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명환 외교통상부 장관이 25일 다음 달 중순에 예정된 한·미 정상회담 준비 등을 위해 4박5일 일정으로 미국을 방문한다.
유 장관은 최근 기자간담회를 통해 방미 목적을 △한·미 정상회담 의제 조율 △북핵문제 협의 △한미동맹 미래비전 등을 포괄적으로 논의할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유 장관은 오늘 오후 7시30분 인천공항을 통해 출국하며 26일(이하 현지시간) 워싱턴 미 국무부 청사에서 콘돌리자 라이스 국무장관과 오찬을 겸한 회담을 가질 예정이다.
김병국 청와대 외교안보수석비서관이 지난 주 이명박 대통령의 미국 방문을 앞두고 사전협의차 미국을 찾았지만 스티븐 해들리 국가안보보좌관과 회동했을 뿐 콘돌리자 라이스 국무장관이나 로버트 게이츠 국방장관과는 만나지 않았다.
라이스 장관과 오찬회담 자리에서는 다음달 15∼19일로 예정된 이 대통령의 방미기간 열리는 한·미 정상회담의 의제에 대한 조율이 있을 예정이다. 아울러 이명박정부 출범 이후 첫 한·미 외교장관 회담이라는 점에서 양국 간의 다양한 양자 및 다자 현안이 논의될 것으로 보인다.
또한 북한의 핵프로그램 신고 지연으로 교착상태에 빠진 북핵 6자회담의 진전 방안에 대한 의견 교환과 함께 한·미 FTA(자유무역협정)의 조속한 비준, 한국의 미국 비자면제프로그램(VWP) 가입 등이 논의될 것으로 보인다.
유 장관은 라이스 장관과의 회담에 앞서 크리스토퍼 힐 국무부 차관보 및 데니스 와일더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 동아태 담당 선임보좌관 등과 조찬을 함께하며 북핵문제 등에 대해 논의할 계획이다.
그는 오후에는 폴 울포위츠 전 국방차관과 토머스 도너휴 미 상공회의소장 등을 잇달아 면담하고 저녁에는 로버트 아인혼 전략국제연구소(CSIS) 고문, 스콧 스나이더 아시아재단 선임연구원, 마이클 그린 조지타운대 교수 등 한반도 전문가 20명과 만찬을 함께하며 한미동맹 등에 대해 의견을 나눌 예정이다.
유 장관이 특별히 관심을 갖고 있는 분야는 미국의 주요 싱크탱크이다. 유 장관은 최근 기자간담회에서 “그동안 한미관계에 신뢰가 부족하다는 지적이 있어 시간이 허락하면 미국의 싱크탱크 소속 인사들과 광범위하게 접촉하고 싶다”고 밝힌 바 있다.
유 장관은 27일에는 로버트 게이츠 미 국방장관과 스티븐 해들리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을 잇따라 만나고 존 햄르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 회장, 돈 오버도퍼 존스홉킨스대학 부설 한미연구소 소장 등 주요 싱크탱크 소속 인사들과 면담한다.
유 장관은 28일 뉴욕으로 이동, 도널드 그레그 코리아소사이어티 이사장과 찰스카트만 전 한반도에너지개발기구(KEDO) 사무총장을 만난 뒤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과의 만찬을 끝으로 방미일정을 마친 뒤 귀국한다.
김기수 기자 kskim@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유 장관은 최근 기자간담회를 통해 방미 목적을 △한·미 정상회담 의제 조율 △북핵문제 협의 △한미동맹 미래비전 등을 포괄적으로 논의할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유 장관은 오늘 오후 7시30분 인천공항을 통해 출국하며 26일(이하 현지시간) 워싱턴 미 국무부 청사에서 콘돌리자 라이스 국무장관과 오찬을 겸한 회담을 가질 예정이다.
김병국 청와대 외교안보수석비서관이 지난 주 이명박 대통령의 미국 방문을 앞두고 사전협의차 미국을 찾았지만 스티븐 해들리 국가안보보좌관과 회동했을 뿐 콘돌리자 라이스 국무장관이나 로버트 게이츠 국방장관과는 만나지 않았다.
라이스 장관과 오찬회담 자리에서는 다음달 15∼19일로 예정된 이 대통령의 방미기간 열리는 한·미 정상회담의 의제에 대한 조율이 있을 예정이다. 아울러 이명박정부 출범 이후 첫 한·미 외교장관 회담이라는 점에서 양국 간의 다양한 양자 및 다자 현안이 논의될 것으로 보인다.
또한 북한의 핵프로그램 신고 지연으로 교착상태에 빠진 북핵 6자회담의 진전 방안에 대한 의견 교환과 함께 한·미 FTA(자유무역협정)의 조속한 비준, 한국의 미국 비자면제프로그램(VWP) 가입 등이 논의될 것으로 보인다.
유 장관은 라이스 장관과의 회담에 앞서 크리스토퍼 힐 국무부 차관보 및 데니스 와일더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 동아태 담당 선임보좌관 등과 조찬을 함께하며 북핵문제 등에 대해 논의할 계획이다.
그는 오후에는 폴 울포위츠 전 국방차관과 토머스 도너휴 미 상공회의소장 등을 잇달아 면담하고 저녁에는 로버트 아인혼 전략국제연구소(CSIS) 고문, 스콧 스나이더 아시아재단 선임연구원, 마이클 그린 조지타운대 교수 등 한반도 전문가 20명과 만찬을 함께하며 한미동맹 등에 대해 의견을 나눌 예정이다.
유 장관이 특별히 관심을 갖고 있는 분야는 미국의 주요 싱크탱크이다. 유 장관은 최근 기자간담회에서 “그동안 한미관계에 신뢰가 부족하다는 지적이 있어 시간이 허락하면 미국의 싱크탱크 소속 인사들과 광범위하게 접촉하고 싶다”고 밝힌 바 있다.
유 장관은 27일에는 로버트 게이츠 미 국방장관과 스티븐 해들리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을 잇따라 만나고 존 햄르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 회장, 돈 오버도퍼 존스홉킨스대학 부설 한미연구소 소장 등 주요 싱크탱크 소속 인사들과 면담한다.
유 장관은 28일 뉴욕으로 이동, 도널드 그레그 코리아소사이어티 이사장과 찰스카트만 전 한반도에너지개발기구(KEDO) 사무총장을 만난 뒤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과의 만찬을 끝으로 방미일정을 마친 뒤 귀국한다.
김기수 기자 kskim@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