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뉴스) 정성호 기자 = 서울 강남의 부자는 보유자산의 안정적 운영에,강북 부자는 자산 불리기에 더 관심이 많다는 분석이 나왔다.
삼성생명은 회사 `FP(Financial Planning.재무설계)센터''를 방문한 고액 자산가134명을 분석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29일 밝혔다.
이들 134명 중 서초.강남.송파.강동구 등 강남 4개 구에 사는 사람은 72명, 강북(강남 4개 구 외)에 사는 사람은 62명이었으며 이들의 평균 자산 규모는 60억5천만원이었다.
직업은 개인사업가나 최고경영자(CEO) 및 임원 등이 다수였다.
우선 자산 구성에서 강남 고객은 주거용 부동산이 52.6%, 투자용 부동산 33.3%,금융자산 14.1%인 데 비해 강북 고객은 각각 49.1%, 23.8%. 27.2% 분포를 보였다.
FP센터는 "강남 고객의 주거용 부동산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은 최근 부동산 값이 상승했기 때문으로 보인다"고 풀이했다.
투자를 선호하는 금융상품으로는 강남의 경우 국내 펀드 28.5%, 보험 13.2%, 예적금 13.2%이었으나 강북은 국내 펀드 21.8%, 주식 17.7%, 예적금 16.1%의 분포였다.
FP센터는 "전체적으로 강남 고객은 원금 보장형 파생상품 및 채권에, 강북 고객은 주식 등 직접투자에 관심을 보였다"며 "강남 고객은 보유자산의 안정적 운영에, 강북 고객은 현재 자산 불리기에 관심이 높다는 의미"라고 설명했다.
재무설계 때 관심사도 강남 고객이 상속.증여 31.3%, 금융투자 27.1%, 부동산 투자 13.2% 등의 순서였으나 강북 고객은 금융투자 29.8%, 상속.증여 26.6%, 부동산투자 19.4%로 다소 차이가 있었다.
부동산 투자 선호도는 강남의 경우 상가 25.7%, 토지.임야 16.7%, 빌딩 11.8% 순서였고 강북은 상가 24.2%, 토지.임야 21.0%, 아파트 11.3% 순이었다.
강남.북의 자산가들은 연령대나 성향에서도 차이가 있었다.
강남 고객이 주로 40∼50대에 연소득도 높은 계층인 반면 강북 고객은 70대 이상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고 은퇴자가 많아 연소득은 낮은 편이라고 FP센터는 설명했다.
또 자산 내역 공개에도 강남이 개방적인 데 반해 강북은 폐쇄적이었다. 강북 부자가 한 금융기관과 장기간 금융거래를 하는 데 비해 강남 부자는 여러 금융기관을 찾아다니며 중복 거래하기 때문으로 분석됐다.
sisyphe@yna.co.kr(끝)
<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저>
삼성생명은 회사 `FP(Financial Planning.재무설계)센터''를 방문한 고액 자산가134명을 분석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29일 밝혔다.
이들 134명 중 서초.강남.송파.강동구 등 강남 4개 구에 사는 사람은 72명, 강북(강남 4개 구 외)에 사는 사람은 62명이었으며 이들의 평균 자산 규모는 60억5천만원이었다.
직업은 개인사업가나 최고경영자(CEO) 및 임원 등이 다수였다.
우선 자산 구성에서 강남 고객은 주거용 부동산이 52.6%, 투자용 부동산 33.3%,금융자산 14.1%인 데 비해 강북 고객은 각각 49.1%, 23.8%. 27.2% 분포를 보였다.
FP센터는 "강남 고객의 주거용 부동산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은 최근 부동산 값이 상승했기 때문으로 보인다"고 풀이했다.
투자를 선호하는 금융상품으로는 강남의 경우 국내 펀드 28.5%, 보험 13.2%, 예적금 13.2%이었으나 강북은 국내 펀드 21.8%, 주식 17.7%, 예적금 16.1%의 분포였다.
FP센터는 "전체적으로 강남 고객은 원금 보장형 파생상품 및 채권에, 강북 고객은 주식 등 직접투자에 관심을 보였다"며 "강남 고객은 보유자산의 안정적 운영에, 강북 고객은 현재 자산 불리기에 관심이 높다는 의미"라고 설명했다.
재무설계 때 관심사도 강남 고객이 상속.증여 31.3%, 금융투자 27.1%, 부동산 투자 13.2% 등의 순서였으나 강북 고객은 금융투자 29.8%, 상속.증여 26.6%, 부동산투자 19.4%로 다소 차이가 있었다.
부동산 투자 선호도는 강남의 경우 상가 25.7%, 토지.임야 16.7%, 빌딩 11.8% 순서였고 강북은 상가 24.2%, 토지.임야 21.0%, 아파트 11.3% 순이었다.
강남.북의 자산가들은 연령대나 성향에서도 차이가 있었다.
강남 고객이 주로 40∼50대에 연소득도 높은 계층인 반면 강북 고객은 70대 이상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고 은퇴자가 많아 연소득은 낮은 편이라고 FP센터는 설명했다.
또 자산 내역 공개에도 강남이 개방적인 데 반해 강북은 폐쇄적이었다. 강북 부자가 한 금융기관과 장기간 금융거래를 하는 데 비해 강남 부자는 여러 금융기관을 찾아다니며 중복 거래하기 때문으로 분석됐다.
sisyphe@yna.co.kr(끝)
<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저>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