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싱턴=연합뉴스) 이기창 특파원 = 미 국무부는 5일 북한 영변핵시설의 불능화작업이 시작됐다며 이를 ''긍정적 일보''라고 평가했다.
톰 케이시 국무부 대변인은 미국 전문가팀이 이날 북한의 영변핵시설 불능화 절차에 착수했다며 "이는 이 과정에서 긍정적인 첫 걸음"이라고 논평했다.
케이시 부대변인은 북핵 불능화 실무팀장인 성 김 국무부 한국과장이 영변에 도착해 "핵시설들 불능화의 첫번째 국면 개시와 관련한 활동들을 시작했음"을 크리스토퍼 힐 국무부 동아태차관보에게 알려왔다고 전했다.
케이시 부대변인은 영변핵시설 불능화작업은 "분명히 어느 정도 시간이 걸리는 절차"이지만 불능화 착수는 "긍정적인 첫 걸음으로 우리는 이것이 지속되기를 강력히 희망한다"고 강조했다.
영변 핵시설 불능화 착수가 구체적으로 어떻게, 그리고 어느 정도로 이뤄졌는지는 잘 알지 못하지만 "실질적인 불능화 절차가 오늘 시작됐다"고 그는 덧붙였다.
lkc@yna.co.kr(끝)
<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저>
톰 케이시 국무부 대변인은 미국 전문가팀이 이날 북한의 영변핵시설 불능화 절차에 착수했다며 "이는 이 과정에서 긍정적인 첫 걸음"이라고 논평했다.
케이시 부대변인은 북핵 불능화 실무팀장인 성 김 국무부 한국과장이 영변에 도착해 "핵시설들 불능화의 첫번째 국면 개시와 관련한 활동들을 시작했음"을 크리스토퍼 힐 국무부 동아태차관보에게 알려왔다고 전했다.
케이시 부대변인은 영변핵시설 불능화작업은 "분명히 어느 정도 시간이 걸리는 절차"이지만 불능화 착수는 "긍정적인 첫 걸음으로 우리는 이것이 지속되기를 강력히 희망한다"고 강조했다.
영변 핵시설 불능화 착수가 구체적으로 어떻게, 그리고 어느 정도로 이뤄졌는지는 잘 알지 못하지만 "실질적인 불능화 절차가 오늘 시작됐다"고 그는 덧붙였다.
lkc@yna.co.kr(끝)
<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저>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