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교부.경기도 “상습정체 해소” … 부천시민 “체육시설 조성”
건설교통부·경기도가 서울외곽순환고속도로 고가구간인 송내IC~계양IC 구간의 하부 공간(약 12만㎡·3만6000여평)에 새 도로를 개설하는 방안을 추진하자 해당지역 주민들이 강력 반발하고 있다. 지난해 말 부천시와 한국도로공사가 이 공간을 시민휴식·체육시설로 활용하기로 합의했는데 도와 건교부가 뒤늦게 제동을 걸고 나섰기 때문이다.
경기도는 올해 초 외곽순환도로 등 지역도로의 운행개선방안을 검토하면서 상습정체 구간인 이곳의 교통흐름 개선을 위해 하부 공간에 도로를 개설하는 방안을 건교부에 제안했다. 건교부는 도의 제안을 포함해 도로운행개선을 위한 여러 가지 방안을 전문기관에 용역을 줘 검토하고 있다.
하지만 이 하부공간은 물류창고로 쓰려는 도로공사와 부천시가 오랜 줄다리기 끝에 작년 말 테니스·농구장 등 체육시설 공간으로 활용키로 합의한 바 있다. 부천시는 체육시설 설치에 대한 타당성 조사도 마치고 공사에 들어갈 예정이었다.
그러나 건교부는 외곽순환도로의 정체가 심해 하부공간에 새 도로를 개설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는 이유로 지난 4월 공간 활용계획을 중지해달라고 부천시에 요청했다. 건교부의 용역결과는 오는 11월쯤 나올 예정이다.
외곽순환도로가 고가구간에 인접한 부천 상동주민들은 “지금도 소음과 분진으로 고통 받고 있는데 고가 밑에도 도로를 개설하겠다는 것은 주민을 완전히 무시한 처사”라며 반발하고 있다. 상동주민들은 공동대책위원회를 구성, 김문수 도지사를 만나 도로개설 반대의사를 전한데 이어 지난 21일 상동호수공원에 1500여명이 모여 집회를 갖는 등 반대운동을 본격화하고 있다. 주민들은 “외곽순환도로 이용객의 상당수가 인천시민인데 왜 부천시민이 희생양이 돼야 하느냐”며 “정부와 인천시가 다른 곳에 새로운 도로를 건설하라”고 주장했다.
부천시의회도 지난 16일 “도로개설 추진계획을 철회하고 약속대로 시민체육 휴게공간을 조성하라”는 내용의 결의문을 만장일치로 채택했다. 시의회는 결의문에서 “도와 건교부의 도로개설 계획은 고속도로에 밀집돼 있는 4개 학교 4500여명의 등·하굣길 안전을 위협하고 소음 분진 교통사고 위험 등의 피해만 가중시킬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도 관계자는 “정체가 심해 대책이 필요한 것은 사실이지만 하부 공간 도로개설은 여러 방안 가운데 하나로 용역결과 채택이 될 수도, 안될 수도 있다”면서 “생각을 달리할 수도 있겠지만 대다수 주민들이 반대한다면 어렵지 않겠느냐”고 말했다.
부천 곽태영 기자 tykwak@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건설교통부·경기도가 서울외곽순환고속도로 고가구간인 송내IC~계양IC 구간의 하부 공간(약 12만㎡·3만6000여평)에 새 도로를 개설하는 방안을 추진하자 해당지역 주민들이 강력 반발하고 있다. 지난해 말 부천시와 한국도로공사가 이 공간을 시민휴식·체육시설로 활용하기로 합의했는데 도와 건교부가 뒤늦게 제동을 걸고 나섰기 때문이다.
경기도는 올해 초 외곽순환도로 등 지역도로의 운행개선방안을 검토하면서 상습정체 구간인 이곳의 교통흐름 개선을 위해 하부 공간에 도로를 개설하는 방안을 건교부에 제안했다. 건교부는 도의 제안을 포함해 도로운행개선을 위한 여러 가지 방안을 전문기관에 용역을 줘 검토하고 있다.
하지만 이 하부공간은 물류창고로 쓰려는 도로공사와 부천시가 오랜 줄다리기 끝에 작년 말 테니스·농구장 등 체육시설 공간으로 활용키로 합의한 바 있다. 부천시는 체육시설 설치에 대한 타당성 조사도 마치고 공사에 들어갈 예정이었다.
그러나 건교부는 외곽순환도로의 정체가 심해 하부공간에 새 도로를 개설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는 이유로 지난 4월 공간 활용계획을 중지해달라고 부천시에 요청했다. 건교부의 용역결과는 오는 11월쯤 나올 예정이다.
외곽순환도로가 고가구간에 인접한 부천 상동주민들은 “지금도 소음과 분진으로 고통 받고 있는데 고가 밑에도 도로를 개설하겠다는 것은 주민을 완전히 무시한 처사”라며 반발하고 있다. 상동주민들은 공동대책위원회를 구성, 김문수 도지사를 만나 도로개설 반대의사를 전한데 이어 지난 21일 상동호수공원에 1500여명이 모여 집회를 갖는 등 반대운동을 본격화하고 있다. 주민들은 “외곽순환도로 이용객의 상당수가 인천시민인데 왜 부천시민이 희생양이 돼야 하느냐”며 “정부와 인천시가 다른 곳에 새로운 도로를 건설하라”고 주장했다.
부천시의회도 지난 16일 “도로개설 추진계획을 철회하고 약속대로 시민체육 휴게공간을 조성하라”는 내용의 결의문을 만장일치로 채택했다. 시의회는 결의문에서 “도와 건교부의 도로개설 계획은 고속도로에 밀집돼 있는 4개 학교 4500여명의 등·하굣길 안전을 위협하고 소음 분진 교통사고 위험 등의 피해만 가중시킬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도 관계자는 “정체가 심해 대책이 필요한 것은 사실이지만 하부 공간 도로개설은 여러 방안 가운데 하나로 용역결과 채택이 될 수도, 안될 수도 있다”면서 “생각을 달리할 수도 있겠지만 대다수 주민들이 반대한다면 어렵지 않겠느냐”고 말했다.
부천 곽태영 기자 tykwak@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