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여정부 출범 이후 5년간 전국 미분양 아파트 가구수는 출범 초기에 비해 4.7배 이상 늘어난 것으로 조사됐다.
15일 부동산정보업체 ‘부동산써브’가 건설교통부 미분양 통계 자료를 분석한 결과 참여정부 출범후 첫 달인 2003년 3월 2만3568가구였던 전국 미분양 가구수는 정권말기인 지난해 12월말 기준 11만2254가구로 376%(8만8686가구)가 증가했다.
이 수치는 외환위기 한파로 인해 1998년 국민의 정부 출범후 최고치를 기록했던 1998년 7월 11만6433가구와 맞먹는 수준이다.
지역별로는 서울을 비롯한 수도권이 1311가구에서 1만4624가구로 무려 1015%(1만3313가구) 불었고, 5대 광역시가 590%(3만5227가구), 충청권 281%(1만2647가구), 기타 지방이 233%(2만7499가구) 각각 늘었다.
이처럼 미분양 아파트 증가폭이 가파른 것은 2000년대 들어 아파트 분양시장이 활기를 띠자 건설사들이 지방·수도권을 가리지 않고 아파트 공급을 크게 늘린 반면, 참여정부는 부동산 시장의 규제를 대폭 강화한 때문이다.
연합뉴스 서미숙 기자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