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가 추진하고 있는 시립 제2화장장 건립 후보지로 거론되고 있는 서울시내 12곳 주민대표들은
동네에 화장장이 들어서는 것을 용납할 수 없다며 거세게 반발했다.
서울시는 16일 오후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장묘문화개혁국민협의회(장개협) 산하 추모공원건립추진협
의회 주최로 추모공원 건립 후보지 주민대표 공청회를 가졌으나 해당지역 주민들의 반발로 시작 1시
간여만인 오후 3시40분께 회의에 참석한 300여명 주민 대부분이 회의장을 떠나 공청회가 사실상 무산
됐다.
공청회의 파국은 추모공원건립추진협의회 위원장의 인사말이 끝나자 첫 발표자인 강동구 고덕동 주
민 대표가 발표 단상으로 올라가기 직전, 마포구 상암동 대표자인 전덕준씨가 “고건 시장이 직접 나
와 공청회를 진행시켜야 하는 것 아니냐”며 문제를 제기하고 나서면서부터 시작됐다.
이어 서초구 양재동 발표자인 한봉수 시의원이 “12곳으로 후보지역을 선정한 근거가 무엇이냐”며
“후보지선정위원회에 25개 구청 대표들도 참석해야 하며 이런식의 공청회 진행에는 참석할 수 없
다”고 말했다.
이와 동시에 방청석에 있던 주민들도 찬성의사를 표시했으며 이어 몇차례 개인적 발언들이 이어진
끝에 오후 3시40분께 주민 대부분이 회의장을 떠났다.
공청회장에는 김덕룡, 박원홍 의원 등 서초지역 국회의원들이 참석했다.
이에 앞서 미리 배포된 공청회 발표문에서 지역 대표들은 교통문제, 주거환경 침해, 자녀교육문제,
환경문제 등 3∼4개 이상의 사안을 이유로 제시하며 자기 동네에 화장장이 들어설 수 없다고 주장했
다.
은평구 신사2동 노무용씨는 “숭실고교 뒤편 후보지의 경우 주변도로가 좁아 (화장장이 들어설 경
우) 교통이 마비되는 것은 물론, 하객들이 취해 떠드는 소리, 무단방뇨 등으로 인해 지역이미지가 훼
손되고 주거환경, 면학분위기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막을 수 없다”고 반대했다.
마포구 상암동 전덕준씨는 “쓰레기 매립으로 20년이 넘도록 고통을 받아온 상암동 주민들에게 서울
시가 보상을 해주지는 못할 망정 화장터를 유치해 다시 고통을 주는 것은 배신행위”라며 “추모공
원 건립을 용납하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강서구 공항동 곽판구씨는 “서울시의 고충을 충분히 이해하지만 밀실에서 후보지가 선정되는 등 지
금까지의 불공정하고 비과학적인 행정편의적 정책결정 방식에 분노를 느낀다”며 서울시의 후보지
선정과 의견수렴 과정의 문제점을 지적했다.
특히 후보지 선정과 관련, 서초구 주민들의 반발이 거셌다.
서초구 내곡동 주민대표 이종호씨는 “국정원이 위치하고 있어 일상생활도 조심스러운 데다 최근에
또 기무사가 들어온다는 얘기를 들었는데 대형 화장터 후보지로 선정됐다니 기가 막힐 지경”이라
며 “화장터를 차라리 서해지역 바다, 미개발 도서지역 등에 짓는게 어떻겠냐”고 제안, 눈길을 끌었
다.
서초구 양재동 한봉수씨도 “서초구민은 부지선정 조건과 기준은 물론 17개 항목의 후보지별 평가사
항이 무엇인지, 과연 누가 이 일을 추진하는지도 알 수 없다”면서 “서울시 당국자는 어디가고 장개
협측과 이 일을 놓고 상의를 해야 하는지 한심한 마음”이라고 말했다. 이밖에 중랑구 망우3동, 도봉
구 도봉1동 등의 주민대표들도 다양한 이유를 제시하며 화장장을 수용하지 못할 것임을 분명히 했다.
이에 대해 장개협 박복순 사무총장은 “누가 보더라도 공정하게 터를 선정하면 해당지역 주민들이
이를 수용하는 성숙한 자세를 보여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공청회 무산과 관련 서울시는 “내주중 주민공청회를 다시 열어 앞으로 한두달 안으로 부지선정을
마무리짓겠다”고 밝혔다.
한편 시립 제2화장장 건립에 대한 지역주민들의 반발이 워낙 거세 추모공원 부지가 확정될 경우 해당
지역 주민들의 추모공원 반대운동 등으로 서울시와 지역구민간의 갈등이 더욱 심각해질 것으로 우려
된다.
동네에 화장장이 들어서는 것을 용납할 수 없다며 거세게 반발했다.
서울시는 16일 오후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장묘문화개혁국민협의회(장개협) 산하 추모공원건립추진협
의회 주최로 추모공원 건립 후보지 주민대표 공청회를 가졌으나 해당지역 주민들의 반발로 시작 1시
간여만인 오후 3시40분께 회의에 참석한 300여명 주민 대부분이 회의장을 떠나 공청회가 사실상 무산
됐다.
공청회의 파국은 추모공원건립추진협의회 위원장의 인사말이 끝나자 첫 발표자인 강동구 고덕동 주
민 대표가 발표 단상으로 올라가기 직전, 마포구 상암동 대표자인 전덕준씨가 “고건 시장이 직접 나
와 공청회를 진행시켜야 하는 것 아니냐”며 문제를 제기하고 나서면서부터 시작됐다.
이어 서초구 양재동 발표자인 한봉수 시의원이 “12곳으로 후보지역을 선정한 근거가 무엇이냐”며
“후보지선정위원회에 25개 구청 대표들도 참석해야 하며 이런식의 공청회 진행에는 참석할 수 없
다”고 말했다.
이와 동시에 방청석에 있던 주민들도 찬성의사를 표시했으며 이어 몇차례 개인적 발언들이 이어진
끝에 오후 3시40분께 주민 대부분이 회의장을 떠났다.
공청회장에는 김덕룡, 박원홍 의원 등 서초지역 국회의원들이 참석했다.
이에 앞서 미리 배포된 공청회 발표문에서 지역 대표들은 교통문제, 주거환경 침해, 자녀교육문제,
환경문제 등 3∼4개 이상의 사안을 이유로 제시하며 자기 동네에 화장장이 들어설 수 없다고 주장했
다.
은평구 신사2동 노무용씨는 “숭실고교 뒤편 후보지의 경우 주변도로가 좁아 (화장장이 들어설 경
우) 교통이 마비되는 것은 물론, 하객들이 취해 떠드는 소리, 무단방뇨 등으로 인해 지역이미지가 훼
손되고 주거환경, 면학분위기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막을 수 없다”고 반대했다.
마포구 상암동 전덕준씨는 “쓰레기 매립으로 20년이 넘도록 고통을 받아온 상암동 주민들에게 서울
시가 보상을 해주지는 못할 망정 화장터를 유치해 다시 고통을 주는 것은 배신행위”라며 “추모공
원 건립을 용납하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강서구 공항동 곽판구씨는 “서울시의 고충을 충분히 이해하지만 밀실에서 후보지가 선정되는 등 지
금까지의 불공정하고 비과학적인 행정편의적 정책결정 방식에 분노를 느낀다”며 서울시의 후보지
선정과 의견수렴 과정의 문제점을 지적했다.
특히 후보지 선정과 관련, 서초구 주민들의 반발이 거셌다.
서초구 내곡동 주민대표 이종호씨는 “국정원이 위치하고 있어 일상생활도 조심스러운 데다 최근에
또 기무사가 들어온다는 얘기를 들었는데 대형 화장터 후보지로 선정됐다니 기가 막힐 지경”이라
며 “화장터를 차라리 서해지역 바다, 미개발 도서지역 등에 짓는게 어떻겠냐”고 제안, 눈길을 끌었
다.
서초구 양재동 한봉수씨도 “서초구민은 부지선정 조건과 기준은 물론 17개 항목의 후보지별 평가사
항이 무엇인지, 과연 누가 이 일을 추진하는지도 알 수 없다”면서 “서울시 당국자는 어디가고 장개
협측과 이 일을 놓고 상의를 해야 하는지 한심한 마음”이라고 말했다. 이밖에 중랑구 망우3동, 도봉
구 도봉1동 등의 주민대표들도 다양한 이유를 제시하며 화장장을 수용하지 못할 것임을 분명히 했다.
이에 대해 장개협 박복순 사무총장은 “누가 보더라도 공정하게 터를 선정하면 해당지역 주민들이
이를 수용하는 성숙한 자세를 보여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공청회 무산과 관련 서울시는 “내주중 주민공청회를 다시 열어 앞으로 한두달 안으로 부지선정을
마무리짓겠다”고 밝혔다.
한편 시립 제2화장장 건립에 대한 지역주민들의 반발이 워낙 거세 추모공원 부지가 확정될 경우 해당
지역 주민들의 추모공원 반대운동 등으로 서울시와 지역구민간의 갈등이 더욱 심각해질 것으로 우려
된다.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