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해중부선 철도 복원· 포항 ~ 울진간 국도 확충 등 ‘U''자형 국토개발 조기 완성
경북도가 교통오지로 전락한 경북 동해안의 도로와 철로 등의 조기 완공을 위해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도는 특히 동서남해안 개발 특별법 입법과 경북 포항출신인 이명박 대통령 당선인의 취임을 계기로 그동안 ‘L''자형 국토개발에 머물렀던 것을 ’U''자형으로 확대하기 위해 관련기관 대책회의를 여는 등 행정력을 총동원해 열악한 동해안 사회간접자본 개선에 나서고 있다.
경북도는 동해안과 연결되는 3개 고속도로를 비롯 2개 국도, 2개 철도의 조기개설을 추진하고 있다.
고속도로의 경우 상주~안동~영덕간 동서 6축 106km의 조기완공을 위해 2009년중 2000억원의 국비지원을 요청하고 있다. 이 고속도로는 동서6축도로로 이미 당진~대전~공주간 서해안쪽은 2001년 착공돼 2009년 완공을 앞두고 있어 연계교통망 확보를 위해 조기건설이 절실한 입장이다. 경북도는 2008년중 116억원의 예산을 확보해 예비타당성조사와 기본설계를 마무리할 계획이다.
동서 5축도로인 문경~영주~울진간 150km 고속도로는 올해 4차 국토종합계획 및 국가기간교통망계획에 반영돼 있으나 공사시기를 앞당길 계획으로 추진하고 있다. 도는 2009년 예비타당성 조사비 5억원과 2010년이후 공사비 2조8815억원의 조기집행을 요청하고 있다.
2003년부터 착공된 포항 ~울산간 고속도로(53.5Km)는 2009년까지 기본설계와 실시설계를 마무리하고 2010년이후 본격 공사에 들어갈 계획으로 추진되고 있다. 총사업비는 2008년 160억원과 2009년 200억원을 포함 총공사비 1조4299억원으로 동북아 물류허브 기능강화를 위해 조속한 공사 착공을 촉구하고 있다.
포항~울진을 거쳐 강원도 경계까지 연결되는 7번 국도의 4차로 확장을 20년간 지연되고 있어 동해안 관광객유치난과 주민불편이 가중되고 있다.
1989년부터 착공된 7번 국도 137km구간은 동해안의 유일한 연안교통도로지만 국비예산지원의 우선순위에 밀려 지연되고 있다. 도는 2007년까지 8988억원의 예산을 투입해 일부구간 공사를 마무리했으나 올해 678억원의 국비를 투입해 병곡~기성~원남간 공사를 오나료해 전구간을 개통할 계획이다. 또 2001년부터 착공된 봉화~울진간 국도 4차로도 낙후된 경북 북부지역의 군향개발 촉진을 위해 2017년 완공 목표로 추진되고 있다.
철로의 경우 포항~삼척간 동해중부선 부설과 포항~울산간 동해남부선 복선화가 시급하다.
동해중부선은 2002년부터 추진됐으나 2008년까지 기본설계와 실시설계만 마무리될 수준에 머물고 있다. 또 2003년부터 추진된 동해남부선의 복선전철화도 2016년 완공목표로 장기 표류되고 있다. 경북도는 1일 최다 40회의 선로용량을 갖는 단선철도에 25~30회에 이르는 열차운행으로 여유용량이 부족해 복선화가 시급해 조기추진을 요구하고 있다.
경북도는 지난 10여년간 서남해안중심의 도로확충으로 ‘L''자형 국토개발이 완료됐으며 앞으도는 동해안 중심의 개발로 ’U''자형 국토개발을 위해 중앙정부가 발벗고 나설 것을 요청하고 있다. 김장환 경북도 건설도시방재국장은 “동서남해안 개발 특별법이 만들어져 동해안 개발의 법적 기반이 조성된 만큼 동해안의 열악한 사회간접자본 확충을 위해 정부의 전폭적인 지원을 유도하기 위해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고 말했다.
대구 최세호 기자 seho@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