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놀은 백색결정으로 수지, 합성섬유, 살충제, 방부제, 염료, 소독제 등의 원료로 사용되는 유독 물질이다.
페놀이 상수도 소독제인 염소와 결합할 경우 클로로페놀로 화학변화해 악취를 띄며 농도 1㎎/ℓ 이상일 경우 중추신경장애, 암 등 신체에 악영향을 끼치게 된다.
또 페놀증기를 마시면 목구멍과 코에 타는 듯한 느낌과 함께 기침, 두통, 설사, 호흡곤란 등을 야기하고 눈에 들어가면 시력감퇴, 화상, 각막혼탁 등의 증상을 보이게 된다.
1일 폭발사고가 났던 김천 코오롱유화공장이 페놀과 포르말린 등 합성수지 제품을 생산하는 곳이다.
특히 페놀은 대구.경북지역 주민들에게는 `악몽의 화학물질''로 각인돼 있다.
1991년 3월14일 구미공단 내 두산전자에서 두차례에 걸쳐 각각 30여톤의 페놀원액이 낙동강으로 유출됐고 대구지역 상수원으로 쓰이는 다사취수장에 유입돼 수돗물 악취를 유발한 전례가 있기 때문이다.
정수된 수돗물의 페놀허용기준치는 0.0005mg/L이다.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페놀이 상수도 소독제인 염소와 결합할 경우 클로로페놀로 화학변화해 악취를 띄며 농도 1㎎/ℓ 이상일 경우 중추신경장애, 암 등 신체에 악영향을 끼치게 된다.
또 페놀증기를 마시면 목구멍과 코에 타는 듯한 느낌과 함께 기침, 두통, 설사, 호흡곤란 등을 야기하고 눈에 들어가면 시력감퇴, 화상, 각막혼탁 등의 증상을 보이게 된다.
1일 폭발사고가 났던 김천 코오롱유화공장이 페놀과 포르말린 등 합성수지 제품을 생산하는 곳이다.
특히 페놀은 대구.경북지역 주민들에게는 `악몽의 화학물질''로 각인돼 있다.
1991년 3월14일 구미공단 내 두산전자에서 두차례에 걸쳐 각각 30여톤의 페놀원액이 낙동강으로 유출됐고 대구지역 상수원으로 쓰이는 다사취수장에 유입돼 수돗물 악취를 유발한 전례가 있기 때문이다.
정수된 수돗물의 페놀허용기준치는 0.0005mg/L이다.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