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투구 현장에서 한발 비켜 서 본선 진출 위한 ‘몸 만들기’ 매진
노무현 대통령과 김근태·정동영 두 전직 열린우리당 의장간 갈등이 고조되는 사이 친노 주자들은 저마다 ‘내공’을 쌓으며 기회를 엿보고 있다.
그러나 몇몇 친노 주자들은 노의 전쟁 결과, 친노 고립구도가 굳어질까 우려하고 있다. 자칫 본선 결과와 무관한 ‘그들만의 리그’에 갇힐 위험성이 있기 때문이다.
때문에 대통합 신당이 성공하든, 아니면 지리멸렬하게 우리당 해체가 진행되든 친노 주자들 역시 자신이 뛸 무대를 선택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조용히 몸 만드는 친노 주자들 = 우리당은 노의 전쟁을 계기로 자연스레 친노와 반노로 양분됐다. 차기주자들도 자연스레 친노 주자와 반노 주자로 구분됐다. 노 대통령과 각을 세운 김근태·정동영 두 전직 의장이 대표적 반노 주자로 자리매김 됐다면, 김혁규 유시민 이해찬 한명숙 등은 친노 차기주자군으로 여겨지고 있다. 김두관 전 행자부장관과 신기남 의원 등도 친노 차기주자로 거론된다.
대통령과 반노 주자들이 전면전을 벌이고 있는 사이 친노 차기주자들은 나름대로 ‘몸만들기’를 통해 기회를 엿보고 있다.
지난 3월 북한 방문을 계기로 1년여 만에 정치권 전면에 다시 선 이해찬 전 총리는 5월 들어 미국 방문길에 올랐고, 앞으로도 6자회담 당사국 순례를 계속할 예정이다.
충청 출신으로 비한나라 진영에서 유력 차기주자로 기대를 모았던 정운찬 전 서울대총장이 대선 불출마를 선언한 이후 이 전 총리를 주목하는 인사들이 부쩍 많아졌다.
국민의 정부에서 교육부장관을 지내고 참여정부에서 총리를 지냈다는 점에서 DJ와 노무현을 동시에 계승할 수 있다는 기대 때문이다. 특히 충청 출신이라는 프리미엄이 붙은 이 전 총리는 차기주자로서의 ‘가능성’을 인정받고 있다. 얼마전 옐친 러시아 전 대통령 장례식에 노 대통령을 대신해 참석한 한명숙 전 총리 역시 친노 진영에서 주목하고 있는 인사다. 첫 여성총리를 지냈다는 이력에 ‘합리적 리더십’이 강점으로 꼽히는 데다, 지역의 문제에서 자유롭다는 점에서다.
우리당 내 친노 의원모임인 ‘의정연’의 지원을 받고 있는 김혁규 의원 역시 지난 4월 방북 이후 차기주자로 발돋움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고, 조만간 당 복귀가 점쳐지고 있는 유시민 보건복지부장관도 친노 차기주자군에서 빠지지 않는다.
◆노의 전쟁 ‘약될까, 독될까’ = 노의 전쟁을 지켜보는 친노 차기주자 진영에서는 득실계산에 분주한 모습이다.
일단 직접적 전투에서 한발 빠져 조용히 ‘내공’을 쌓을 수 있다는 점에서는 긍정적 평가가 나온다.
친노 주자측 한 인사는 “대통령과 두 전직 의장간 갈등은 감정싸움으로 비쳐져 그리 긍정적 결과를 가져오지 못할 것”이라며 “이전투구 현장에서 빠져 차분히 비전을 가다듬을 시간을 확보했다는 점에서는 나쁘지 않다”고 말했다. 국회 고위관계자도 “김근태·정동영 두 사람이 노무현 대통령의 저격으로 쓰러지기라도 하는 날에는 자연스레 빈자리를 차고 들어갈 수 있기 때문에 친노 주자들에게 기회가 열릴 가능성도 있다”고 평가했다.
그러나 노의 전쟁 결과 친노 진영이 왜소해 질 우려가 있다는 점은 부담이 되고 있다.
노의 전쟁 와중에 중도 입장을 보이던 침묵하던 다수가 대거 비노층으로 옮아갔다는 점에서다.
이를 의식한 듯 친노 주자 가운데에도 입장차가 감지되고 있다. 특히 이해찬, 한명숙 전 총리는 친노 고립구도를 피하기 위한 노력도 병행하고 있다.
이 전 총리는 지난주 고문단 회의에서 “만약 친노파가 당을 사수하려는 움직임이 나타난다면 나라도 나서서 설득하겠다”고 말한 것으로 전해지고 있고, 한 전 총리는 일방적으로 친노 주자로 규정되는 것을 피하기 위해 “노심을 업지 않고 홀로서겠다”고 선언했다.
구자홍 기자 jhkoo@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노무현 대통령과 김근태·정동영 두 전직 열린우리당 의장간 갈등이 고조되는 사이 친노 주자들은 저마다 ‘내공’을 쌓으며 기회를 엿보고 있다.
그러나 몇몇 친노 주자들은 노의 전쟁 결과, 친노 고립구도가 굳어질까 우려하고 있다. 자칫 본선 결과와 무관한 ‘그들만의 리그’에 갇힐 위험성이 있기 때문이다.
때문에 대통합 신당이 성공하든, 아니면 지리멸렬하게 우리당 해체가 진행되든 친노 주자들 역시 자신이 뛸 무대를 선택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조용히 몸 만드는 친노 주자들 = 우리당은 노의 전쟁을 계기로 자연스레 친노와 반노로 양분됐다. 차기주자들도 자연스레 친노 주자와 반노 주자로 구분됐다. 노 대통령과 각을 세운 김근태·정동영 두 전직 의장이 대표적 반노 주자로 자리매김 됐다면, 김혁규 유시민 이해찬 한명숙 등은 친노 차기주자군으로 여겨지고 있다. 김두관 전 행자부장관과 신기남 의원 등도 친노 차기주자로 거론된다.
대통령과 반노 주자들이 전면전을 벌이고 있는 사이 친노 차기주자들은 나름대로 ‘몸만들기’를 통해 기회를 엿보고 있다.
지난 3월 북한 방문을 계기로 1년여 만에 정치권 전면에 다시 선 이해찬 전 총리는 5월 들어 미국 방문길에 올랐고, 앞으로도 6자회담 당사국 순례를 계속할 예정이다.
충청 출신으로 비한나라 진영에서 유력 차기주자로 기대를 모았던 정운찬 전 서울대총장이 대선 불출마를 선언한 이후 이 전 총리를 주목하는 인사들이 부쩍 많아졌다.
국민의 정부에서 교육부장관을 지내고 참여정부에서 총리를 지냈다는 점에서 DJ와 노무현을 동시에 계승할 수 있다는 기대 때문이다. 특히 충청 출신이라는 프리미엄이 붙은 이 전 총리는 차기주자로서의 ‘가능성’을 인정받고 있다. 얼마전 옐친 러시아 전 대통령 장례식에 노 대통령을 대신해 참석한 한명숙 전 총리 역시 친노 진영에서 주목하고 있는 인사다. 첫 여성총리를 지냈다는 이력에 ‘합리적 리더십’이 강점으로 꼽히는 데다, 지역의 문제에서 자유롭다는 점에서다.
우리당 내 친노 의원모임인 ‘의정연’의 지원을 받고 있는 김혁규 의원 역시 지난 4월 방북 이후 차기주자로 발돋움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고, 조만간 당 복귀가 점쳐지고 있는 유시민 보건복지부장관도 친노 차기주자군에서 빠지지 않는다.
◆노의 전쟁 ‘약될까, 독될까’ = 노의 전쟁을 지켜보는 친노 차기주자 진영에서는 득실계산에 분주한 모습이다.
일단 직접적 전투에서 한발 빠져 조용히 ‘내공’을 쌓을 수 있다는 점에서는 긍정적 평가가 나온다.
친노 주자측 한 인사는 “대통령과 두 전직 의장간 갈등은 감정싸움으로 비쳐져 그리 긍정적 결과를 가져오지 못할 것”이라며 “이전투구 현장에서 빠져 차분히 비전을 가다듬을 시간을 확보했다는 점에서는 나쁘지 않다”고 말했다. 국회 고위관계자도 “김근태·정동영 두 사람이 노무현 대통령의 저격으로 쓰러지기라도 하는 날에는 자연스레 빈자리를 차고 들어갈 수 있기 때문에 친노 주자들에게 기회가 열릴 가능성도 있다”고 평가했다.
그러나 노의 전쟁 결과 친노 진영이 왜소해 질 우려가 있다는 점은 부담이 되고 있다.
노의 전쟁 와중에 중도 입장을 보이던 침묵하던 다수가 대거 비노층으로 옮아갔다는 점에서다.
이를 의식한 듯 친노 주자 가운데에도 입장차가 감지되고 있다. 특히 이해찬, 한명숙 전 총리는 친노 고립구도를 피하기 위한 노력도 병행하고 있다.
이 전 총리는 지난주 고문단 회의에서 “만약 친노파가 당을 사수하려는 움직임이 나타난다면 나라도 나서서 설득하겠다”고 말한 것으로 전해지고 있고, 한 전 총리는 일방적으로 친노 주자로 규정되는 것을 피하기 위해 “노심을 업지 않고 홀로서겠다”고 선언했다.
구자홍 기자 jhkoo@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