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위와의 격차 더욱 벌려 … 독주체제 굳히기 나서
삼성전자가 2006년에 이어 지난해에도 세계 TV 시장에서 1위를 차지했다. 특히 2위 업체와의 격차를 더욱 벌리며 글로벌 선두업체로서의 위상을 확고히 했다.
19일 시장조사기관인 디스플레이서치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지난해 글로벌 TV 시장에서 수량기준으로 13.6%의 시장점유율을 차지해 1위 자리를 지켰다.
2위는 11.4%의 점유율을 기록한 LG전자가 차지했고, 필립스(7.4%), 소니(6.6%), TCL(5.8%) 등이 뒤를 이었다.
매출액 기준으로도 삼성전자는 17.8%의 점유율로 1위를 차지했고, 그 뒤로는 소니(12.4%), LG전자(9.6%), 필립스(8.1%), 샤프(7.8%) 등의 순이었다.
삼성전자는 이로써 지난해 글로벌 TV 시장에서 수량과 금액 모두 1위를 차지한 것은 물론 2위 업체와의 점유율 격차도 전년에 비해 더 벌려 놨다.
삼성전자와 2위 업체와의 점유율 격차는 수량 기준으로 2006년 0.8% 포인트에서 지난해 2.2% 포인트로, 금액 기준으로는 2006년 2.6% 포인트에서 지난해 5.4%포인트로 벌어졌다.
평판 TV 시장에서도 삼성전자는 수량기준으로 17.2%의 점유율로 1위를 차지했다. 소니는 10.6%로 2위를 기록했으며 필립스(10.2%), LG전자(9.7%), 샤프(8.9%) 등의 순으로 뒤를 이었다.
매출 기준으로도 삼성전자는 19.0%의 점유율을 기록해 1위를 지켰고 소니(13.9%), 샤프(9.5%), LG전자(9.5%), 필립스(9.1%) 등의 순이었다.
LCD TV시장에서도 삼성전자의 독주가 이어졌다.
수량 기준으로 삼성전자는 16.9%로 소니(12.1%)를 제치고 1위를 차지했으며, 금액기준으로도 18.7%를 기록해 소니(17.1%)를 앞섰다.
특히 삼성전자는 LCD TV 시장에서 수량 기준으로 1338만대를 기록해 TV업계 중 유일하게 1000만대 이상의 판매고를 올린 동시에 매출 기준으로는 126억 달러를 기록해 업계 최초로 ‘10 밀리언(수량)-10 빌리언(금액)’을 실현했다.
이로써 삼성전자는 지난해 전체 TV시장에서 수량과 금액 모두 1위, 평판 TV 1위, LCD TV1위를 차지해 ‘트리플 크라운’을 달성했다.
PDP TV 시장에서는 파나소닉이 부동의 1위를 지키는 모습이었다. 파나소닉은 수량기준으로 33.4%의 점유율을 기록해 1위를 차지했고 삼성전자(19.2%), LG전자(17.7%), 히타치(8.0%), 필립스(5.9%) 등이 뒤를 이었다. 매출 기준으로도 파나소닉은 34.5%의 점유율을 차지해 1위를 기록했고, 2위 삼성전자(20.1%), 3위 LG전자(16.1%), 4위 히타치(7.5%) 순이었다. 다만 2006년 PDP TV 시장에서 수량과 매출 3위를 기록했던 삼성전자가 지난해에는 수량과 매출에서 모두 한 단계 순위가 상승해 눈길을 끌었다.
삼성전자는 올해도 이같은 성장세를 이어가 LCD TV 1800만대, PDP TV 300만대 등 평판 TV 2100만대를 판매하는 등 ‘독주체제’를 굳힌다는 계획을 세웠다.
박종우 디지털미디어 총괄 사장은 지난달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소비자가전전시회(CES 2008)에서 “콘텐츠(Contents), 연결 편의성(Connectivity), 창의적 디자인(Creativity) 등 ‘3C’ 전략을 통해 3연속 세계 TV 시장 1위를 달성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한편 삼성전자와 LG전자 등 국내 TV 업체의 선전으로 지난해 글로벌 TV 시장에서 한국 TV 브랜드는 수량 기준 시장 점유율이 25%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업계 관계자는 “지난해 전 세계에 판매된 TV 4대 중 1대는 한국의 삼성전자와 LG전자의 TV라고 해도 될 정도로 한국 TV는 글로벌 TV 시장의 최강자로 자리 잡고 있다”고 말했다.
구본홍 기자 bhkoo@naeil.com
삼성전자가 2006년에 이어 지난해에도 세계 TV 시장에서 1위를 차지했다. 특히 2위 업체와의 격차를 더욱 벌리며 글로벌 선두업체로서의 위상을 확고히 했다.
19일 시장조사기관인 디스플레이서치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지난해 글로벌 TV 시장에서 수량기준으로 13.6%의 시장점유율을 차지해 1위 자리를 지켰다.
2위는 11.4%의 점유율을 기록한 LG전자가 차지했고, 필립스(7.4%), 소니(6.6%), TCL(5.8%) 등이 뒤를 이었다.
매출액 기준으로도 삼성전자는 17.8%의 점유율로 1위를 차지했고, 그 뒤로는 소니(12.4%), LG전자(9.6%), 필립스(8.1%), 샤프(7.8%) 등의 순이었다.
삼성전자는 이로써 지난해 글로벌 TV 시장에서 수량과 금액 모두 1위를 차지한 것은 물론 2위 업체와의 점유율 격차도 전년에 비해 더 벌려 놨다.
삼성전자와 2위 업체와의 점유율 격차는 수량 기준으로 2006년 0.8% 포인트에서 지난해 2.2% 포인트로, 금액 기준으로는 2006년 2.6% 포인트에서 지난해 5.4%포인트로 벌어졌다.
평판 TV 시장에서도 삼성전자는 수량기준으로 17.2%의 점유율로 1위를 차지했다. 소니는 10.6%로 2위를 기록했으며 필립스(10.2%), LG전자(9.7%), 샤프(8.9%) 등의 순으로 뒤를 이었다.
매출 기준으로도 삼성전자는 19.0%의 점유율을 기록해 1위를 지켰고 소니(13.9%), 샤프(9.5%), LG전자(9.5%), 필립스(9.1%) 등의 순이었다.
LCD TV시장에서도 삼성전자의 독주가 이어졌다.
수량 기준으로 삼성전자는 16.9%로 소니(12.1%)를 제치고 1위를 차지했으며, 금액기준으로도 18.7%를 기록해 소니(17.1%)를 앞섰다.
특히 삼성전자는 LCD TV 시장에서 수량 기준으로 1338만대를 기록해 TV업계 중 유일하게 1000만대 이상의 판매고를 올린 동시에 매출 기준으로는 126억 달러를 기록해 업계 최초로 ‘10 밀리언(수량)-10 빌리언(금액)’을 실현했다.
이로써 삼성전자는 지난해 전체 TV시장에서 수량과 금액 모두 1위, 평판 TV 1위, LCD TV1위를 차지해 ‘트리플 크라운’을 달성했다.
PDP TV 시장에서는 파나소닉이 부동의 1위를 지키는 모습이었다. 파나소닉은 수량기준으로 33.4%의 점유율을 기록해 1위를 차지했고 삼성전자(19.2%), LG전자(17.7%), 히타치(8.0%), 필립스(5.9%) 등이 뒤를 이었다. 매출 기준으로도 파나소닉은 34.5%의 점유율을 차지해 1위를 기록했고, 2위 삼성전자(20.1%), 3위 LG전자(16.1%), 4위 히타치(7.5%) 순이었다. 다만 2006년 PDP TV 시장에서 수량과 매출 3위를 기록했던 삼성전자가 지난해에는 수량과 매출에서 모두 한 단계 순위가 상승해 눈길을 끌었다.
삼성전자는 올해도 이같은 성장세를 이어가 LCD TV 1800만대, PDP TV 300만대 등 평판 TV 2100만대를 판매하는 등 ‘독주체제’를 굳힌다는 계획을 세웠다.
박종우 디지털미디어 총괄 사장은 지난달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소비자가전전시회(CES 2008)에서 “콘텐츠(Contents), 연결 편의성(Connectivity), 창의적 디자인(Creativity) 등 ‘3C’ 전략을 통해 3연속 세계 TV 시장 1위를 달성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한편 삼성전자와 LG전자 등 국내 TV 업체의 선전으로 지난해 글로벌 TV 시장에서 한국 TV 브랜드는 수량 기준 시장 점유율이 25%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업계 관계자는 “지난해 전 세계에 판매된 TV 4대 중 1대는 한국의 삼성전자와 LG전자의 TV라고 해도 될 정도로 한국 TV는 글로벌 TV 시장의 최강자로 자리 잡고 있다”고 말했다.
구본홍 기자 bhkoo@naeil.com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