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HO 건강도시연맹 가입 잇따라 추진
중앙정부도 건강도시 인증제 도입검토
<표 -="" 건강도시연맹="" 가입현황=""> 1단 26칸
전국 지자체에 ‘건강도시’ 바람이 불고 있다. 세계의 선진 도시들처럼 사람이 건강한 삶을 누릴 수 있는 기반조성이 도시경쟁력의 핵심요소로 부각되고 있기 때문이다.
우리나라는 최근 2~3년 동안 세계보건기구(WHO) 서태평양지역 건강도시연맹(Alliance for haelthy cities.이하 연맹)에 가입한 지자체가 무려 25개나 된다. 연맹 소속 9개 회원국 가운데 가장 많다.
◆건강도시, 원주시가 선도 = 국내 최초로 연맹에 가입한 도시는 강원도 원주시다. 원주시는 과거 ‘군사도시’ 이미지에서 벗어나기 위해 의료산업을 유치한데 이어 지난 2004년 6월 WHO 서태평양지역 건강도시연맹 창립멤버로 가입했다. 산업발전만으로 도시경쟁력을 높일 수 없다는 세계적 추세를 간파한 결단이었다. 이후 원주시는 건강도시 전담조직을 만들어 실천프로젝트를 개발하고 담배소비세를 전액 이 사업에 투자하는 등 역량을 집중했다. 그 결과 원주시는 지난해 WHO 아·태지구 건강도시 총회에서 제주도와 함께 8대 건강도시로 뽑혔다.
원주에 이어 서울과 부산시, 서울 강남·도봉, 충남 금산 등이 잇따라 연맹에 가입했다. 올해만 전남 순천시와 광주 동구, 서울 중구, 경기 화성, 강원 춘천 등 5개 도시가 추가 가입했다. 현재 연맹에 가입한 국내 도시는 광역 3곳과 기초 22곳 등 모두 25곳에 달한다.
최근엔 경기 광명시와 부천시, 울산 북구 등도 WHO 건강도시 연맹 회원가입을 추진하고 있다. 울산 북구는 지난 19일 WHO 건강도시연맹 가입 등 건강도시 사업을 적극 추진하겠다며 ‘건강도시 정책선언문’을 발표했다. 광명시도 지난 17일 건강도시사업 관련 연구용역에 착수했고, 부천시도 이달 초 ‘건강한마당’ 행사를 통해 연맹 가입의사를 밝혔다.
류영철 광명시보건소장은 “WHO 건강도시 프로그램은 건강이 인간을 둘러싼 환경과 관련이 있으므로 도시의 환경 자체를 건강하게 해야 한다는 것”이라며 “건강을 지키기 위해 보건·의료·복지는 물론 지역사회의 다양한 환경을 정비하는 게 중요하다”고 말했다.
◆유행보다 실리 추구해야 = 하지만 우려의 목소리도 적지 않다. 연맹가입의 의미 자체가 과장된 측면이 있는데다 가입 후 제출한 사업계획을 제대로 이행하지 않는다면 전시사업에 불과하기 때문이다. 사실 연맹은 WHO가 규정한 건강도시를 추구하는 도시 간 네트워크다. 가입절차도 현 도시실태를 진단한 영문 프로파일과 건강도시사업계획서를 시장이 서명한 신청서와 함께 제출하면 된다. 사업계획 등이 미비해 보류될 순 있지만 아직까지 가입을 신청해 탈락한 국내 지자체는 한 곳도 없다.
올해 초 가입한 전북 전주시는 예산과 인력을 배치하지 않아 건강도시 사업이 겉돌고 있다.
반면 가입 도시 수는 서태평양지역 회원국 가운데 제일 많다. 중국이 15곳이고 사무국이 있는 일본도 7곳만 가입한 것과 비교하면 연맹가입이 국내 지자체들 사이에 유행처럼 번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연맹에서 매년 서류를 제출받아 추진여부를 점검하지만 강제성이 있는 것은 아니다.
이와 관련 중앙정부 차원에서 건강도시 인증제 도입이 검토되고 있다. 일정 규모의 기금을 조성해 정부가 인정한 곳에 인센티브를 줘 지자체의 건강도시사업을 관리하는 방안이다.
남은우 연세대 건강도시연구센터장은 “가입과정에서 단체장이 시민의 건강과 안녕을 시정의 최우선에 두겠다는 약속과 함께 실천계획을 마련하게 된다는 점에 의미가 크다”며 “가입만하고 예산·조직 등이 뒷받침되지 않으면 전시효과에 그칠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중앙정부가 일정한 기준과 검증과정을 마련해 적극적으로 품질관리를 한다면 모든 도시가 건강도시로 거듭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곽태영 기자·전국종합 tykwak@naeil.com
<건강도시란?>
건강도시 개념은 1985년 캐나다 토론토의 ‘보건의료를 넘어’ 회의에서부터 공식화됐다. 이후 유럽과 미국 캘리포니아 등에서 건강도시운동이 확대됐다. 건강도시는 단순히 질병을 치료하거나 잘못된 생활방식을 바꾸는 차원을 넘어 사람을 둘러싼 물리적, 사회적 환경을 개선하고 지역사회 주체들이 서로 협력해 건강과 삶의 질 향상을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하는 도시를 말한다.건강도시란?>표>
중앙정부도 건강도시 인증제 도입검토
<표 -="" 건강도시연맹="" 가입현황=""> 1단 26칸
전국 지자체에 ‘건강도시’ 바람이 불고 있다. 세계의 선진 도시들처럼 사람이 건강한 삶을 누릴 수 있는 기반조성이 도시경쟁력의 핵심요소로 부각되고 있기 때문이다.
우리나라는 최근 2~3년 동안 세계보건기구(WHO) 서태평양지역 건강도시연맹(Alliance for haelthy cities.이하 연맹)에 가입한 지자체가 무려 25개나 된다. 연맹 소속 9개 회원국 가운데 가장 많다.
◆건강도시, 원주시가 선도 = 국내 최초로 연맹에 가입한 도시는 강원도 원주시다. 원주시는 과거 ‘군사도시’ 이미지에서 벗어나기 위해 의료산업을 유치한데 이어 지난 2004년 6월 WHO 서태평양지역 건강도시연맹 창립멤버로 가입했다. 산업발전만으로 도시경쟁력을 높일 수 없다는 세계적 추세를 간파한 결단이었다. 이후 원주시는 건강도시 전담조직을 만들어 실천프로젝트를 개발하고 담배소비세를 전액 이 사업에 투자하는 등 역량을 집중했다. 그 결과 원주시는 지난해 WHO 아·태지구 건강도시 총회에서 제주도와 함께 8대 건강도시로 뽑혔다.
원주에 이어 서울과 부산시, 서울 강남·도봉, 충남 금산 등이 잇따라 연맹에 가입했다. 올해만 전남 순천시와 광주 동구, 서울 중구, 경기 화성, 강원 춘천 등 5개 도시가 추가 가입했다. 현재 연맹에 가입한 국내 도시는 광역 3곳과 기초 22곳 등 모두 25곳에 달한다.
최근엔 경기 광명시와 부천시, 울산 북구 등도 WHO 건강도시 연맹 회원가입을 추진하고 있다. 울산 북구는 지난 19일 WHO 건강도시연맹 가입 등 건강도시 사업을 적극 추진하겠다며 ‘건강도시 정책선언문’을 발표했다. 광명시도 지난 17일 건강도시사업 관련 연구용역에 착수했고, 부천시도 이달 초 ‘건강한마당’ 행사를 통해 연맹 가입의사를 밝혔다.
류영철 광명시보건소장은 “WHO 건강도시 프로그램은 건강이 인간을 둘러싼 환경과 관련이 있으므로 도시의 환경 자체를 건강하게 해야 한다는 것”이라며 “건강을 지키기 위해 보건·의료·복지는 물론 지역사회의 다양한 환경을 정비하는 게 중요하다”고 말했다.
◆유행보다 실리 추구해야 = 하지만 우려의 목소리도 적지 않다. 연맹가입의 의미 자체가 과장된 측면이 있는데다 가입 후 제출한 사업계획을 제대로 이행하지 않는다면 전시사업에 불과하기 때문이다. 사실 연맹은 WHO가 규정한 건강도시를 추구하는 도시 간 네트워크다. 가입절차도 현 도시실태를 진단한 영문 프로파일과 건강도시사업계획서를 시장이 서명한 신청서와 함께 제출하면 된다. 사업계획 등이 미비해 보류될 순 있지만 아직까지 가입을 신청해 탈락한 국내 지자체는 한 곳도 없다.
올해 초 가입한 전북 전주시는 예산과 인력을 배치하지 않아 건강도시 사업이 겉돌고 있다.
반면 가입 도시 수는 서태평양지역 회원국 가운데 제일 많다. 중국이 15곳이고 사무국이 있는 일본도 7곳만 가입한 것과 비교하면 연맹가입이 국내 지자체들 사이에 유행처럼 번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연맹에서 매년 서류를 제출받아 추진여부를 점검하지만 강제성이 있는 것은 아니다.
이와 관련 중앙정부 차원에서 건강도시 인증제 도입이 검토되고 있다. 일정 규모의 기금을 조성해 정부가 인정한 곳에 인센티브를 줘 지자체의 건강도시사업을 관리하는 방안이다.
남은우 연세대 건강도시연구센터장은 “가입과정에서 단체장이 시민의 건강과 안녕을 시정의 최우선에 두겠다는 약속과 함께 실천계획을 마련하게 된다는 점에 의미가 크다”며 “가입만하고 예산·조직 등이 뒷받침되지 않으면 전시효과에 그칠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중앙정부가 일정한 기준과 검증과정을 마련해 적극적으로 품질관리를 한다면 모든 도시가 건강도시로 거듭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곽태영 기자·전국종합 tykwak@naeil.com
<건강도시란?>
건강도시 개념은 1985년 캐나다 토론토의 ‘보건의료를 넘어’ 회의에서부터 공식화됐다. 이후 유럽과 미국 캘리포니아 등에서 건강도시운동이 확대됐다. 건강도시는 단순히 질병을 치료하거나 잘못된 생활방식을 바꾸는 차원을 넘어 사람을 둘러싼 물리적, 사회적 환경을 개선하고 지역사회 주체들이 서로 협력해 건강과 삶의 질 향상을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하는 도시를 말한다.건강도시란?>표>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