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용섭 건설교통부 장관(사진)은 16일 “경부 대운하는 일방적으로 결정할 문제가 아니라 전문가의 충분한 검토와 이를 바탕으로 한 국민적 논의를 거쳐 추진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 장관은 이날 가진 기자간담회에서 “대운하 추진여부는 새 정부가 최종 결정하겠지만 우리 강산은 우리 세대만이 아니라 자손대대로 누려야 할 자산”이라며 이같이 지적했다. 특히 이 장관은 “요식행위를 거쳐 추진여부가 결정돼서는 않되며 국민적 공감대가 형성돼야 분쟁을 줄일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명박 당선인측이 대운하 건설을 밀어붙이는 것을 비판한 것이다.
그는 14년동안 완공을 못하고 있는 경인운하를 예로 들며 “충분한 사회적 합의와 공론을 거쳐야 한다”고 거듭 신중한 추진을 주문했다.
이 장관은 이날 새 정부의 부동산 정책에 대한 자신의 생각도 밝혔다.
그는 “대책과 정책은 구분돼야 하며, 정책은 일관성이 있어야 한다”고 전제한 뒤 “참여정부 부동산 정책은 투기억제, 거래투명성 제고, 공급확대, 서민주거 안정이라는 4대 목표가 한번도 변한 적이 없다”고 강조했다.
이어 이 장관은 인수위원회의 양도세, 종부세 완화방침과 관련 “양도세 장기보유특별공제 혜택을 보유기간 20년으로 올리는 것은 찬성한다”며 “이는 참여정부의 정책과 반대되는 것이 아니라 보완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 종부세 완화에 대해서는 “기준을 6억원으로 하느냐, 9억원으로 하느냐는 정부의 정책적인 판단 문제”라며 “정부가 필요하면 충분히 할 수 있다”고 말했다.
김병국 기자 bgkim@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이 장관은 이날 가진 기자간담회에서 “대운하 추진여부는 새 정부가 최종 결정하겠지만 우리 강산은 우리 세대만이 아니라 자손대대로 누려야 할 자산”이라며 이같이 지적했다. 특히 이 장관은 “요식행위를 거쳐 추진여부가 결정돼서는 않되며 국민적 공감대가 형성돼야 분쟁을 줄일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명박 당선인측이 대운하 건설을 밀어붙이는 것을 비판한 것이다.
그는 14년동안 완공을 못하고 있는 경인운하를 예로 들며 “충분한 사회적 합의와 공론을 거쳐야 한다”고 거듭 신중한 추진을 주문했다.
이 장관은 이날 새 정부의 부동산 정책에 대한 자신의 생각도 밝혔다.
그는 “대책과 정책은 구분돼야 하며, 정책은 일관성이 있어야 한다”고 전제한 뒤 “참여정부 부동산 정책은 투기억제, 거래투명성 제고, 공급확대, 서민주거 안정이라는 4대 목표가 한번도 변한 적이 없다”고 강조했다.
이어 이 장관은 인수위원회의 양도세, 종부세 완화방침과 관련 “양도세 장기보유특별공제 혜택을 보유기간 20년으로 올리는 것은 찬성한다”며 “이는 참여정부의 정책과 반대되는 것이 아니라 보완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 종부세 완화에 대해서는 “기준을 6억원으로 하느냐, 9억원으로 하느냐는 정부의 정책적인 판단 문제”라며 “정부가 필요하면 충분히 할 수 있다”고 말했다.
김병국 기자 bgkim@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