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12월결산 상장법인들의 유동성이 악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재벌그룹 가운데 한화그룹의 재무 유동성이 가장 불안한 상황인 것으로 분석됐고 SK그룹과 금호그룹 LG그룹 등도 12월 결산법인 평균유동비율보다 낮은 것으로 지적됐다.
증권거래소는 7일 감사의견 한정과 회사분활한 곳은 제외한 지난해 12월결산 상장법인 411개의 평균 유동비율은 79.6%로 지난 99년보다 10.8%포인트 줄었다고 밝혔다.
유동비율은 1년이내 현금화가 가능한 유동자산을 1년이내 만기가 도래하는 유동부채로 나눈 수치로 기업의 단기지급능력을 나타낸다.
지난해 국내 기업들은 외상매입금과 단기차입금 등 유동부채가 유동자산보다 더 크게 증가해 유동비율이 줄었다고 증권거래소는 밝혔다.
유가증권 투자위축으로 현금자산이 9.6% 증가하면서 유동자산은 4.8% 늘어난데 비해 유동부채는 19.0% 증가했다.
유동비율이 가장 높은 기업은 디씨엠으로 1073%였고 동신제약과 동아타이어가 각각 741%와 549%로 그 뒤를 이었다.
반면 범양식품은 9.4%로 12월 결산법인중 유동비율이 가장 낮았으며 하이닉스와 신세계도 각각 23%와 25.3%로 저조해 유동성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10대그룹 계열 상장사들의 유동비율은 73.5%로 전체기업 평균보다 6.1%포인트 낮았으며 한화그룹의 유동비율이 50.6%로 가장 낮았다.
SK그룹과 금호그룹이 각각 58.8%와 59.3%로 그 다음이었고 LG그룹과 현대그룹도 60.9%와 65.9%로 평균에 못 미쳤으나 포항제철은 129.4%로 가장 높았다.
12월결산 상장법인들의 현금 및 현금등가물 보유규모는 모두 10조5000억원이었으며 이중 10대계열사가 4조5천000원을 차지하고 있다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