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내 동사무소 100곳이 내년 하반기까지 공공보육시설과 공공도서관 등으로 바뀐다.
100곳 중 39곳은 공공보육시설(12곳)과 공공도서관(5곳), 주민자치센터(19곳) 등으로 리모델링되며, 2곳은 매각된다.
서울시는 통폐합 동사무소 대상 200개를 선정하고 이 중 100개를 내년까지 폐지해 서울시내 동사무소는 현재 518곳에서 418곳으로 줄어든다고 11일 밝혔다.
이에 따라 동 평균 관할 인구수는 1만9655명에서 2만4358명으로 23.9% 늘어난다.
자치구별로는 성북·서초구가 각각 10곳, 서대문·관악구가 각각 6곳, 노원·동작구가 각각 5곳, 종로구 등 12개 구가 각각 4곳, 성동구가 3곳, 광진·금천구가 각각 2곳, 중·도봉·강남구가 각각 1곳씩 폐지된다.
이중 가장 많은 동을 통폐합하는 서초구의 경우 18개 동을 약 8개 동으로 통폐합, 인구수 5만~6만명을 관할하는 실질적인 대동제를 추진하기 위해 연구용역을 실시 중이다.
또 동사무소 통폐합에 따라 발생하는 잉여인력 1308명은 인력부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사회복지분야와 폐지동의 시민불편 해소 등에 활용될 수 있도록 잔존하는 동사무소 등에 재배치된다.
시는 동사무소 통폐합이 원활이 추진될 수 있도록 자치구의 재정여건을 감안, 통폐합 청사 1곳당 리모델링비로 10억원, 통합동 시설보수비로 2억원을 지원하기로 했다.
서울시의 동사무소 통폐합 계획은 마포구가 지난해말부터 추진해 온 동사무소 통폐합에 영향을 받았다. 마포구는 동사무소를 통폐합하고 거점별로 센터를 만들어 대동제를 추진한다는 계획을 밝힌바 있다. 이 같은 마포구의 실험은 서울뿐 아니라 경기도를 포함한 전국으로 확산되고 있다.
김성배 기자 sbkim@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100곳 중 39곳은 공공보육시설(12곳)과 공공도서관(5곳), 주민자치센터(19곳) 등으로 리모델링되며, 2곳은 매각된다.
서울시는 통폐합 동사무소 대상 200개를 선정하고 이 중 100개를 내년까지 폐지해 서울시내 동사무소는 현재 518곳에서 418곳으로 줄어든다고 11일 밝혔다.
이에 따라 동 평균 관할 인구수는 1만9655명에서 2만4358명으로 23.9% 늘어난다.
자치구별로는 성북·서초구가 각각 10곳, 서대문·관악구가 각각 6곳, 노원·동작구가 각각 5곳, 종로구 등 12개 구가 각각 4곳, 성동구가 3곳, 광진·금천구가 각각 2곳, 중·도봉·강남구가 각각 1곳씩 폐지된다.
이중 가장 많은 동을 통폐합하는 서초구의 경우 18개 동을 약 8개 동으로 통폐합, 인구수 5만~6만명을 관할하는 실질적인 대동제를 추진하기 위해 연구용역을 실시 중이다.
또 동사무소 통폐합에 따라 발생하는 잉여인력 1308명은 인력부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사회복지분야와 폐지동의 시민불편 해소 등에 활용될 수 있도록 잔존하는 동사무소 등에 재배치된다.
시는 동사무소 통폐합이 원활이 추진될 수 있도록 자치구의 재정여건을 감안, 통폐합 청사 1곳당 리모델링비로 10억원, 통합동 시설보수비로 2억원을 지원하기로 했다.
서울시의 동사무소 통폐합 계획은 마포구가 지난해말부터 추진해 온 동사무소 통폐합에 영향을 받았다. 마포구는 동사무소를 통폐합하고 거점별로 센터를 만들어 대동제를 추진한다는 계획을 밝힌바 있다. 이 같은 마포구의 실험은 서울뿐 아니라 경기도를 포함한 전국으로 확산되고 있다.
김성배 기자 sbkim@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