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관 내정자 논란이 총선 최대변수” 42%
부실인사 파문에 한나라당 지지도 급락 … “또다른 악재 터지면 판세 흔들릴 것”
부동산 투기의혹 등으로 장관 내정자 3명이 사퇴한 이명박 대통령의 부실인사로 수도권인 서울지역 총선민심에 균열조짐이 보이고 있다. 내일신문과 여론조사 전문기관 디오피니언(소장 안부근)이 지난 27일 서울시민 700명을 상대로 실시한 총선 여론조사(신뢰도 95%, 표본오차 ±3.7%P)에 드러난 민심 동향이다. ▶관련기사 3면
장관 내정자들의 자격 논란, 국무총리 후보자 임명동의안 지연 문제 등을 지켜보는 유권자의 시각은 이명박 대통령의 국정운영에 대한 높은 기대(잘할 것 78.7%)와 상당한 거리가 있었다.
한승수 총리 후보자의 임명동의안 처리가 연기된 것에 대해 ‘국정공백이 있더라도 철저하게 검증해야 한다’는 견해(71.9%)가 ‘야당의 정치공세 측면이 크므로 조속히 처리해야 한다’(23.9%)를 크게 앞질렀다. 도덕성 시비를 불렀던 ‘장관 내정자 자격 논란’(42.1%)은 이번 총선의 최대 변수로 꼽혔고, ‘노무현 정부 심판론’(18.4%)을 변수로 보는 의견은 많지 않았다.
안부근 소장은 “유권자의 관심이 대선 시기 ‘심판론’에서 벗어나 새 정부의 공과로 초점을 옮겨가고 있는 것”이라고 분석했다. ‘노무현 심판론’은 소멸할 이슈이고 ‘새 정부 평가’가 판단기준이 될 것이란 이야기다. 부실인사 파문이 40일 가까이 남은 총선까지 살아 있지는 않겠지만 첫 번째 악재인 것이 분명하고 또다른 악재가 나올 경우 민심판도가 흔들릴 수 있다는 것을 암시한다.
첫 내각인선을 둘러싼 ‘부자내각’ 논란에 대해선 ‘재산형성과정이 적절하고 국정수행능력이 있다면 상관없다’가 50.9%, ‘서민들의 어려움을 이해하는 데 한계가 있어 서민을 위한 정책운영이 어려울 것이다’가 44.0%였다. 사퇴한 내정자 3명이 재산형성 과정의 도덕적 결함으로 낙마한 점을 고려하면, ‘서민을 위한 정책운영이 어려울 것’이란 전망치는 상당한 수준이다.
서울 민심의 균열 조짐은 정당지지도와 거대여권 견제론에서도 드러났다. 2주일전(14일) 내일신문-한길리서치 조사에서 60.4%였던 한나라당 지지도가 11.8%P 빠진 48.8%로 내려왔고, 통합민주당은 4.2%에서 17.0%로 올랐다. 비례대표 선출을 위한 정당투표 지지도도 민주당 19.7%, 한나라당 49.2%로 2주전에 비해 민주당은 8%P 상승, 한나라당은 9.5%P 감소했다.
야당이 주장하는 ‘새 정부 견제론’과 여당의 ‘안정론’을 놓고도 48.8% 대 46.5%로 2주전(48.8% 대 48.3%)와 비슷해 견제론이 여전히 살아있음을 보여줬다.
김상범 기자 claykim@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부실인사 파문에 한나라당 지지도 급락 … “또다른 악재 터지면 판세 흔들릴 것”
부동산 투기의혹 등으로 장관 내정자 3명이 사퇴한 이명박 대통령의 부실인사로 수도권인 서울지역 총선민심에 균열조짐이 보이고 있다. 내일신문과 여론조사 전문기관 디오피니언(소장 안부근)이 지난 27일 서울시민 700명을 상대로 실시한 총선 여론조사(신뢰도 95%, 표본오차 ±3.7%P)에 드러난 민심 동향이다. ▶관련기사 3면
장관 내정자들의 자격 논란, 국무총리 후보자 임명동의안 지연 문제 등을 지켜보는 유권자의 시각은 이명박 대통령의 국정운영에 대한 높은 기대(잘할 것 78.7%)와 상당한 거리가 있었다.
한승수 총리 후보자의 임명동의안 처리가 연기된 것에 대해 ‘국정공백이 있더라도 철저하게 검증해야 한다’는 견해(71.9%)가 ‘야당의 정치공세 측면이 크므로 조속히 처리해야 한다’(23.9%)를 크게 앞질렀다. 도덕성 시비를 불렀던 ‘장관 내정자 자격 논란’(42.1%)은 이번 총선의 최대 변수로 꼽혔고, ‘노무현 정부 심판론’(18.4%)을 변수로 보는 의견은 많지 않았다.
안부근 소장은 “유권자의 관심이 대선 시기 ‘심판론’에서 벗어나 새 정부의 공과로 초점을 옮겨가고 있는 것”이라고 분석했다. ‘노무현 심판론’은 소멸할 이슈이고 ‘새 정부 평가’가 판단기준이 될 것이란 이야기다. 부실인사 파문이 40일 가까이 남은 총선까지 살아 있지는 않겠지만 첫 번째 악재인 것이 분명하고 또다른 악재가 나올 경우 민심판도가 흔들릴 수 있다는 것을 암시한다.
첫 내각인선을 둘러싼 ‘부자내각’ 논란에 대해선 ‘재산형성과정이 적절하고 국정수행능력이 있다면 상관없다’가 50.9%, ‘서민들의 어려움을 이해하는 데 한계가 있어 서민을 위한 정책운영이 어려울 것이다’가 44.0%였다. 사퇴한 내정자 3명이 재산형성 과정의 도덕적 결함으로 낙마한 점을 고려하면, ‘서민을 위한 정책운영이 어려울 것’이란 전망치는 상당한 수준이다.
서울 민심의 균열 조짐은 정당지지도와 거대여권 견제론에서도 드러났다. 2주일전(14일) 내일신문-한길리서치 조사에서 60.4%였던 한나라당 지지도가 11.8%P 빠진 48.8%로 내려왔고, 통합민주당은 4.2%에서 17.0%로 올랐다. 비례대표 선출을 위한 정당투표 지지도도 민주당 19.7%, 한나라당 49.2%로 2주전에 비해 민주당은 8%P 상승, 한나라당은 9.5%P 감소했다.
야당이 주장하는 ‘새 정부 견제론’과 여당의 ‘안정론’을 놓고도 48.8% 대 46.5%로 2주전(48.8% 대 48.3%)와 비슷해 견제론이 여전히 살아있음을 보여줬다.
김상범 기자 claykim@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