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일부터 강남에서 이웃 6개 구청 쓰레기를 소각할 수 있게 된다.
서울시는 7일 밤 강남 주민지원협의체 관계자들과 자원회수시설 광역화에 합의했다고 8일 밝혔다. 시는 간접영향권인 소각장 반경 300m에 거주하는 주민들에게 특별지원금을 포함해 연 77억원을 지원해주게 된다.
이에 따라 강동 광진 동작 서초 성동 송파구가 쓰레기 고민을 덜게 됐다. 시는 11일 오전 9시부터 이들 자치구 쓰레기도 강남자원회수시설에 반입해 소각할 방침이다. 강남자원회수시설은 현재 가동률이 24.8%에 불과해 약 700톤 가량의 쓰레기를 더 반입할 여지가 있다.
강남주민지원협의체는 3월에도 소각장을 광역화하는 안건을 놓고 찬반투표를 실시했지만 연간 지원금 61억원이 적다며 반대하는 의견이 많았다. 이번에는 연간 지원금 16억원을 더 받는 조건으로 광역화를 받아들였다. 다른 자치구 폐기물 반입량 1톤당 2만1000원 외에도 매년 주민지원기금으로 16억원을 서울시에서 추가 출연하기로 한 것이다. 그러나 2010년 1월 1일 이후 전입하는 세대는 주민지원금 대상에서 제외된다.
서울시는 주민지원기금과 별도로 자원회수시설에 대한 주민들의 불안감을 해소하기 위해 다이옥신연속시료채취장치를 3기로 늘리기로 했다. 다이옥신연속시료채취장치는 현재 전국 자원회수시설 가운데 강남에만 1기가 설치돼있다. 시는 이 장치를 통해 시설에 대한 안전점검을 실시하는 한편 3년마다 환경영향조사를 하기로 했다. 주민건강영향조사는 상시 진행될 예정이다.
서울시는 지난해 말 양천자원회수시설에 이어 강남자원회수시설을 공동이용하게 됨에 따라 노원자원회수시설 공동이용도 조기 성사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서울시 환경국 관계자는 “노원지역 주민들과 최종 금액에 대한 합의만 남겨놓은 상태”라며 “다음달 중에는 노원자원회수시설도 광역화할 수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그러나 강남자원회수시설 인근 주민 가운데 25%가 아직 광역화에 합의하지 않아 논란의 여지는 남아있다. 또 지난해 양천자원회수시설 광역화때와는 달리 강남지역에는 상당한 추가지원이 제공돼 형평성에 어긋난다는 지적도 일부 나오고 있다.
이번 광역화 합의에는 간접영향권 지역 300m 이내에 거주하는 2934세대 주민 중 75%인 임대아파트 2214 세대가 합의했다. 나머지 25%에 해당되는 분양아파트 720세대는 동의안에 서명하지 않았다.
김진명 기자 jmkim@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서울시는 7일 밤 강남 주민지원협의체 관계자들과 자원회수시설 광역화에 합의했다고 8일 밝혔다. 시는 간접영향권인 소각장 반경 300m에 거주하는 주민들에게 특별지원금을 포함해 연 77억원을 지원해주게 된다.
이에 따라 강동 광진 동작 서초 성동 송파구가 쓰레기 고민을 덜게 됐다. 시는 11일 오전 9시부터 이들 자치구 쓰레기도 강남자원회수시설에 반입해 소각할 방침이다. 강남자원회수시설은 현재 가동률이 24.8%에 불과해 약 700톤 가량의 쓰레기를 더 반입할 여지가 있다.
강남주민지원협의체는 3월에도 소각장을 광역화하는 안건을 놓고 찬반투표를 실시했지만 연간 지원금 61억원이 적다며 반대하는 의견이 많았다. 이번에는 연간 지원금 16억원을 더 받는 조건으로 광역화를 받아들였다. 다른 자치구 폐기물 반입량 1톤당 2만1000원 외에도 매년 주민지원기금으로 16억원을 서울시에서 추가 출연하기로 한 것이다. 그러나 2010년 1월 1일 이후 전입하는 세대는 주민지원금 대상에서 제외된다.
서울시는 주민지원기금과 별도로 자원회수시설에 대한 주민들의 불안감을 해소하기 위해 다이옥신연속시료채취장치를 3기로 늘리기로 했다. 다이옥신연속시료채취장치는 현재 전국 자원회수시설 가운데 강남에만 1기가 설치돼있다. 시는 이 장치를 통해 시설에 대한 안전점검을 실시하는 한편 3년마다 환경영향조사를 하기로 했다. 주민건강영향조사는 상시 진행될 예정이다.
서울시는 지난해 말 양천자원회수시설에 이어 강남자원회수시설을 공동이용하게 됨에 따라 노원자원회수시설 공동이용도 조기 성사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서울시 환경국 관계자는 “노원지역 주민들과 최종 금액에 대한 합의만 남겨놓은 상태”라며 “다음달 중에는 노원자원회수시설도 광역화할 수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그러나 강남자원회수시설 인근 주민 가운데 25%가 아직 광역화에 합의하지 않아 논란의 여지는 남아있다. 또 지난해 양천자원회수시설 광역화때와는 달리 강남지역에는 상당한 추가지원이 제공돼 형평성에 어긋난다는 지적도 일부 나오고 있다.
이번 광역화 합의에는 간접영향권 지역 300m 이내에 거주하는 2934세대 주민 중 75%인 임대아파트 2214 세대가 합의했다. 나머지 25%에 해당되는 분양아파트 720세대는 동의안에 서명하지 않았다.
김진명 기자 jmkim@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