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신노인정책 토론회 … ‘노인행복도시’ 선언
2018년 고령사회 진입을 앞두고 ‘노인의 성과 문화’를 소재로 한 복지 방안이 제시됐다. 노인의 성(性)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65세 이상 노인의 재혼에 따른 재산상속·호적·동거 문제 등에 관한 제도적 장치 마련이라는 구체적 대안도 도출됐다.
서울시가 14일 개최한 ‘신 노인정책 패러다임 모색’이라는 주제의 토론회에서 홍미령 한국노인복지진흥재단 회장은 “노인의 성을 노인복지 차원에서 해결하기 위해 황혼 이혼을 줄이고 재혼을 위한 제도적 지원책을 마련해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홍 회장은 노인인구가 증가하는 상황에서 사별이나 이혼으로 인해 홀로된 노인들의 사회적 문제를 정리해 발표했다. 여자의 경우 평균 3~4년 연상의 남자와 결혼하고 남자보다 7여년을 더 살기 때문에 결국 여자의 노년 독신기간은 평균 10~11년으로 추정된다.
홍 회장 발표 자료에 따르면 노인의 19.5%는 현재 성생활을 지속하고, 성생활을 하는 평균 연령은 68.4세로 나타났다.
홍 회장은 “노인들의 건강한 성 생활을 즐길 수 있으려면 무엇보다 노년기 건강 프로그램이 확대 시행돼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날 토론회에서 전혜정 연세대 교수는 ‘서울시 노인 문화욕구 조사 결과분석’ 자료를 통해 “노후에는 운동 등 건강활동과 취미·문화활동을 원하고 있다”고 발표했다.
조사는 지난 2월19일부터 3월3일까지 서울시내 거주 노인 1000명을 면접해 이루어졌다.
또 윤호진 단국대 교수는 ‘뮤지컬 러브를 통한 실버문화 콘텐츠 사례 분석’을 통해 “노인들이 앞으로 문화수용 뿐 아니라 문화생산까지 참여하는 ‘실버컬티즌’으로 변할 것”이라고 밝혔다.
또 서이종 서울대 교수는 ‘고령층 정보격차와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정책방향’이라는 주제발표에서 세대간 정보격차가 세대갈등을 증폭시킨다고 지적했다.
서울시는 이번 토론회를 통해 지금까지 저소득층 노인에 대한 선별적인 복지를 넘어 노인들이 역동적인 노년을 보낼 수 있도록 환경을 조성하는 ‘노인행복도시 프로젝트’를 추진할 계획이다.
김성배 기자 sbkim@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2018년 고령사회 진입을 앞두고 ‘노인의 성과 문화’를 소재로 한 복지 방안이 제시됐다. 노인의 성(性)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65세 이상 노인의 재혼에 따른 재산상속·호적·동거 문제 등에 관한 제도적 장치 마련이라는 구체적 대안도 도출됐다.
서울시가 14일 개최한 ‘신 노인정책 패러다임 모색’이라는 주제의 토론회에서 홍미령 한국노인복지진흥재단 회장은 “노인의 성을 노인복지 차원에서 해결하기 위해 황혼 이혼을 줄이고 재혼을 위한 제도적 지원책을 마련해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홍 회장은 노인인구가 증가하는 상황에서 사별이나 이혼으로 인해 홀로된 노인들의 사회적 문제를 정리해 발표했다. 여자의 경우 평균 3~4년 연상의 남자와 결혼하고 남자보다 7여년을 더 살기 때문에 결국 여자의 노년 독신기간은 평균 10~11년으로 추정된다.
홍 회장 발표 자료에 따르면 노인의 19.5%는 현재 성생활을 지속하고, 성생활을 하는 평균 연령은 68.4세로 나타났다.
홍 회장은 “노인들의 건강한 성 생활을 즐길 수 있으려면 무엇보다 노년기 건강 프로그램이 확대 시행돼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날 토론회에서 전혜정 연세대 교수는 ‘서울시 노인 문화욕구 조사 결과분석’ 자료를 통해 “노후에는 운동 등 건강활동과 취미·문화활동을 원하고 있다”고 발표했다.
조사는 지난 2월19일부터 3월3일까지 서울시내 거주 노인 1000명을 면접해 이루어졌다.
또 윤호진 단국대 교수는 ‘뮤지컬 러브를 통한 실버문화 콘텐츠 사례 분석’을 통해 “노인들이 앞으로 문화수용 뿐 아니라 문화생산까지 참여하는 ‘실버컬티즌’으로 변할 것”이라고 밝혔다.
또 서이종 서울대 교수는 ‘고령층 정보격차와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정책방향’이라는 주제발표에서 세대간 정보격차가 세대갈등을 증폭시킨다고 지적했다.
서울시는 이번 토론회를 통해 지금까지 저소득층 노인에 대한 선별적인 복지를 넘어 노인들이 역동적인 노년을 보낼 수 있도록 환경을 조성하는 ‘노인행복도시 프로젝트’를 추진할 계획이다.
김성배 기자 sbkim@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