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관악구가 봉천동과 신림동이라는 동 명칭을 그대로 사용하게 됐다.
관악구는 최근 동 명칭 변경을 위한 주민설문조사 결과 찬성률이 2/3 이상을 넘지 못해 명칭 변경을 잠정 유보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행정자치부는 주민 2/3 이상의 동의를 얻어야 동 명칭을 바꿀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구는 지난 3월 봉천동 신림동 주민 20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봉천동 지역 주민들은 58%, 신림동 지역 주민들은 43.1%가 찬성했다.
변경을 반대하는 이유는 “지금 명칭도 괜찮다(37.3%)”, “많이 알려진 명칭으로 타 지역에서 혼동할 수 있다(27.9%)”, “역사적으로 가치가 있다(18.7%)” 순으로 나타났다. 찬성 이유는 예상대로 “낙후된 이미지를 바꿀 수 있다(66%)”가 가장 높았다.
‘관악구 발전을 위해 가장 시급히 해결해야할 사항’을 함께 물은 결과 뉴타운 등 주거환경 개선(26.2%)과 난곡 GRT 등 교통환경 개선(25.3%)이 엇비슷하게 1·2위를 차지했다.
김진명 기자 jmkim@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관악구는 최근 동 명칭 변경을 위한 주민설문조사 결과 찬성률이 2/3 이상을 넘지 못해 명칭 변경을 잠정 유보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행정자치부는 주민 2/3 이상의 동의를 얻어야 동 명칭을 바꿀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구는 지난 3월 봉천동 신림동 주민 20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봉천동 지역 주민들은 58%, 신림동 지역 주민들은 43.1%가 찬성했다.
변경을 반대하는 이유는 “지금 명칭도 괜찮다(37.3%)”, “많이 알려진 명칭으로 타 지역에서 혼동할 수 있다(27.9%)”, “역사적으로 가치가 있다(18.7%)” 순으로 나타났다. 찬성 이유는 예상대로 “낙후된 이미지를 바꿀 수 있다(66%)”가 가장 높았다.
‘관악구 발전을 위해 가장 시급히 해결해야할 사항’을 함께 물은 결과 뉴타운 등 주거환경 개선(26.2%)과 난곡 GRT 등 교통환경 개선(25.3%)이 엇비슷하게 1·2위를 차지했다.
김진명 기자 jmkim@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