주교대 안병근 교수는 “교육대학에서는 경제교육이 교양교육으로만 실시되고 있다”며 “교육대학에서의 경제교육은 교사의 경제교육 능력을 신장시키기 위한 교육이 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 ‘초등경제교육론’을 필수과목으로 운영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도곡초교 백경선 교사는 “교육대학에서 ‘초등경제교육론’ 과목을 필수과목으로 지정하는 방안은 교대의 교육과정 등 사정을 고려할 때 실현하기 어렵다”며 “그 대안으로 교육대학에서 경제교육 교수들의 팀 티칭(team teaching) 등을 통해 예비교사들의 효율적 경제교육 실시 역량을 높이는 등의 실제적 교육이 선행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두 번째 발표자로 나선 한산초교 문종국 교감은 “경제교육이 독립된 하나의 교과가 아니라 사회 등 여러 교과에서 부분적으로 다루어지고 있어 경제교육의 체계적·통합적 교육이 어렵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여의도초교 이정숙 교사는 초등학교의 체계적·통합적 경제교육을 위해 재량활동 시간 등을 활용할 필요가 있다“며 ”이를 위한 경제교육 교재 개발 및 다양한 경제교육 교사 연수 실시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또한 천동초교 한춘희 교사는 경제교육 활성화를 위해 초등학교 경제교육의 교육내용 국가표준 정립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경제교육협의회 천규승 사무국장은 “초등학생의 통합적 사고 능력 신장을 강조하며, 사회과 경제교육뿐 아니라 실과(가정생활 영역)나 도덕(윤리 영역) 과목에서의 생활경제교육 그리고 언어영역, 수리영역, 기타 과학영역에서도 관련 지문이나 탐구 활동을 통해 통합적으로 경제교육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며 “경제교육의 국가적 인프라를 확충하기 위한 관련법 제정이 필요하며, 수요자 입장에 맞는 자료 선별을 위해 검증기준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이러 주장은 재정경제부가 초등학교 경제교육의 실태를 알아보고 경제교육활성화를 위한 향후 과제를 논의하기 위해 24일 서울교대 부설초등학교 대강당에서 실시한 ‘초등학교 경제교육 활성화를 위한 토론회’에서 제기됐다.
이날 첫 번째 발표자로 나선 공주교대 안병근 교수는 “교육대학에서는 경제교육이 교양교육으로만 실시되고 있다”며 “교육대학에서의 경제교육은 교사의 경제교육 능력을 신장시키기 위한 교육이 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 ‘초등경제교육론’을 필수과목으로 운영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도곡초교 백경선 교사는 “교육대학에서 ‘초등경제교육론’ 과목을 필수과목으로 지정하는 방안은 교대의 교육과정 등 사정을 고려할 때 실현하기 어렵다”며 “그 대안으로 교육대학에서 경제교육 교수들의 팀 티칭(team teaching) 등을 통해 예비교사들의 효율적 경제교육 실시 역량을 높이는 등의 실제적 교육이 선행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두 번째 발표자로 나선 한산초교 문종국 교감은 “경제교육이 독립된 하나의 교과가 아니라 사회 등 여러 교과에서 부분적으로 다루어지고 있어 경제교육의 체계적·통합적 교육이 어렵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여의도초교 이정숙 교사는 초등학교의 체계적·통합적 경제교육을 위해 재량활동 시간 등을 활용할 필요가 있다“며 ”이를 위한 경제교육 교재 개발 및 다양한 경제교육 교사 연수 실시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또한 천동초교 한춘희 교사는 경제교육 활성화를 위해 초등학교 경제교육의 교육내용 국가표준 정립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경제교육협의회 천규승 사무국장은 “초등학생의 통합적 사고 능력 신장을 강조하며, 사회과 경제교육뿐 아니라 실과(가정생활 영역)나 도덕(윤리 영역) 과목에서의 생활경제교육 그리고 언어영역, 수리영역, 기타 과학영역에서도 관련 지문이나 탐구 활동을 통해 통합적으로 경제교육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며 “경제교육의 국가적 인프라를 확충하기 위한 관련법 제정이 필요하며, 수요자 입장에 맞는 자료 선별을 위해 검증기준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