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대 반민주 전선약화 … 유권자 공통 관심사에 호소
대통합민주신당 정동영 후보가 최근 ‘교육대통령’에 올인하고 있다. 지난주 교육현장 방문, 한국교총 토론회에 이어 5일 ‘교육혁신 7대 과제’를 발표했다.
‘2011년 대학입시 폐지’ 등을 골자로 하는 이번 공약은 정 후보의 교육혁신방안을 집대성한 것으로 꼽힌다. 대선이 바짝 다가오면서 정 후보가 교육에 승부수를 거는 이유는 크게 세 가지다.
◆경제대통령 VS 교육대통령 = 먼저 한나라당 이명박 후보와의 차별화다. 이 후보의 ‘경제대통령’에 맞서 ‘정동영=교육대통령’으로 대립각을 세운 것이다. 이 후보는 △CEO 출신 △서울시장의 청계천 복원사업·서울버스 체제 변화 등 경력에 힘입어 ‘경제대통령’ 이미지를 일찍 구축했다. 친기업적 정책 필요성도 잇따라 강조해 언론과 재계의 주목을 받았다.
이에 맞서 정 후보도 △금산분리 △지역균형발전 △부동산정책 등에서 뚜렷한 입장차를 드러냈지만 이는 대부분 참여정부 정책을 그대로 유지하는 것이다. 유권자 입장에서는 이 후보가 새 화두를 던지고 정 후보는 기존의 것으로 방어하는 형국으로 보일 수 있다.
따라서 정 후보는 ‘좋은성장’을 내세우면서도 경제 이외 분야에서 획기적 정책이 필요했고 ‘입시제도 폐지 카드’를 꺼냈다는 평이다.
◆민주 대 반민주 구도의 붕괴 = 정 후보가 교육을 강조하는 또 다른 이유는 지난 대선에서 구축된 ‘전선’이 참여정부 집권 이후 다소 희미해졌기 때문이다. 97년과 2002년 대선에서는 ‘민주개혁 세력 대 반민주 세력’이라는 양대 가치가 뚜렷하게 드러났다. 민주화 투사 김대중 후보, 재야출신 변호사 노무현 후보가 한나라당 이회창 후보와 대립각을 세워 재야와 시민사회단체, 386세대의 전폭적 지지를 받았다.
반면 참여정부 집권 이후로는 유권자의 관심 자체가 민주화에 대한 열망보다는 ‘실생활과 연관된 것’으로 이동했다. 게다가 정 후보 개인의 경력도 이른바 ‘민주화 운동권’이나 ‘재야’로 구분하기가 어렵다.
이런 점에 착안, 정 후보는 지난 2004년 총선에서부터 이미 자신의 강점을 ‘교육’으로 내세워왔다. 당시 열린우리당 의장으로서 정 후보는 EBS(교육방송)를 방문하는 등 교육 현장 접촉을 시도해왔다.
지난 2006년 열린우리당 당 의장으로서 교육양극화 해소를 주장하면서 입시제도 철폐, 학제 개편 등을 제안했다.
올해는 정책과 이미지를 동시에 홍보하는 현장 방문을 계속했다. 지난 1월 고등학생 대표들과의 ‘떡볶이 토크’가 대표적 사례다.
경선 과정에서도 민주투사 출신의 이해찬 후보에 맞서 ‘교육대협약’ 등의 공약을 밝혔다.
◆차별없는 성장의 구체화 = 이와 함께 정 후보는 4대 정책인 주택·일자리·노후불안·교육 문제 중 최근 주택과 교육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차별없는 성장’을 이루기 위해 ‘동생을 공부시키느라 공장 다니는 누나’ ‘기러기 아빠’의 역할을 이제 정부가 맡아야 한다는 설명이다. 정 후보는 최근 ‘2억원대 아파트’와 ‘입시제도 폐지’로 구체적 정책을 밝혔다.
방문 장소도 지역과 강북, 기술직을 상징한다. △농어촌우수고등학교인 전남 화순고 △강북 미아구 송중초등학교 △한국산업기술대학 등이다. 정 후보는 이 후보의‘특목고 300개 설립 방안’을 “사회를 정글로 전락시키고 교육을 시장화하는 개념”이라고 비판 수위를 높이고 있다.
한편 정 후보는 몇 년전부터 교육 분야 전문가들로부터 체계적 학습을 받으며 공을 들인 것으로 알려졌다.
맏아들 유학논란에 대해서는 “미국 워싱턴 특파원 시절 아들이 미국 학교를 다녔고 미국 유학을 원해 아들의 뜻을 존중했다”고 밝혔다.
전예현 기자 newslove@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대통합민주신당 정동영 후보가 최근 ‘교육대통령’에 올인하고 있다. 지난주 교육현장 방문, 한국교총 토론회에 이어 5일 ‘교육혁신 7대 과제’를 발표했다.
‘2011년 대학입시 폐지’ 등을 골자로 하는 이번 공약은 정 후보의 교육혁신방안을 집대성한 것으로 꼽힌다. 대선이 바짝 다가오면서 정 후보가 교육에 승부수를 거는 이유는 크게 세 가지다.
◆경제대통령 VS 교육대통령 = 먼저 한나라당 이명박 후보와의 차별화다. 이 후보의 ‘경제대통령’에 맞서 ‘정동영=교육대통령’으로 대립각을 세운 것이다. 이 후보는 △CEO 출신 △서울시장의 청계천 복원사업·서울버스 체제 변화 등 경력에 힘입어 ‘경제대통령’ 이미지를 일찍 구축했다. 친기업적 정책 필요성도 잇따라 강조해 언론과 재계의 주목을 받았다.
이에 맞서 정 후보도 △금산분리 △지역균형발전 △부동산정책 등에서 뚜렷한 입장차를 드러냈지만 이는 대부분 참여정부 정책을 그대로 유지하는 것이다. 유권자 입장에서는 이 후보가 새 화두를 던지고 정 후보는 기존의 것으로 방어하는 형국으로 보일 수 있다.
따라서 정 후보는 ‘좋은성장’을 내세우면서도 경제 이외 분야에서 획기적 정책이 필요했고 ‘입시제도 폐지 카드’를 꺼냈다는 평이다.
◆민주 대 반민주 구도의 붕괴 = 정 후보가 교육을 강조하는 또 다른 이유는 지난 대선에서 구축된 ‘전선’이 참여정부 집권 이후 다소 희미해졌기 때문이다. 97년과 2002년 대선에서는 ‘민주개혁 세력 대 반민주 세력’이라는 양대 가치가 뚜렷하게 드러났다. 민주화 투사 김대중 후보, 재야출신 변호사 노무현 후보가 한나라당 이회창 후보와 대립각을 세워 재야와 시민사회단체, 386세대의 전폭적 지지를 받았다.
반면 참여정부 집권 이후로는 유권자의 관심 자체가 민주화에 대한 열망보다는 ‘실생활과 연관된 것’으로 이동했다. 게다가 정 후보 개인의 경력도 이른바 ‘민주화 운동권’이나 ‘재야’로 구분하기가 어렵다.
이런 점에 착안, 정 후보는 지난 2004년 총선에서부터 이미 자신의 강점을 ‘교육’으로 내세워왔다. 당시 열린우리당 의장으로서 정 후보는 EBS(교육방송)를 방문하는 등 교육 현장 접촉을 시도해왔다.
지난 2006년 열린우리당 당 의장으로서 교육양극화 해소를 주장하면서 입시제도 철폐, 학제 개편 등을 제안했다.
올해는 정책과 이미지를 동시에 홍보하는 현장 방문을 계속했다. 지난 1월 고등학생 대표들과의 ‘떡볶이 토크’가 대표적 사례다.
경선 과정에서도 민주투사 출신의 이해찬 후보에 맞서 ‘교육대협약’ 등의 공약을 밝혔다.
◆차별없는 성장의 구체화 = 이와 함께 정 후보는 4대 정책인 주택·일자리·노후불안·교육 문제 중 최근 주택과 교육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차별없는 성장’을 이루기 위해 ‘동생을 공부시키느라 공장 다니는 누나’ ‘기러기 아빠’의 역할을 이제 정부가 맡아야 한다는 설명이다. 정 후보는 최근 ‘2억원대 아파트’와 ‘입시제도 폐지’로 구체적 정책을 밝혔다.
방문 장소도 지역과 강북, 기술직을 상징한다. △농어촌우수고등학교인 전남 화순고 △강북 미아구 송중초등학교 △한국산업기술대학 등이다. 정 후보는 이 후보의‘특목고 300개 설립 방안’을 “사회를 정글로 전락시키고 교육을 시장화하는 개념”이라고 비판 수위를 높이고 있다.
한편 정 후보는 몇 년전부터 교육 분야 전문가들로부터 체계적 학습을 받으며 공을 들인 것으로 알려졌다.
맏아들 유학논란에 대해서는 “미국 워싱턴 특파원 시절 아들이 미국 학교를 다녔고 미국 유학을 원해 아들의 뜻을 존중했다”고 밝혔다.
전예현 기자 newslove@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