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외버스터미널의 수상동 이전계획이 당분간 보류될 것으로 보인다. 이같은 사실은 지난 23일 안동을 방문한 경상북도 도시계획 재정비 심의 소위원회 관계자가 실사를 마친 뒤 가진 안동MBC와의 전화인터뷰에서 “시외버스 정류장의 수상동 이전은 철도이전과 연계하려던 당초 도시기본계획과 배치돼 기본계획을 고친뒤 추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의견을 제시하면서 확인됐다.
소위원회의 의견은 4월에 열릴 예정인 경상북도 도시계획심의 본회의에 직접적인 영향을 끼
치는 것으로 터미널이전 보류는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독단적 행정운영에 제동
경상북도 도시계획심의 본회의가 소위원회의 결정을 받아 들여 최종적으로 보류판정을 내린
다면 시당국으로서는 적지않은 타격을 입을 것으로 보인다. 특히 92년 이후 확고한 원칙으
로 표방했던 ‘중앙선 철로 복선화 계획과 연계한 터미널 이전’입장을 번복하고 더군다나
특혜의혹까지 무릅쓰면서 무리하게 추진했던 이전 계획이 최종심에서 좌초됨에따라 충격의
여파는 쉽게 가라앉지 않을 전망이다.
이번 소위원회 의원들의 판단도 시의 일관성없는 정책추진에 제동을 건 것으로 평가된다.
지난번 ‘열린사회를 위한 안동시민연대’(상임대표 정우·대원사 주지, 집행위원장 박장동)
가 시의원들을 상대로 실시한 설문조사에서 반대 이유로 제시된 것이 △버스터미널이전 예
정지 위치부적절 △개인사업자 특혜의혹 △시민여론수렴 미흡 △시내상권 파탄 △장기적 도
시계획 미흡 등이었다.
민의를 무시한 정책집행은 어려워
지금까지 버스터미널 이전의 가장 큰 문제점으로 지적된 것 중 하나가 여론수렴과정의 미흡
이었다. 이와 관련해 지난번 안동시민연대 시민 715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설문조사 결과는
실로 충격으로 다가왔다. 설문조사 결과 무려 응답자의 38.2%가 이전사실을 전혀 몰랐다고
응답한 것이다. 이는 시가 그동안 공개적인 석상에서 수차례 버스터미널 이전을 주민생활과
밀접한 주요현안사업이라고 말했음에도 불구하고 ‘몰랐다’고 응답한 사람들의 비율이 이
처럼 높았던 것은 탁상행정식 정책집행이라는 점을 반증하는 대목으로 풀이된다.
이에 대해 안동시민연대 관계자는 “안동시가 시외버스터미널 이전정책을 수립하고 집행하
는 과정에서 시민들의 충분한 여론수렴절차를 거치지 않았던 것이 결국 자충수로 작용한 것
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시외버스터미널 이전과 관련해 무성했던 갖가지 의혹들은 한동안 수면밑으로 가라앉을 것으
로 보인다. 그러나 시의 강행의지가 정책수정으로까지 이어질지는 미지수며, 특히 공개적으
로 찬성입장을 견지했던 안동지역택시노조협의회의 향후 거취도 주목되는 부분중에 하나다.
소위원회의 의견은 4월에 열릴 예정인 경상북도 도시계획심의 본회의에 직접적인 영향을 끼
치는 것으로 터미널이전 보류는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독단적 행정운영에 제동
경상북도 도시계획심의 본회의가 소위원회의 결정을 받아 들여 최종적으로 보류판정을 내린
다면 시당국으로서는 적지않은 타격을 입을 것으로 보인다. 특히 92년 이후 확고한 원칙으
로 표방했던 ‘중앙선 철로 복선화 계획과 연계한 터미널 이전’입장을 번복하고 더군다나
특혜의혹까지 무릅쓰면서 무리하게 추진했던 이전 계획이 최종심에서 좌초됨에따라 충격의
여파는 쉽게 가라앉지 않을 전망이다.
이번 소위원회 의원들의 판단도 시의 일관성없는 정책추진에 제동을 건 것으로 평가된다.
지난번 ‘열린사회를 위한 안동시민연대’(상임대표 정우·대원사 주지, 집행위원장 박장동)
가 시의원들을 상대로 실시한 설문조사에서 반대 이유로 제시된 것이 △버스터미널이전 예
정지 위치부적절 △개인사업자 특혜의혹 △시민여론수렴 미흡 △시내상권 파탄 △장기적 도
시계획 미흡 등이었다.
민의를 무시한 정책집행은 어려워
지금까지 버스터미널 이전의 가장 큰 문제점으로 지적된 것 중 하나가 여론수렴과정의 미흡
이었다. 이와 관련해 지난번 안동시민연대 시민 715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설문조사 결과는
실로 충격으로 다가왔다. 설문조사 결과 무려 응답자의 38.2%가 이전사실을 전혀 몰랐다고
응답한 것이다. 이는 시가 그동안 공개적인 석상에서 수차례 버스터미널 이전을 주민생활과
밀접한 주요현안사업이라고 말했음에도 불구하고 ‘몰랐다’고 응답한 사람들의 비율이 이
처럼 높았던 것은 탁상행정식 정책집행이라는 점을 반증하는 대목으로 풀이된다.
이에 대해 안동시민연대 관계자는 “안동시가 시외버스터미널 이전정책을 수립하고 집행하
는 과정에서 시민들의 충분한 여론수렴절차를 거치지 않았던 것이 결국 자충수로 작용한 것
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시외버스터미널 이전과 관련해 무성했던 갖가지 의혹들은 한동안 수면밑으로 가라앉을 것으
로 보인다. 그러나 시의 강행의지가 정책수정으로까지 이어질지는 미지수며, 특히 공개적으
로 찬성입장을 견지했던 안동지역택시노조협의회의 향후 거취도 주목되는 부분중에 하나다.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