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보훈처는 올 광복절을 맞아 남로당 지도자 박헌영의 부인 주세죽에게 건국훈장 애족장을 수여한다.
1901년 함흥의 한 농가에서 태어난 주세죽은 3·1운동 때 수감되면서 본격적인 항일운동에 뛰어들었다. 1921년까지 고향의 한 병원에서 근무하던 그는 상해로 건너가 박헌영과 결혼했다. 그는 1925년 남편과 함께 종로경찰서에 체포됐으나 증거불충분으로 석방되기도 했다. 주세죽은 1920년대 국내 여성운동의 핵심 중 하나였다. 1927년 김활란 최은희 등과 항일여성단체인 여성근우회를 결성했다.
주세죽은 1932년 조선공산당 재건을 위해 상해로 파견됐다. 이듬해 박헌영이 일본에서 체포돼 조선으로 압송된 후 박헌영이 죽은 줄 알고 1934년 공산주의자 김단야와 재혼했다.
상해에서 조선공산당 재건운동을 하던 주세죽은 일제의 중국침략이 가속화되자 다시 모스크바로 들어갔다. 주세죽은 김단야가 1937년 일제 첩보기관의 밀정이란 혐의로 소련 비밀경찰에 체포돼 사형된 후 1938년 ‘사회적 위험분자’라는 이유로 소련비밀경찰에 체포됐다.
이후 그는 5년 동안 카자흐스탄에서 피혁공장 개찰원, 집단농장원으로 일하며 생계를 유지했다. 그는 모스크바에서 폐렴으로 54세에 사망했다.
문진헌 기자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1901년 함흥의 한 농가에서 태어난 주세죽은 3·1운동 때 수감되면서 본격적인 항일운동에 뛰어들었다. 1921년까지 고향의 한 병원에서 근무하던 그는 상해로 건너가 박헌영과 결혼했다. 그는 1925년 남편과 함께 종로경찰서에 체포됐으나 증거불충분으로 석방되기도 했다. 주세죽은 1920년대 국내 여성운동의 핵심 중 하나였다. 1927년 김활란 최은희 등과 항일여성단체인 여성근우회를 결성했다.
주세죽은 1932년 조선공산당 재건을 위해 상해로 파견됐다. 이듬해 박헌영이 일본에서 체포돼 조선으로 압송된 후 박헌영이 죽은 줄 알고 1934년 공산주의자 김단야와 재혼했다.
상해에서 조선공산당 재건운동을 하던 주세죽은 일제의 중국침략이 가속화되자 다시 모스크바로 들어갔다. 주세죽은 김단야가 1937년 일제 첩보기관의 밀정이란 혐의로 소련 비밀경찰에 체포돼 사형된 후 1938년 ‘사회적 위험분자’라는 이유로 소련비밀경찰에 체포됐다.
이후 그는 5년 동안 카자흐스탄에서 피혁공장 개찰원, 집단농장원으로 일하며 생계를 유지했다. 그는 모스크바에서 폐렴으로 54세에 사망했다.
문진헌 기자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