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가 읍·면·동 행정구역 광역화 사업에 본격적으로 나섰다.
김문수 경기지사와 김용서 수원시장, 홍건표 부천시장, 송명호 평택시장은 25일 도청 상황실에서 행정구역 광역화 사업 추진에 합의하는 내용의 협약을 체결했다.
이날 협약을 맺은 3개시는 올해 말까지 주민들의 의견 수렴과 동간 협의를 거쳐 각 시 의회에서 조례안을 마련, 총 22개동을 10개동으로 통합하는 사업을 마무리 할 예정이다.
수원시는 팔달·남향·신안동을 통합해 행궁동으로, 원천·이의동을 통합해 원천동으로 개편하는 등 5개 동을 2개동으로 통합한다. 부천시는 심곡 1, 2, 3 동을 심곡동으로, 역곡 1, 2 동을 역곡동으로 통합하는 등 인접해 있는 15개 동을 통합해 7개 동으로 통합하는 안을 추진중이다. 또 평택시는 인구 1만 미만인 신장1동과 신장2동을 신장동으로 통합한다. 3개시 외에도 인구 1∼2만명 이하 소규모 읍·면·동150여개를 올 연말까지 시·군 자체계획을 통해 통합하도록 유도하기로 했다.
도는 행정구역 개편 후 남게 되는 잉여인력 및 청사를 주민복지 분야에 활용할 계획이며 통합 동을 사용하기 위해 청사 시설 개선을 추진할 경우 올해말까지는 비용의 50%를, 내년 이후 추진하는 경우 20∼30%를 지원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김문수 지사는 “주민들이 기피하는 복잡한 행정체계와 단계를 없애기 위해서는 동을 통합해 대동체제로 가야 한다”며 “통합으로 공무원들이 인원감축 등 불이익을 받지 않도록 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한편, 도는 동 통합과 함께 일반구를 폐지하고 대동체제로 전환하는 행정계층 축소방안을 적극 추진해 나가기로 했다. 이를 위해 일정 규모 이상의 대동이 될 경우 기관장에 구청장급인 4급을 두고 대동의 규모에 따라 5급 과장을 3∼5개 둘 수 있도록 하는 제도개선 방안을 마련, 행정자치부에 건의했다.
선상원 기자 won@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김문수 경기지사와 김용서 수원시장, 홍건표 부천시장, 송명호 평택시장은 25일 도청 상황실에서 행정구역 광역화 사업 추진에 합의하는 내용의 협약을 체결했다.
이날 협약을 맺은 3개시는 올해 말까지 주민들의 의견 수렴과 동간 협의를 거쳐 각 시 의회에서 조례안을 마련, 총 22개동을 10개동으로 통합하는 사업을 마무리 할 예정이다.
수원시는 팔달·남향·신안동을 통합해 행궁동으로, 원천·이의동을 통합해 원천동으로 개편하는 등 5개 동을 2개동으로 통합한다. 부천시는 심곡 1, 2, 3 동을 심곡동으로, 역곡 1, 2 동을 역곡동으로 통합하는 등 인접해 있는 15개 동을 통합해 7개 동으로 통합하는 안을 추진중이다. 또 평택시는 인구 1만 미만인 신장1동과 신장2동을 신장동으로 통합한다. 3개시 외에도 인구 1∼2만명 이하 소규모 읍·면·동150여개를 올 연말까지 시·군 자체계획을 통해 통합하도록 유도하기로 했다.
도는 행정구역 개편 후 남게 되는 잉여인력 및 청사를 주민복지 분야에 활용할 계획이며 통합 동을 사용하기 위해 청사 시설 개선을 추진할 경우 올해말까지는 비용의 50%를, 내년 이후 추진하는 경우 20∼30%를 지원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김문수 지사는 “주민들이 기피하는 복잡한 행정체계와 단계를 없애기 위해서는 동을 통합해 대동체제로 가야 한다”며 “통합으로 공무원들이 인원감축 등 불이익을 받지 않도록 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한편, 도는 동 통합과 함께 일반구를 폐지하고 대동체제로 전환하는 행정계층 축소방안을 적극 추진해 나가기로 했다. 이를 위해 일정 규모 이상의 대동이 될 경우 기관장에 구청장급인 4급을 두고 대동의 규모에 따라 5급 과장을 3∼5개 둘 수 있도록 하는 제도개선 방안을 마련, 행정자치부에 건의했다.
선상원 기자 won@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