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도시 주택공급 확대와 공공택지 분양가 인하,투기지역 및 비은행권 대출 규제 강화 등을 골자로 한 ''11.15 부동산시장 안정화 방안(이하 11.15대책)''이 발표 1년을 맞은 가운데 아파트 시장이 큰 변화를 겪고 있다.
대책 발표후 수도권을 중심으로 급등하던 아파트 값이 대체로 안정된 가운데 오랫동안 집값 상승을 견인해온 강남 등 버블세븐 지역 가격이 약세로 돌아선 반면 비강남권의 소외지역은 오히려 강세를 보이는 등 예년과 다른 모습이다.
중대형 고가 아파트의 매수세가 꺾인 반면 중소형의 저가 아파트가 상대적 인기를 끌고 있다는 점도 달라진 모습이다.
◆아파트값 상승폭 꺾여 = 12일 부동산정보업체 스피드뱅크에 따르면 지난해 11.15대책 발표후 1년 간 아파트값 변동률을 조사한 결과 인천을 제외한 서울, 신도시, 경기지역의 상승폭이 크게 꺾였다.
11.15대책 발표후 지난 1년 동안(2006년 11월 11일-2007년 11월 10일) 아파트값상승률은 서울 4.66%, 신도시 1.23%, 경기도 3.55%로 나타났다.
이는 11.15대책이 발표되기 전 1년간(2005년 11월 12일-2006년 11월 11일) 서울이 17.09%, 신도시 23.08%, 경기도가 16.36% 오른 것에 비해 상승폭이 크게 줄어든 것이다.
인천 지역만 11.15대책 발표 후 10.44% 올라 대책 발표 전(5.41%)에 비해 상승폭이 2배 가까이 커졌다. 인천이 이처럼 강세를 보인 것은 대출 규제가 집중된 공시가격 6억원 이상 고가 아파트가 많지 않아 대책의 영향이 적었던 데다 아시안게임 유치, 송도신도시 분양 등 개발호재가 꾸준히 발표됐기 때문이다.
◇ 버블세븐, 재건축 아파트에 타격 = 11.15대책은 주로 종전까지 집값 상승세를 견인해온 버블세븐 지역과 재건축 아파트값에 직격탄을 날렸다.11.15대책 이전 1년간 강남 아파트값은 평균 31.87% 상승했으나 대책 발표후 1년 간은 1.77% 상승하는데 그쳤다.또 양천구도 대책 발표 이전 1년 동안은 28.61% 오른데 비해 대책 발표 후에는 오히려 2.02%가 하락했다.분당과 송파구도 대책 이후 아파트값이 내림세로 돌아섰다. 분당은 대책 이전 1년간 판교분양 효과로 17.04% 상승했으나 대책 발표후 0.03% 떨어졌고, 송파는 대책이전 23.81% 상승했다가 대책발표후 2.02% 하락했다.
평촌신도시와 용인시도 대책 발표 전 1년간 30.31%, 22.99% 각각 오르는 강세를보였으나 대책 발표후에는 각각 상승폭이 1.04%, 2.3%로 줄어 안정세로 돌아섰다.
재건축도 마찬가지다. 송파구의 경우 대책 발표 전 1년 동안 무려 37.58%나 뛰었으나 대책 발표후 1년간은 7%가 하락, 변동폭이 47.58p나 됐다.경기도에서는 과천 재건축 아파트값이 대책 발표 전 21.53% 상승했으나 대책 발표후에는 10.43% 하락해 다른 곳에 비해 낙폭이 깊었다.
하지만 대출을 너무 옥죄다보니 지나치게 주택거래가 위축돼 ''집부자''들에 비해서민들의 피해가 더 컸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소외지역은 상대적 강세 = 버블세븐, 재건축 약세와 달리 집값 상승이 크지 않았던 소외지역 아파트값은 상승세가 계속됐다.
서울 노원구(16.46%), 강북구(13.94%), 도봉구(13.61%), 동대문구(7.14%), 서대문구(8.55%), 중랑구(9.81%) 등은 오히려 대책 발표후 1년 동안 상승폭이 대책 발표이전 보다 커졌다.특히 경기지역에서는 의정부시가 대책 발표 이후에도 27.53%나 올라 수도권 전체를 통틀어 가장 높은 상승세를 보였고, 시흥시(16.41%), 광주시(13.48%), 양주시(12.87%), 오산시(11.17%)도 많이 올랐다.
이들 지역은 대출 규제 영향이 적은 6억원 이하 소형 아파트가 많고, 리모델링,경전철 등 개발 호재가 작용한 때문이다.특히 경기도 내에서도 소외지역으로 꼽히던 의정부와 시흥시는 지하철 개통과 미군부대 이전, 시화멀티테크노밸리 등 대형 개발호재 덕분에 올들어 유난히 상승폭이 컸다.스피드뱅크 김은경 팀장은 "11.15대책과 뒤이어 발표된 1.11대책은 지난해 가을에 급등했던 아파트값을 잠재우는데 큰 역할을 했다"며 "대선 변수가 있긴 하지만 주택 구매심리가 크게 위축돼 있어 이같은 분위기는 당분간 계속될 것 같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서미숙 기자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대책 발표후 수도권을 중심으로 급등하던 아파트 값이 대체로 안정된 가운데 오랫동안 집값 상승을 견인해온 강남 등 버블세븐 지역 가격이 약세로 돌아선 반면 비강남권의 소외지역은 오히려 강세를 보이는 등 예년과 다른 모습이다.
중대형 고가 아파트의 매수세가 꺾인 반면 중소형의 저가 아파트가 상대적 인기를 끌고 있다는 점도 달라진 모습이다.
◆아파트값 상승폭 꺾여 = 12일 부동산정보업체 스피드뱅크에 따르면 지난해 11.15대책 발표후 1년 간 아파트값 변동률을 조사한 결과 인천을 제외한 서울, 신도시, 경기지역의 상승폭이 크게 꺾였다.
11.15대책 발표후 지난 1년 동안(2006년 11월 11일-2007년 11월 10일) 아파트값상승률은 서울 4.66%, 신도시 1.23%, 경기도 3.55%로 나타났다.
이는 11.15대책이 발표되기 전 1년간(2005년 11월 12일-2006년 11월 11일) 서울이 17.09%, 신도시 23.08%, 경기도가 16.36% 오른 것에 비해 상승폭이 크게 줄어든 것이다.
인천 지역만 11.15대책 발표 후 10.44% 올라 대책 발표 전(5.41%)에 비해 상승폭이 2배 가까이 커졌다. 인천이 이처럼 강세를 보인 것은 대출 규제가 집중된 공시가격 6억원 이상 고가 아파트가 많지 않아 대책의 영향이 적었던 데다 아시안게임 유치, 송도신도시 분양 등 개발호재가 꾸준히 발표됐기 때문이다.
◇ 버블세븐, 재건축 아파트에 타격 = 11.15대책은 주로 종전까지 집값 상승세를 견인해온 버블세븐 지역과 재건축 아파트값에 직격탄을 날렸다.11.15대책 이전 1년간 강남 아파트값은 평균 31.87% 상승했으나 대책 발표후 1년 간은 1.77% 상승하는데 그쳤다.또 양천구도 대책 발표 이전 1년 동안은 28.61% 오른데 비해 대책 발표 후에는 오히려 2.02%가 하락했다.분당과 송파구도 대책 이후 아파트값이 내림세로 돌아섰다. 분당은 대책 이전 1년간 판교분양 효과로 17.04% 상승했으나 대책 발표후 0.03% 떨어졌고, 송파는 대책이전 23.81% 상승했다가 대책발표후 2.02% 하락했다.
평촌신도시와 용인시도 대책 발표 전 1년간 30.31%, 22.99% 각각 오르는 강세를보였으나 대책 발표후에는 각각 상승폭이 1.04%, 2.3%로 줄어 안정세로 돌아섰다.
재건축도 마찬가지다. 송파구의 경우 대책 발표 전 1년 동안 무려 37.58%나 뛰었으나 대책 발표후 1년간은 7%가 하락, 변동폭이 47.58p나 됐다.경기도에서는 과천 재건축 아파트값이 대책 발표 전 21.53% 상승했으나 대책 발표후에는 10.43% 하락해 다른 곳에 비해 낙폭이 깊었다.
하지만 대출을 너무 옥죄다보니 지나치게 주택거래가 위축돼 ''집부자''들에 비해서민들의 피해가 더 컸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소외지역은 상대적 강세 = 버블세븐, 재건축 약세와 달리 집값 상승이 크지 않았던 소외지역 아파트값은 상승세가 계속됐다.
서울 노원구(16.46%), 강북구(13.94%), 도봉구(13.61%), 동대문구(7.14%), 서대문구(8.55%), 중랑구(9.81%) 등은 오히려 대책 발표후 1년 동안 상승폭이 대책 발표이전 보다 커졌다.특히 경기지역에서는 의정부시가 대책 발표 이후에도 27.53%나 올라 수도권 전체를 통틀어 가장 높은 상승세를 보였고, 시흥시(16.41%), 광주시(13.48%), 양주시(12.87%), 오산시(11.17%)도 많이 올랐다.
이들 지역은 대출 규제 영향이 적은 6억원 이하 소형 아파트가 많고, 리모델링,경전철 등 개발 호재가 작용한 때문이다.특히 경기도 내에서도 소외지역으로 꼽히던 의정부와 시흥시는 지하철 개통과 미군부대 이전, 시화멀티테크노밸리 등 대형 개발호재 덕분에 올들어 유난히 상승폭이 컸다.스피드뱅크 김은경 팀장은 "11.15대책과 뒤이어 발표된 1.11대책은 지난해 가을에 급등했던 아파트값을 잠재우는데 큰 역할을 했다"며 "대선 변수가 있긴 하지만 주택 구매심리가 크게 위축돼 있어 이같은 분위기는 당분간 계속될 것 같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서미숙 기자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