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후 활용방안 없으면 ‘애물단지’전락
재원조달방안·녹지훼손 대책도 미비
인천시가 2014년 아시안게임에 대비해 개발제한구역 등에 22개 경기장을 새로 짓기로 해 재정부담이 가중될 것으로 우려된다.
인천시는 아시안게임 37개 종목의 경기를 치르는데 필요한 40개 실내·외 경기장 가운데 22개는 새로 짓고, 18개는 기존 경기장 및 인근도시 경기장을 활용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시는 경기장 신축과 개·보수에 주경기장 4000여억원을 비롯해 1조4342억원, 체육공원 조성에 1조7617억원 등 모두 3조1959억원이 들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그러나 시가 최근 개최한 ‘아시안게임 경기장 건설관련 2020년 인천도시기본계획 변경’ 공청회에서 전문가들은 사후 활용방안 미비, 무리한 재정부담, 녹지훼손 등에 대한 우려를 나타냈다.
◆개발제한구역에 선수촌 아파트 개발 논란 = 가장 큰 문제는 재원마련이 쉽지 않다는 점이다. 시는 경기장 건설비의 30%를 국고로 지원받고, 나머지는 경기 후 선수촌과 미디어촌의 분양수익과 2~3곳의 개발사업을 통한 수익금 등으로 충당할 계획이다.
그러나 개발제한구역에 선수촌과 미디어촌을 짓기 위해 필요한 아시안게임 지원 특별법 개정안에 대해 건설교통부가 반대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대부분 경기장과 선수촌 등이 개발제한구역에 들어선다는 점에서 환경단체 등도 대규모 녹지훼손에 따른 대책마련을 요구하고 있어 난항이 예상된다.
계기석 안양대 교수(도시행정학)는 “무리한 경기장 신축으로 인천의 녹지축이 훼손될 수 있는 만큼 장기적인 관점에서 그린벨트 이외 지역에 대한 대안적 검토가 요구된다”고 지적했다.
◆문학경기장 최근 5년간 적자 111억원 = 특히 사후 활용방안을 미리 준비하지 못하면 문학경기장처럼 ‘애물단지’로 전락할 가능성이 높다. 실제 2002년 월드컵 때 신축한 문학경기장은 2003년부터 지난해까지 모두 111억원의 적자를 기록하고 있다.
부산시의 경우 2002년 아시안게임에 대비해 시비 3645억원, 국비 1523억원, 민자 2010억원 등 총 7178억원을 들여 아시아드주경기장과 금정체육공원, 기장체육관 등 12개 경기장을 새로 지었다.
하지만 대회 직후인 2003년 한 해 동안 5개 신설경기장의 관리 및 운영비로 200여억원을 투입한 반면 입장료와 임대수입은 30여억원에 그쳐 170여억원의 적자를 기록했다.
최만용 시의원은 “문학경기장의 선례에 비춰볼 때 경기장을 새로 짓는 것도 중요하지만 사후활용방안에 대해서도 철저한 대책을 세워야한다”며 “시는 아시안게임의 경제적 파급효과를 선전하기 전에 막대한 재원 확보방안부터 확실히 제시해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시는 경기장 신축을 위해 주경기장 등 3개 종합운동장과 9개 체육공원이 들어설 입지를 선정해 도시기본계획 변경안에 반영했다.
변경안에 따르면 인천을 4개 권역으로 나눠 문학경기장이 있는 서남권을 제외한 서북권(서구 연희동) 동남권(남동구 수산동) 동북권(계양구 서운동)에 종합경기장이 신축된다. 또 서구 연희동, 남동구 구월·남촌·수산·도림·논현, 연수구 선학동 등 10곳에 연습경기장을 갖춘 체육공원을 조성, 사후에는 생활체육시설로 활용한다는 방침이다.
인천 곽태영 기자 tykwak@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재원조달방안·녹지훼손 대책도 미비
인천시가 2014년 아시안게임에 대비해 개발제한구역 등에 22개 경기장을 새로 짓기로 해 재정부담이 가중될 것으로 우려된다.
인천시는 아시안게임 37개 종목의 경기를 치르는데 필요한 40개 실내·외 경기장 가운데 22개는 새로 짓고, 18개는 기존 경기장 및 인근도시 경기장을 활용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시는 경기장 신축과 개·보수에 주경기장 4000여억원을 비롯해 1조4342억원, 체육공원 조성에 1조7617억원 등 모두 3조1959억원이 들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그러나 시가 최근 개최한 ‘아시안게임 경기장 건설관련 2020년 인천도시기본계획 변경’ 공청회에서 전문가들은 사후 활용방안 미비, 무리한 재정부담, 녹지훼손 등에 대한 우려를 나타냈다.
◆개발제한구역에 선수촌 아파트 개발 논란 = 가장 큰 문제는 재원마련이 쉽지 않다는 점이다. 시는 경기장 건설비의 30%를 국고로 지원받고, 나머지는 경기 후 선수촌과 미디어촌의 분양수익과 2~3곳의 개발사업을 통한 수익금 등으로 충당할 계획이다.
그러나 개발제한구역에 선수촌과 미디어촌을 짓기 위해 필요한 아시안게임 지원 특별법 개정안에 대해 건설교통부가 반대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대부분 경기장과 선수촌 등이 개발제한구역에 들어선다는 점에서 환경단체 등도 대규모 녹지훼손에 따른 대책마련을 요구하고 있어 난항이 예상된다.
계기석 안양대 교수(도시행정학)는 “무리한 경기장 신축으로 인천의 녹지축이 훼손될 수 있는 만큼 장기적인 관점에서 그린벨트 이외 지역에 대한 대안적 검토가 요구된다”고 지적했다.
◆문학경기장 최근 5년간 적자 111억원 = 특히 사후 활용방안을 미리 준비하지 못하면 문학경기장처럼 ‘애물단지’로 전락할 가능성이 높다. 실제 2002년 월드컵 때 신축한 문학경기장은 2003년부터 지난해까지 모두 111억원의 적자를 기록하고 있다.
부산시의 경우 2002년 아시안게임에 대비해 시비 3645억원, 국비 1523억원, 민자 2010억원 등 총 7178억원을 들여 아시아드주경기장과 금정체육공원, 기장체육관 등 12개 경기장을 새로 지었다.
하지만 대회 직후인 2003년 한 해 동안 5개 신설경기장의 관리 및 운영비로 200여억원을 투입한 반면 입장료와 임대수입은 30여억원에 그쳐 170여억원의 적자를 기록했다.
최만용 시의원은 “문학경기장의 선례에 비춰볼 때 경기장을 새로 짓는 것도 중요하지만 사후활용방안에 대해서도 철저한 대책을 세워야한다”며 “시는 아시안게임의 경제적 파급효과를 선전하기 전에 막대한 재원 확보방안부터 확실히 제시해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시는 경기장 신축을 위해 주경기장 등 3개 종합운동장과 9개 체육공원이 들어설 입지를 선정해 도시기본계획 변경안에 반영했다.
변경안에 따르면 인천을 4개 권역으로 나눠 문학경기장이 있는 서남권을 제외한 서북권(서구 연희동) 동남권(남동구 수산동) 동북권(계양구 서운동)에 종합경기장이 신축된다. 또 서구 연희동, 남동구 구월·남촌·수산·도림·논현, 연수구 선학동 등 10곳에 연습경기장을 갖춘 체육공원을 조성, 사후에는 생활체육시설로 활용한다는 방침이다.
인천 곽태영 기자 tykwak@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