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형마트 5.5% 백화점 2.3% 감소 … 명품만 15.3%로 증가세
지난달 대형마트와 백화점 매출이 석 달만에 다시 마이너스 성장세로 돌아섰다.
16일 산업자원부가 발표한 ‘4월중 주요 유통업체 매출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대형마트 매출은 전년동월대비 5.5% 감소했고 백화점 매출도 2.3% 감소했다.
이는 지난 2월의 25.3%, 4.7% 증가와 3월의 3.6%, 4.1% 증가를 이어가지 못하고 지난 1월 이후 3개월만에 다시 동반 마이너스로 돌아선 것.
대형마트의 경우 예년에 비해 다소 이른 더위가 닥치면서 에어컨과 선풍기 등이 많이 팔려 가전문화 제품 매출이 2.9% 증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전반적으로 모든 부문의 매출이 줄었다.
의류가 4.5%, 가정 생활이 5.5%, 스포츠가 5.8%, 잡화가 2.2%, 식품이 6.8% 각각 감소했다. 지난해 봄에 쌍춘년 효과로 결혼 붐이 일면서 이들 제품의 판매가 늘어난 탓에 올해에는 기저효과가 크게 작용했다.
백화점은 명품 매출이 15.3%로 지난해 2월부터 15개월 연속으로 플러스 성장세를 이어갔지만, 여성정장과 남성정장이 각각 5.8%, 5.3% 감소했고 식품도 1.7% 줄었다.
대형마트의 구매객수는 전년동월대비 5.5% 줄었고 백화점도 4.7% 줄었다. 대형마트의 1인당 구매단가는 4만1871원으로 전년동월과 같았고 백화점의 경우 7만990원으로 2.5% 상승했다.
정석용 기자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지난달 대형마트와 백화점 매출이 석 달만에 다시 마이너스 성장세로 돌아섰다.
16일 산업자원부가 발표한 ‘4월중 주요 유통업체 매출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대형마트 매출은 전년동월대비 5.5% 감소했고 백화점 매출도 2.3% 감소했다.
이는 지난 2월의 25.3%, 4.7% 증가와 3월의 3.6%, 4.1% 증가를 이어가지 못하고 지난 1월 이후 3개월만에 다시 동반 마이너스로 돌아선 것.
대형마트의 경우 예년에 비해 다소 이른 더위가 닥치면서 에어컨과 선풍기 등이 많이 팔려 가전문화 제품 매출이 2.9% 증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전반적으로 모든 부문의 매출이 줄었다.
의류가 4.5%, 가정 생활이 5.5%, 스포츠가 5.8%, 잡화가 2.2%, 식품이 6.8% 각각 감소했다. 지난해 봄에 쌍춘년 효과로 결혼 붐이 일면서 이들 제품의 판매가 늘어난 탓에 올해에는 기저효과가 크게 작용했다.
백화점은 명품 매출이 15.3%로 지난해 2월부터 15개월 연속으로 플러스 성장세를 이어갔지만, 여성정장과 남성정장이 각각 5.8%, 5.3% 감소했고 식품도 1.7% 줄었다.
대형마트의 구매객수는 전년동월대비 5.5% 줄었고 백화점도 4.7% 줄었다. 대형마트의 1인당 구매단가는 4만1871원으로 전년동월과 같았고 백화점의 경우 7만990원으로 2.5% 상승했다.
정석용 기자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