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영규 칼럼]대선후보 도덕성 중요치 않은가

지역내일 2007-11-16
대선후보 도덕성 중요치 않은가
박영규 (언론인 전 연합뉴스 논설위원)

노무현 대통령이 싫다. 열린우리당이 싫다. 거기에 몸담았던 사람조차 싫다. 현 정권에 대한 응징으로 반드시 정권교체를 해야 한다. 한나라당 이명박 후보를 지지하는 다수의 성향이다. 도덕적 흠도 눈감아 줄 수 있다. 이후보가 싫어도 어쩔 수 없다는 사람도 있다. 바람직하지 않으나 이것이 현실이다.
지난해 5월 지방선거 때 정책과 공약의 신뢰성을 보고 지도자를 뽑는 메니페스토 선거풍토를 만들겠다던 지식인의 선언과 언론 매체의 의지는 간 곳이 없다. 대선을 앞두고 유력 후보의 품안으로 날아간 지식인만 적지 않다.
과연 대통령 후보의 도덕성이나 정책적 검증이 필요치 않은가. 그저 바꾸면 만사형통인가.
박근혜 전대표가 이회창씨의 후보 선언이 바람직하지 않다고 했지만 오랫동안 침묵했던 이유는 무얼까. 박 의원은 이명박 후보의 약점을 잘 아는 사람이다. 경선 때 이명박 후보의 허점을 세세히 살폈기 때문이다. 박근혜 후보는 이 후보가 본선에서 그런 약점 때문에 곤경에 처할 것이라고 지적하기도 했다.

자녀문제 핵심쟁점 부상조짐
대통령선거일이 33일 남았다. 열흘후면 후보등록 후 20여 일의 선거운동을 거치게 된다. 그러나 여당 없는 싱거운 대선이 전개되고 있다. 이회창 후보의 등장으로 민심이 출렁였으나 여권에 악재가 됐을 뿐이다. 정동영 후보를 비롯한 다른 후보의 지지율만 떨어졌다. 지난 국정 불만에 대한 반감 탓이다. 20%대를 보였던 이회창 후보의 지지율이 떨어져도 여권 후보의 지지율엔 변화가 없다.
그런데 민심을 흔들 요인들이 등장하고 있다. 김경준씨의 귀국으로 새로운 변수가 생겼다. 그러나 한나라당은 별로 신경을 쓰지 않는 것 같다. BBK주가조작 사건의 본질은 공금횡령 및 주가조작인데 이것과 관련해 이 후보가 법적 책임을 질 일이 없다는 것이 한나라당의 생각이다.
한나라당은 BBK공세에 대비해 충분한 답변 자료를 준비하고 있다고 자신한다. 이 후보가 소유한 시가 500억원 상당의 부동산도 떳떳한 돈으로 인식한다. 이 후보가 고정주영 현대 회장과 파트너십 관계였기에 그 정도 재산은 이상할 게 없다는 주장이다. 단순한 봉급쟁이 CEO가 아니라는 얘기다.
이렇듯 한나라당은 BBK문제나 재산형성에 대해서는 자신만만한 태도를 보인다. 그러나 최근 불거진 이명박 후보의 자녀 위장취업에 대해서는 민감한 반응이다. 이회창 전 총재가 2002년 대선때 아들 병역문제로 패배했던 악몽 때문일까. 당시 이회창 후보는 1위를 달리다 병풍(兵風)에 휩싸여 무너졌다.
자칫하면 이번 대선에서도 한나라당 대선후보의 자녀 문제가 핵심 쟁점으로 부상할 조짐이다. 이명박 후보 역시 자녀의 ‘위장전입’과 ‘위장취업’ 문제로 위기에 직면할 것인가가 관심사다.
이 후보는 사태의 심각성때문에 “꼼꼼히 챙기기 못해 죄송스럽게 생각한다”며 직접 사과했다. 그리고 자녀 위장취업 관련 미납세금까지 일괄 납부했다. 그래도 파문이 좀처럼 가라앉을 기미를 보이지 않는다.
취업 문제는 병역 문제 이상으로 서민들의 관심사다. 때문에 BBK주가조작 사건보다 악재가 될 수 있다. 대통합민주신당은 이 후보와 가족들에 대한 세무조사 및 검찰고발을 국세청에 요구하며 정치적 공세를 가하고 있다. 네티즌들의 분노도 들끓고 있다. 인터넷에는 수만 명의 비판적인 댓글이 올라온다. “비리가 양파처럼 벗기고 벗겨도 끝이 보이지 않는다” “그러면서 국민의 지지를 받고 대통령이 되겠다니......” 이런 글이 꼬리를 무니 파문이 쉽게 가라앉지 않을 전망이다. 더욱이 이번 위장취업은 대선후보가 된 뒤에 저질러진 일이라는 점에서 심각성이 더하다. 공인으로서의 도덕성을 망각하고 있다는 이유에서다.
정권교체를 열망하며 이 후보를 지지해온 유권자들이 딜레마에 빠지게 됐다. 다른 대안은 없는가 모색할 만 하다.

정책 검증도 이뤄져야
지금까지 대선 출마를 선언한 예비후보는 11명. 그중 보도를 통해 잘 알려진 후보는 권영길, 문국현, 심대평, 이명박, 이인제, 이회창, 정동영후보 등 7명이다. 그밖에 장성민, 이수성, 정근모 후보도 있으나 낯설다.
남은 33일 동안이라도 대선후보들의 국정운영 방향과 분야별 정책 방안 등이 뚜렷이 제시돼야 한다. 정책과 도덕성 등을 검증할 사회적 논의도 집중적으로 이뤄져야 한다. 그리고 나서 지지 후보를 가리는 것이 순리일 것이다.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닫기
(주)내일엘엠씨(이하 '회사'라 함)은 개인정보보호법을 준수하고 있으며, 지역내일 미디어 사이트와 관련하여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 수집∙이용(제공)에 대한 귀하의 동의를 받고자 합니다. 내용을 자세히 읽으신 후 동의 여부를 결정하여 주십시오. [관련법령 개인정보보호법 제15조, 제17조, 제22조, 제23조, 제24조] 회사는 이용자의 개인정보를 중요시하며,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 「개인정보보호법」을 준수하기 위하여 노력하고 있습니다.
회사는 개인정보처리방침을 통하여 회사가 이용자로부터 제공받은 개인정보를 어떠한 용도와 방식으로 이용하고 있으며, 개인정보보호를 위해 어떠한 조치를 취하고 있는지 알려드립니다.


1) 수집 방법
지역내일 미디어 기사제보

2) 수집하는 개인정보의 이용 목적
기사 제보 확인 및 운영

3) 수집 항목
필수 : 이름, 이메일 / 제보내용
선택 : 휴대폰
※인터넷 서비스 이용과정에서 아래 개인정보 항목이 자동으로 생성되어 수집될 수 있습니다. (IP 주소, 쿠키, MAC 주소, 서비스 이용 기록, 방문 기록, 불량 이용 기록 등)

4) 보유 및 이용기간
① 회사는 정보주체에게 동의 받은 개인정보 보유기간이 경과하거나 개인정보의 처리 목적이 달성된 경우 지체 없이 개인정보를 복구·재생 할 수 없도록 파기합니다. 다만, 다른 법률에 따라 개인정보를 보존하여야 하는 경우에는 해당 기간 동안 개인정보를 보존합니다.
② 처리목적에 따른 개인정보의 보유기간은 다음과 같습니다.
- 문의 등록일로부터 3개월

※ 관계 법령
이용자의 인터넷 로그 등 로그 기록 / 이용자의 접속자 추적 자료 : 3개월 (통신비밀보호법)

5) 수집 거부의 권리
귀하는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동의하지 않으실 수 있습니다. 다만, 수집 거부 시 문의하기 기능이 제한됩니다.
이름*
휴대폰
이메일*
제목*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