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중등생 706명 설문조사 … 밤 10시이후 숙면 취해야
TV를 보는 시간이 길수록 성장기 어린이나 청소년들의 키 크기에 좋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박달나무한의원 부설 박달나무네트워크(소장 김원식)가 지난 6월 18일~27일 전국 12개 지역 초·중학교 학생 706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TY시청과 성장’이라는 설문조사결과, 늦게까지 TV를 시청하는 아이일수록 또래보다 키가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설문대상은 초등학교 4학년부터 중학교 1학년을 대상으로 서울 부산 대전 광주 등 12개 지역 성장기 청소년을 대상으로 했다.
‘몇 시에 잠자리에 드나’라는 질문에 아이들은 평균 10시 56분에 취침한다고 답했다.
‘늦게 자는 이유는 무엇인가’라는 질문에 △각종숙제(298명·43%) △텔레비젼 시청(175명·25%) △기타/운동(101명·14%) △인터넷/게임(50명·7%) △학원수업(79명·11%) 순으로 답했다.
TV를 늦게까지 시청하는 아이들의 평균키는 146.2cm였으나 TV 시청을 제외한 나머지 전체 평균 키는 148.8cm였다. TV를 시청한 아이들이 평균보다 2.6cm 작아 TV시청이 성장과 관계가 있을 수 있다고 박달나무네트워크는 분석했다.
특히 수면시간에 대한 질문에는 △매우 부족하다(6%) △부족하다(27%) △보통이다(40%) △충분하다(21%) △매우충분하다(6%)로 답했다. 전체 33%가 자신의 수면시간이 부족하다고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박달나무한의원 강남점 장통영 원장은 “TV시청에 장시간 몰두하면 뇌에 지속적으로 스트레스를 줘 성장호르몬을 분비하는 기관인 뇌하수체의 기능 이상으로 이어질 수 있으며, 성장에도 나쁜 영향을 줄 수 있다”고 설명했다.
장 원장은 또 “장시간 고정된 자세로 TV를 보면 몸을 긴장 상태로 만들어 척추나 어깨 등에 무리를 주고, 척추 건강이 나빠지면 성장 호르몬 운송에 문제를 일으키기 때문에 성장에 장애를 줄 수 있다”고 우려했다.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TV를 보는 시간이 길수록 성장기 어린이나 청소년들의 키 크기에 좋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박달나무한의원 부설 박달나무네트워크(소장 김원식)가 지난 6월 18일~27일 전국 12개 지역 초·중학교 학생 706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TY시청과 성장’이라는 설문조사결과, 늦게까지 TV를 시청하는 아이일수록 또래보다 키가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설문대상은 초등학교 4학년부터 중학교 1학년을 대상으로 서울 부산 대전 광주 등 12개 지역 성장기 청소년을 대상으로 했다.
‘몇 시에 잠자리에 드나’라는 질문에 아이들은 평균 10시 56분에 취침한다고 답했다.
‘늦게 자는 이유는 무엇인가’라는 질문에 △각종숙제(298명·43%) △텔레비젼 시청(175명·25%) △기타/운동(101명·14%) △인터넷/게임(50명·7%) △학원수업(79명·11%) 순으로 답했다.
TV를 늦게까지 시청하는 아이들의 평균키는 146.2cm였으나 TV 시청을 제외한 나머지 전체 평균 키는 148.8cm였다. TV를 시청한 아이들이 평균보다 2.6cm 작아 TV시청이 성장과 관계가 있을 수 있다고 박달나무네트워크는 분석했다.
특히 수면시간에 대한 질문에는 △매우 부족하다(6%) △부족하다(27%) △보통이다(40%) △충분하다(21%) △매우충분하다(6%)로 답했다. 전체 33%가 자신의 수면시간이 부족하다고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박달나무한의원 강남점 장통영 원장은 “TV시청에 장시간 몰두하면 뇌에 지속적으로 스트레스를 줘 성장호르몬을 분비하는 기관인 뇌하수체의 기능 이상으로 이어질 수 있으며, 성장에도 나쁜 영향을 줄 수 있다”고 설명했다.
장 원장은 또 “장시간 고정된 자세로 TV를 보면 몸을 긴장 상태로 만들어 척추나 어깨 등에 무리를 주고, 척추 건강이 나빠지면 성장 호르몬 운송에 문제를 일으키기 때문에 성장에 장애를 줄 수 있다”고 우려했다.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