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자회담 향방 기로..北 군부 설득이 관건
(서울=연합뉴스) 이우탁 기자 = 북핵 6자회담 미국측 수석대표인 크리스토퍼 힐 국무부 동아태 차관보가 3일 방북길에 오른다.
힐 차관보는 이날 오전 경기도 모처의 미군 비행장에서 항공편을 이용해 평양으로 향할 것으로 알려졌다.
5일까지 북한에 체류하게 되는 힐 차관보는 10.3합의에 의거해 연말을 목표로 진행중인 영변 3대 핵시설의 불능화 작업 현장을 시찰하는 한편 협상 파트너인 김계관 북한 외무성 부상 등과 만나 현안으로 부상한 ''핵 프로그램 신고'' 문제를 집중 협의할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힐 차관보의 방북 결과에 따라 북한의 신고서 제출시기와 6자 수석대표 회의 일정이 사실상 결정될 것으로 보여 추이가 주목된다.
미국측은 북한의 핵 프로그램 신고와 관련, 추출된 플루토늄 총량과 농축우라늄프로그램(UEP) 관련 의혹, 핵 이전 문제 등 과거 핵활동 전반이 신고서에 담기거나 ''증거를 토대로 한 만족할 수준''의 해명이 전제돼야 테러지원국 명단 삭제 등 북한에 주어질 안보적 조치가 가능하다는 입장인 것으로 알려졌다.
외교소식통들은 2일 "힐 차관보의 방북을 통해 UEP 의혹이나 핵이전설 등에 대해 미국 조야가 만족할 수준의 합의가 도출된다면 6자회담의 순항 기조가 이어질 것"이라면서 "힐 차관보가 김계관 부상 뿐 아니라 UEP 해명 등에 매우 소극적인 군부 인사들까지 만날 지, 그리고 이를 통해 반전의 계기가 마련될 지가 이번 방북의 성패를 결정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힐 차관보와 북측의 협의가 긍정적인 결과를 낼 경우 6자 수석대표회담은 당초 의장국 중국이 각국에 통보한 대로 6일이나 하루 이틀 늦은 시일에 베이징에서 열릴 것으로 보인다.
핵시설 불능화 작업이 순항하고 있는 현 상황에서 핵 프로그램 신고도 고비를 넘을 경우 6자회담 참가국들은 비공식 수석대표회담이 끝난 뒤 다시 공식 6자회담을 개최해 합의내용을 발표하고 내년 이후 핵폐기 로드맵을 논의할 것으로 알려졌다.
한 소식통은 "10.3합의는 연말까지를 시한으로 불능화와 신고의 내용을 규정한 것으로, 내년 이후 북한과 나머지 5개국이 해야할 조치를 논의해야 한다"면서 "이와함께 6자 외교장관회담을 열어 평화체제 논의의 발판을 마련하는 일도 의제에 포함된다"고 말했다.
하지만 UEP 의혹에 대해 북한측이 기존의 입장을 고수하거나 소극적인 해명에 나서 북.미가 접점을 찾지 못할 경우 6자 수석대표 회담의 연내 개최는 물론 테러지원국 해제 등도 어려워 지면서 6자회담 국면이 부정적으로 바뀔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소식통들은 전했다.
한편, 서울에 체류 중인 힐 차관보는 주말인 1-2일 방북 대책을 마련하는 한편 대학 강연이나 지인들과의 만남 등 비공식 일정을 소화한 것으로 알려졌다.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서울=연합뉴스) 이우탁 기자 = 북핵 6자회담 미국측 수석대표인 크리스토퍼 힐 국무부 동아태 차관보가 3일 방북길에 오른다.
힐 차관보는 이날 오전 경기도 모처의 미군 비행장에서 항공편을 이용해 평양으로 향할 것으로 알려졌다.
5일까지 북한에 체류하게 되는 힐 차관보는 10.3합의에 의거해 연말을 목표로 진행중인 영변 3대 핵시설의 불능화 작업 현장을 시찰하는 한편 협상 파트너인 김계관 북한 외무성 부상 등과 만나 현안으로 부상한 ''핵 프로그램 신고'' 문제를 집중 협의할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힐 차관보의 방북 결과에 따라 북한의 신고서 제출시기와 6자 수석대표 회의 일정이 사실상 결정될 것으로 보여 추이가 주목된다.
미국측은 북한의 핵 프로그램 신고와 관련, 추출된 플루토늄 총량과 농축우라늄프로그램(UEP) 관련 의혹, 핵 이전 문제 등 과거 핵활동 전반이 신고서에 담기거나 ''증거를 토대로 한 만족할 수준''의 해명이 전제돼야 테러지원국 명단 삭제 등 북한에 주어질 안보적 조치가 가능하다는 입장인 것으로 알려졌다.
외교소식통들은 2일 "힐 차관보의 방북을 통해 UEP 의혹이나 핵이전설 등에 대해 미국 조야가 만족할 수준의 합의가 도출된다면 6자회담의 순항 기조가 이어질 것"이라면서 "힐 차관보가 김계관 부상 뿐 아니라 UEP 해명 등에 매우 소극적인 군부 인사들까지 만날 지, 그리고 이를 통해 반전의 계기가 마련될 지가 이번 방북의 성패를 결정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힐 차관보와 북측의 협의가 긍정적인 결과를 낼 경우 6자 수석대표회담은 당초 의장국 중국이 각국에 통보한 대로 6일이나 하루 이틀 늦은 시일에 베이징에서 열릴 것으로 보인다.
핵시설 불능화 작업이 순항하고 있는 현 상황에서 핵 프로그램 신고도 고비를 넘을 경우 6자회담 참가국들은 비공식 수석대표회담이 끝난 뒤 다시 공식 6자회담을 개최해 합의내용을 발표하고 내년 이후 핵폐기 로드맵을 논의할 것으로 알려졌다.
한 소식통은 "10.3합의는 연말까지를 시한으로 불능화와 신고의 내용을 규정한 것으로, 내년 이후 북한과 나머지 5개국이 해야할 조치를 논의해야 한다"면서 "이와함께 6자 외교장관회담을 열어 평화체제 논의의 발판을 마련하는 일도 의제에 포함된다"고 말했다.
하지만 UEP 의혹에 대해 북한측이 기존의 입장을 고수하거나 소극적인 해명에 나서 북.미가 접점을 찾지 못할 경우 6자 수석대표 회담의 연내 개최는 물론 테러지원국 해제 등도 어려워 지면서 6자회담 국면이 부정적으로 바뀔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소식통들은 전했다.
한편, 서울에 체류 중인 힐 차관보는 주말인 1-2일 방북 대책을 마련하는 한편 대학 강연이나 지인들과의 만남 등 비공식 일정을 소화한 것으로 알려졌다.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