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뉴스) 최윤정 기자 = 고유가 여파로 작년 12월 휘발유 등 국내 석유제품 소비가 21개월만에 가장 큰 폭으로 감소했다.
23일 대한석유협회에 따르면 지난달 석유 소비량은 7천93만6천배럴로 전년 같은달에 비해 6.4% 줄어 지난 2006년 3월(-7.96%)이래 가장 위축된 모습을 보였다.
지난해 연간으로는 국내 석유소비량이 7억8천673만1천배럴로 전년보다 2.8% 늘었지만 11월에 -1.2%를 기록한데 이어 최근 2개월 연속 감소했다.
지난달 유종별 소비는 수송용 연료인 휘발유(-3.2%)와 경유(-3.3%)를 비롯해 벙커씨유(-29.8%), 항공유(-16.9%) 등 나프타를 제외한 거의 전 제품에서 감소했다.
특히 승용차 연료로 주로 쓰이는 휘발유는 지난해 11월 15개월만에 소비 증가 행진을 멈춘 이래 드디어 감소세로 돌아섰다.
대한석유협회 관계자는 "유가가 가파른 상승세를 지속하는 가운데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 등으로 세계 경제가 불안한 행보를 보이자 소비심리가 얼어붙은 것으로분석된다"고 말했다.
국제 원유 가격은 두바이유 기준으로 작년 12월에 배럴당 평균 85.7달러로 1년전에 비해 46.0% 치솟았고 휘발유와 석유 등 석유제품 가격도 1년만에 45.9%, 51.4%뛰었다.
이에 따라 국내 주유소 판매 가격도 휘발유가 지난 2006년 12월 리터당 평균 1천414.98원에서 1년 뒤 1천632.54원으로, 경유가 같은 기간 1천181.78원에서 1천435.46원으로, 등유가 884.77원에서 1천94.13원으로 모두 200원이상 올랐다.
석유제품 가운데 벙커씨유 소비가 급감한 것은 유가 상승에 부담을 느낀 발전회사들이 연료를 LNG로 전환하고 나선데 따른 것으로 파악됐다.
벙커C유의 국제 가격도 작년 12월에 73.6달러로 1년 전에 비해 71.4%나 상승했다.
등유의 경우 올 겨울 날씨가 따뜻한데다가 이달 초 세금이 인하될 것이 대한 기대로 구매를 늦춘 소비자가 많았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대한석유협회는 이달 들어서도 유가가 고공행진을 이어가고 있는데다 증시 급락등 소비 심리에 부정적인 요인이 많아서 석유제품 소비도 감소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merciel@yna.co.kr(끝)
<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저>
23일 대한석유협회에 따르면 지난달 석유 소비량은 7천93만6천배럴로 전년 같은달에 비해 6.4% 줄어 지난 2006년 3월(-7.96%)이래 가장 위축된 모습을 보였다.
지난해 연간으로는 국내 석유소비량이 7억8천673만1천배럴로 전년보다 2.8% 늘었지만 11월에 -1.2%를 기록한데 이어 최근 2개월 연속 감소했다.
지난달 유종별 소비는 수송용 연료인 휘발유(-3.2%)와 경유(-3.3%)를 비롯해 벙커씨유(-29.8%), 항공유(-16.9%) 등 나프타를 제외한 거의 전 제품에서 감소했다.
특히 승용차 연료로 주로 쓰이는 휘발유는 지난해 11월 15개월만에 소비 증가 행진을 멈춘 이래 드디어 감소세로 돌아섰다.
대한석유협회 관계자는 "유가가 가파른 상승세를 지속하는 가운데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 등으로 세계 경제가 불안한 행보를 보이자 소비심리가 얼어붙은 것으로분석된다"고 말했다.
국제 원유 가격은 두바이유 기준으로 작년 12월에 배럴당 평균 85.7달러로 1년전에 비해 46.0% 치솟았고 휘발유와 석유 등 석유제품 가격도 1년만에 45.9%, 51.4%뛰었다.
이에 따라 국내 주유소 판매 가격도 휘발유가 지난 2006년 12월 리터당 평균 1천414.98원에서 1년 뒤 1천632.54원으로, 경유가 같은 기간 1천181.78원에서 1천435.46원으로, 등유가 884.77원에서 1천94.13원으로 모두 200원이상 올랐다.
석유제품 가운데 벙커씨유 소비가 급감한 것은 유가 상승에 부담을 느낀 발전회사들이 연료를 LNG로 전환하고 나선데 따른 것으로 파악됐다.
벙커C유의 국제 가격도 작년 12월에 73.6달러로 1년 전에 비해 71.4%나 상승했다.
등유의 경우 올 겨울 날씨가 따뜻한데다가 이달 초 세금이 인하될 것이 대한 기대로 구매를 늦춘 소비자가 많았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대한석유협회는 이달 들어서도 유가가 고공행진을 이어가고 있는데다 증시 급락등 소비 심리에 부정적인 요인이 많아서 석유제품 소비도 감소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merciel@yna.co.kr(끝)
<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저>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