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박정부 핵심사업이지만 총선공약서 제외
민주, 정치쟁점화 … 한나라 탈당자들도 가세
이명박정부의 핵심공약인 ‘한반도대운하’가 총선에서는 ‘계륵’ 신세를 면치 못하고 있다. 일정대로 추진하기 위해서는 총선에서 공약으로 내걸어 국민검증을 받는 게 제일 좋지만, 총선을 앞두고 반대여론이 심상치 않기 때문이다.
한나라당은 4월 총선공약에서 아예 한반도대운하를 제외시켰다. 이한구 한나라당 정책위의장은 “대운하에 대해서는 국민들이 오해하는 부분이 있다”며 “잘 다듬어 국민을 설득하는 게 더 중요하다”고 말했다. 한반도대운하 전령사를 자임한 이재오 의원도 총선 분위기가 본격화되면서 운하에 대한 언급을 자제하고 있다.
◆반대여론 갈수록 늘어 = 오히려 비한나라당 진영에서는 한반도대운하를 쟁점으로 만들기 위해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통합민주당은 총선서 대운하를 쟁점화하고 반대세력을 결집시켜 한나라당을 포위한다는 전략을 구상하고 있다. 최대승부처가 수도권이라는 점을 고려하면 민주당에게 한반도대운하 쟁점화는 최선의 전략인 셈이다.
한나라당 공천에서 탈락한 인사들도 ‘한반도대운하 반대’를 앞세우고 있다. 친박근혜계인 김무성(부산남구을) 의원은 18일 “한나라당을 탈당한 의원들이 대운하에 대해서는 공동으로 반대공약 할 것”이라고 밝혔다. 고진화(서울영등포갑) 의원도 ‘대운하 반대 1000만명 서명운동’을 제안했다.
서울 은평을에 출마한 창조한국당 문국현 예비후보는 상대인 이재오 의원을 ‘대운하 공사감독’으로 몰아붙이며 ‘대운하 반대세력 총선제휴’를 제안하는 등 기세를 올리고 있다.
여론조사 전문가들은 한반도대운하 문제가 쟁점이 될 경우 수도권 총선판세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보고 있다.
한나라당에 가까운 한 선거전문가는 “대운하 공약이 경제적으로 얼마나 도움이 될지 몰라도, 선거 캠페인으로는 별로 좋지 않다”고 말했다. 한반도대운하 쟁점화가 이명박정부에 대한 견제론을 강화시키는 발화점이 될 수도 있다는 것이다.
한반도대운하 문제가 정부여당을 곤혹스럽게 만들게 된 근본원인은 악화된 여론에 있다. 내일신문·한길리서치의 정례 여론조사에 따르면 대운하 찬성의견은 1월 39.9%에서 2월38.7%, 3월 31.6%로 줄어들었다. 반대의견은 1월 49.0%에서 2월 52.3%, 3월 58.4%로 갈수록 늘어나고 있다. 특히 승부처인 서울의 3월조사를 보면 찬성이 29.1%인 반면 반대가 63.0%나 됐다.
◆정치전선으로 확대 = 이명박정부의 핵심공약이 총선에서 애물단지 취급을 당하고 있다는 사실은 향후 사업추진과 관련해 시사하는 바가 적지 않다. 한반도대운하를 둘러싼 전선이 정부와 시민단체에서 정부·한나라당 대 비한나라당의 정치전선으로 확대될 수도 있어서이다.
특히 경기부양 카드의 하나로 대운하를 고려하고 있는 이명박정부 입장에서도 여간 곤혹스러운 게 아니다.
새정부 출범과정에서 핵심역할을 했던 이명박정부의 한 관계자는 “내수경기활성화는 건설경기와 직접 관계가 있으며, 한반도대운하가 그 열쇠”라고 밝힌 바 있다.
그러나 총선공약에서도 내릴 수밖에 없는 공약을 당장 밀어붙이기에는 저항이 만만찮을 것으로 보인다.
백왕순 기자 wspaik@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민주, 정치쟁점화 … 한나라 탈당자들도 가세
이명박정부의 핵심공약인 ‘한반도대운하’가 총선에서는 ‘계륵’ 신세를 면치 못하고 있다. 일정대로 추진하기 위해서는 총선에서 공약으로 내걸어 국민검증을 받는 게 제일 좋지만, 총선을 앞두고 반대여론이 심상치 않기 때문이다.
한나라당은 4월 총선공약에서 아예 한반도대운하를 제외시켰다. 이한구 한나라당 정책위의장은 “대운하에 대해서는 국민들이 오해하는 부분이 있다”며 “잘 다듬어 국민을 설득하는 게 더 중요하다”고 말했다. 한반도대운하 전령사를 자임한 이재오 의원도 총선 분위기가 본격화되면서 운하에 대한 언급을 자제하고 있다.
◆반대여론 갈수록 늘어 = 오히려 비한나라당 진영에서는 한반도대운하를 쟁점으로 만들기 위해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통합민주당은 총선서 대운하를 쟁점화하고 반대세력을 결집시켜 한나라당을 포위한다는 전략을 구상하고 있다. 최대승부처가 수도권이라는 점을 고려하면 민주당에게 한반도대운하 쟁점화는 최선의 전략인 셈이다.
한나라당 공천에서 탈락한 인사들도 ‘한반도대운하 반대’를 앞세우고 있다. 친박근혜계인 김무성(부산남구을) 의원은 18일 “한나라당을 탈당한 의원들이 대운하에 대해서는 공동으로 반대공약 할 것”이라고 밝혔다. 고진화(서울영등포갑) 의원도 ‘대운하 반대 1000만명 서명운동’을 제안했다.
서울 은평을에 출마한 창조한국당 문국현 예비후보는 상대인 이재오 의원을 ‘대운하 공사감독’으로 몰아붙이며 ‘대운하 반대세력 총선제휴’를 제안하는 등 기세를 올리고 있다.
여론조사 전문가들은 한반도대운하 문제가 쟁점이 될 경우 수도권 총선판세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보고 있다.
한나라당에 가까운 한 선거전문가는 “대운하 공약이 경제적으로 얼마나 도움이 될지 몰라도, 선거 캠페인으로는 별로 좋지 않다”고 말했다. 한반도대운하 쟁점화가 이명박정부에 대한 견제론을 강화시키는 발화점이 될 수도 있다는 것이다.
한반도대운하 문제가 정부여당을 곤혹스럽게 만들게 된 근본원인은 악화된 여론에 있다. 내일신문·한길리서치의 정례 여론조사에 따르면 대운하 찬성의견은 1월 39.9%에서 2월38.7%, 3월 31.6%로 줄어들었다. 반대의견은 1월 49.0%에서 2월 52.3%, 3월 58.4%로 갈수록 늘어나고 있다. 특히 승부처인 서울의 3월조사를 보면 찬성이 29.1%인 반면 반대가 63.0%나 됐다.
◆정치전선으로 확대 = 이명박정부의 핵심공약이 총선에서 애물단지 취급을 당하고 있다는 사실은 향후 사업추진과 관련해 시사하는 바가 적지 않다. 한반도대운하를 둘러싼 전선이 정부와 시민단체에서 정부·한나라당 대 비한나라당의 정치전선으로 확대될 수도 있어서이다.
특히 경기부양 카드의 하나로 대운하를 고려하고 있는 이명박정부 입장에서도 여간 곤혹스러운 게 아니다.
새정부 출범과정에서 핵심역할을 했던 이명박정부의 한 관계자는 “내수경기활성화는 건설경기와 직접 관계가 있으며, 한반도대운하가 그 열쇠”라고 밝힌 바 있다.
그러나 총선공약에서도 내릴 수밖에 없는 공약을 당장 밀어붙이기에는 저항이 만만찮을 것으로 보인다.
백왕순 기자 wspaik@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