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경제가 부동산시장 침체와 신용위기, 달러화 약세 등으로 고전하는 가운데 상대적으로 값이 싸진 미국의 기업 및 각종 자산을 외국 자본들이 잇따라 인수에 나서고 있기 때문이다.
뉴욕타임스(NYT)는 20일 미국이 전 세계를 상대로 각종 자산의 할인 판매에 나섰다며 지난해 외국 자본의 미국 자산 인수가 기록을 세웠다고 보도했다.
신용경색과 실업률 증가 및 경기침체 우려가 커지면서 미국의 기업 및 정부 지도자들은 경제성장 지속을 위해 외국 자본에 구애를 하고 있고, 외국 자본들은 달러화 약세로 싸진 미국 기업 등의 공격적 인수에 나서면서 미국 시장 진출을 확대하고 있다.
톰슨 파이낸셜의 집계에 따르면 지난해 외국 투자가들이 개별 협상이나 상장주식 거래를 통해 미국의 기업이나 공장 및 각종 자산 구입을 위해 투자한 자금은 4140억 달러에 달해 전년에 비해 90%나 증가하는 기록을 세웠다.
이는 지난해 미국 내에서 발표된 인수합병 거래의 4분의 1을 넘는 규모로, 지난해 외국 자본의 투자액은 지난 10년간 평균치의 배를 넘어섰다.
올해 들어서도 신용경색으로 자금사정이 어려운 금융기관들이 아시아지역의 국부펀드 등으로부터 잇따라 자금 조달에 나서면서 새해 첫 2주간 외국 자본이 투자에 합의한 금액도 226억달러에 달하고 있어 미국의 경기침체가 현실화되고 달러 약세가 지속될 경우 외국 자본의 미국 자산 인수는 가속화할 것으로 경제전문가들은 예상하고 있다.
서브프라임모기지 관련 손실 등으로 고전하고 있는 금융기관들은 지난해에 이어 올해에도 잇따라 중국이나 중동의 국부펀드 등으로부터 자금 조달에 나서고 있다.
씨티그룹은 최근 사우디아라비아의 알왈리드 빈 탈랄 왕자와 싱가포르 국부펀드, 쿠웨이트투자청(KIA) 등으로부터 우선주 발행을 통해 125억달러의 자금을 조달하는 등 총 145억달러를 조달키로 했다. 씨티그룹은 작년 11월에도 아랍에미리트연합(UAE)의 아부다비 투자청(ADIA)으로부터 75억달러를 조달했었다.
메릴린치도 최근 한국투자공사(KIC)로부터 20억달러를 조달하는 등 쿠웨이트투자청과 일본의 미즈호은행 등으로부터 의무전환우선주 발행을 통해 총 66억달러를 조달키로 합의했다.
신문은 그러나 관심을 모은 이런 금융기간의 자금조달 이면에 더 심오한 변화가 진행되고 있다면서 외국 자본들은 지난해 부동산과 철강, 에너지, 식품 등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분야의 미국 기업들을 인수했다고 설명했다.
달러화 약세는 특히 캐나다와 유럽 국가들에게 미국 기업을 더욱 싸게 만들고 오일머니와 경제성장으로 자금이 풍부한 중동 국가와 중국 등도톰슨 파이낸셜에 따르면 지난해 발표된 미국내 인수.합병의 국가별 투자액은 캐나다가 656억달러로 가장 많았고 영국이 458억달러, 호주가 301억달러, 스페인과 독일이 각각 242억달러 등의 순으로 많았다. 또 2000년에만 해도 투자액이 제로였던 아랍에미리트연합이 177억달러로 6위, 사우디아라비아가 127억달러로 7위에 올랐고 한국은 104억달러로 12위, 중국은 98억달러로 14위에 올랐다. 신문은 외국 자본 투자의 급증은 세계 경제에서 차지하는 미국의 입지에 대한 논란을 가열시키면서 1980년대 일본이 미국의 자산 인수에 나설 때 불거졌던 것과 같은 극단 애국주의적 우려까지 일부에서 불러오고 있다고 전했다.
이와 함께 중동과 중국 등의 국부펀드가 미국 금융기관 등에 대한 투자가 급증함에 따라 미 의회와 규제당국은 외국 자본이 금융시스템이나 군수 관련 기술에 영향력을 발휘하지 못하도록 하는 방안을 요구하는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고 신문은 설명했다.
뉴욕=연합뉴스 김현준 특파원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뉴욕타임스(NYT)는 20일 미국이 전 세계를 상대로 각종 자산의 할인 판매에 나섰다며 지난해 외국 자본의 미국 자산 인수가 기록을 세웠다고 보도했다.
신용경색과 실업률 증가 및 경기침체 우려가 커지면서 미국의 기업 및 정부 지도자들은 경제성장 지속을 위해 외국 자본에 구애를 하고 있고, 외국 자본들은 달러화 약세로 싸진 미국 기업 등의 공격적 인수에 나서면서 미국 시장 진출을 확대하고 있다.
톰슨 파이낸셜의 집계에 따르면 지난해 외국 투자가들이 개별 협상이나 상장주식 거래를 통해 미국의 기업이나 공장 및 각종 자산 구입을 위해 투자한 자금은 4140억 달러에 달해 전년에 비해 90%나 증가하는 기록을 세웠다.
이는 지난해 미국 내에서 발표된 인수합병 거래의 4분의 1을 넘는 규모로, 지난해 외국 자본의 투자액은 지난 10년간 평균치의 배를 넘어섰다.
올해 들어서도 신용경색으로 자금사정이 어려운 금융기관들이 아시아지역의 국부펀드 등으로부터 잇따라 자금 조달에 나서면서 새해 첫 2주간 외국 자본이 투자에 합의한 금액도 226억달러에 달하고 있어 미국의 경기침체가 현실화되고 달러 약세가 지속될 경우 외국 자본의 미국 자산 인수는 가속화할 것으로 경제전문가들은 예상하고 있다.
서브프라임모기지 관련 손실 등으로 고전하고 있는 금융기관들은 지난해에 이어 올해에도 잇따라 중국이나 중동의 국부펀드 등으로부터 자금 조달에 나서고 있다.
씨티그룹은 최근 사우디아라비아의 알왈리드 빈 탈랄 왕자와 싱가포르 국부펀드, 쿠웨이트투자청(KIA) 등으로부터 우선주 발행을 통해 125억달러의 자금을 조달하는 등 총 145억달러를 조달키로 했다. 씨티그룹은 작년 11월에도 아랍에미리트연합(UAE)의 아부다비 투자청(ADIA)으로부터 75억달러를 조달했었다.
메릴린치도 최근 한국투자공사(KIC)로부터 20억달러를 조달하는 등 쿠웨이트투자청과 일본의 미즈호은행 등으로부터 의무전환우선주 발행을 통해 총 66억달러를 조달키로 합의했다.
신문은 그러나 관심을 모은 이런 금융기간의 자금조달 이면에 더 심오한 변화가 진행되고 있다면서 외국 자본들은 지난해 부동산과 철강, 에너지, 식품 등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분야의 미국 기업들을 인수했다고 설명했다.
달러화 약세는 특히 캐나다와 유럽 국가들에게 미국 기업을 더욱 싸게 만들고 오일머니와 경제성장으로 자금이 풍부한 중동 국가와 중국 등도톰슨 파이낸셜에 따르면 지난해 발표된 미국내 인수.합병의 국가별 투자액은 캐나다가 656억달러로 가장 많았고 영국이 458억달러, 호주가 301억달러, 스페인과 독일이 각각 242억달러 등의 순으로 많았다. 또 2000년에만 해도 투자액이 제로였던 아랍에미리트연합이 177억달러로 6위, 사우디아라비아가 127억달러로 7위에 올랐고 한국은 104억달러로 12위, 중국은 98억달러로 14위에 올랐다. 신문은 외국 자본 투자의 급증은 세계 경제에서 차지하는 미국의 입지에 대한 논란을 가열시키면서 1980년대 일본이 미국의 자산 인수에 나설 때 불거졌던 것과 같은 극단 애국주의적 우려까지 일부에서 불러오고 있다고 전했다.
이와 함께 중동과 중국 등의 국부펀드가 미국 금융기관 등에 대한 투자가 급증함에 따라 미 의회와 규제당국은 외국 자본이 금융시스템이나 군수 관련 기술에 영향력을 발휘하지 못하도록 하는 방안을 요구하는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고 신문은 설명했다.
뉴욕=연합뉴스 김현준 특파원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