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산 호수공원과 분당 중앙공원 등 경기도내 5개 신도시 근린공원이 계획 및 설계과정에서 주민의견
을 제대로 수렴하거나 반영하지 않은 탓으로 이용자의 욕구수준에 부응하지 못하고 있다는 연구결과
가 나왔다.
경기개발연구원은 2일’신도시 공원기능 향상방안에 관한 연구’를 통해 지역적 특성이 반영되지 않
은 획일적 개발과 체계적인 관리 및 운영미흡으로 공원이용자들의 만족도가 낮게 나타나고 있다고
밝혔다.
연구원이 공원이용 주민들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한 결과 신도시 전체 근린공원시설의 문제점은 획일
적 시설물(26.3%), 프로그램 부족(24%), 자연요소 부족(22.7%) 순으로 나타났다.
공원별로는 산본 중앙공원 자연요소 부족을(30.4%), 분당과 중동 중앙공원 획일적 시설물(31%), 평
촌, 안산 중앙공원과 일산 호수공원은 프로그램 부족(36.7%)을 가장 큰 불만요인으로 지적했다.
이에반해 가장 만족하는 시설로는 광장·산책로(38.1%)를 꼽았으며 벤치·파고라 등 휴식시설
(23.2%), 나무와 숲(19.5%) 등의 순으로 만족도를 표시했다.
공원별로는 산본 중동 분당 일산 중앙공원 등은 광장·산책로를, 가장 많이 선택한데 반해 평촌 중앙
공원은 휴식시설을 만족하는 시설로 우선했다.
시설물 가운데 가장 관리가 안되고 있는 시설물로는 휴게시설물의 유지보수(32.4%)와 자연환경요소
의 관리(20.0%)를 꼽았으며 안내표시에 대한 관리와 청결, 범죄요소에 대한 관리부족도 문제로 지적
했다.
기타 불편사항으로는 수목과 나무그늘 부족(35.6%) 및 쉴 곳 부족(21.7%)을 가장 많이 꼽았으며 다음
으로는 시설물(25.4%), 외진곳의 위험(20.9%), 공원관리 미흡(14.9%)을 꼽았다.
특히 일산 호수공원과 중동, 평촌 중앙공원과 같이 평지에 조성되고 인공시설 중심의 경우 대부분의
응답자들이 수목과 나무그늘 부족을, 일산 호수공원은 주차장 부족을 가장 불편한 사항으로 지적했
다.
/ 수원 정흥모 기자 hmchung@naeil.com
을 제대로 수렴하거나 반영하지 않은 탓으로 이용자의 욕구수준에 부응하지 못하고 있다는 연구결과
가 나왔다.
경기개발연구원은 2일’신도시 공원기능 향상방안에 관한 연구’를 통해 지역적 특성이 반영되지 않
은 획일적 개발과 체계적인 관리 및 운영미흡으로 공원이용자들의 만족도가 낮게 나타나고 있다고
밝혔다.
연구원이 공원이용 주민들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한 결과 신도시 전체 근린공원시설의 문제점은 획일
적 시설물(26.3%), 프로그램 부족(24%), 자연요소 부족(22.7%) 순으로 나타났다.
공원별로는 산본 중앙공원 자연요소 부족을(30.4%), 분당과 중동 중앙공원 획일적 시설물(31%), 평
촌, 안산 중앙공원과 일산 호수공원은 프로그램 부족(36.7%)을 가장 큰 불만요인으로 지적했다.
이에반해 가장 만족하는 시설로는 광장·산책로(38.1%)를 꼽았으며 벤치·파고라 등 휴식시설
(23.2%), 나무와 숲(19.5%) 등의 순으로 만족도를 표시했다.
공원별로는 산본 중동 분당 일산 중앙공원 등은 광장·산책로를, 가장 많이 선택한데 반해 평촌 중앙
공원은 휴식시설을 만족하는 시설로 우선했다.
시설물 가운데 가장 관리가 안되고 있는 시설물로는 휴게시설물의 유지보수(32.4%)와 자연환경요소
의 관리(20.0%)를 꼽았으며 안내표시에 대한 관리와 청결, 범죄요소에 대한 관리부족도 문제로 지적
했다.
기타 불편사항으로는 수목과 나무그늘 부족(35.6%) 및 쉴 곳 부족(21.7%)을 가장 많이 꼽았으며 다음
으로는 시설물(25.4%), 외진곳의 위험(20.9%), 공원관리 미흡(14.9%)을 꼽았다.
특히 일산 호수공원과 중동, 평촌 중앙공원과 같이 평지에 조성되고 인공시설 중심의 경우 대부분의
응답자들이 수목과 나무그늘 부족을, 일산 호수공원은 주차장 부족을 가장 불편한 사항으로 지적했
다.
/ 수원 정흥모 기자 hmchung@naeil.com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