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포·의왕지역 5개 학교가 교복공동구매를 추진, 최근 공개입찰을 통해 업체선정을 마무리했지만 교복업체들은 이번 공동구매가 기존 교복시장구조를 무시한 채 진행, 일반 업체들의 피해가 불가피하다며 반발하고 있어 덤핑 등 후유증이 우려되고 있다.
군포·의왕지역 곡란 고천 백운 흥진 4개 중학교와 흥진고등학교 등 5개 학교는 최근 군포새교육공동체(상임대표 이상임) 지원으로 하복공동구매를 추진했다.
이들 학교는 학부모회를 중심으로 학교하복공동구매 추진위원회를 구성, 지난 3일 교복판매업체들을 대상으로 공동구매설명회를 갖고 7일 공개입찰을 통해 학교별로 교복제작업체를 선정했다.
군포새교육공동체 이상임 대표는 “부천 동여중 사례를 적용한 것으로 제한적 최저가 낙찰제는 투명성과 공정성을 최대한 기할 수 있는 방식”이라며 “교복 질도 3대 메이커 제품수준의 사양서를 기준으로 제공받기 때문에 문제가 없다”고 설명했다.
반면, 이번 공동구매과정에 대해 지역 교복업체 관계자들은 기존 교복시장의 구조를 무시한 채 공동구매가 진행되면서 중소업체들의 피해가 불가피하다고 지적했다.
업체 관계자들은 우선 교복공동구매 추진 시점의 문제를 지적했다. 학교별로 공동구매추진 여부가 4월말이나 5월에 결정되지만 업체들은 각 학교 교복을 3월말이면 이미 제작해 놓기 때문에 공동구매에 낙찰받지 못하면 그 학교 교복은 그대로 제고로 남게 된다.
중소업체 한 관계자는 “교복을 이미 다 만들어놓은 상태에서 공동구매를 추진하면 탈락한 나머지 업체는 모두 망하는 것 아니냐”며 “어차피 버릴 수밖에 없는 옷을 처리하려면 덤핑도 불가피한 상황”이라고 주장했다.
또한, 유명 메이커를 선호하는 학생들은 공동구매에 참여하지 않고 메이커를 찾기 때문에 오히려 공동구매로 타격을 입는 것은 중소규모 일반업체들이라고 덧붙였다.
대기업 메이커 제품판매업자들은 교복공동구매방식이 전체적으로 가격을 내리는 가격협상방향으로 진행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공동구매할 경우, 유명메이커도 10∼15% 할인이 가능한 만큼 최저가 단독 낙찰방식을 탈피하면 다양한 수준의 할인가격에 대기업제품과 일반제품을 소비자가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게 된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군포새교육공동체 이상임 대표는 “제고품도 할인없이 판매되는게 교복시장인데 업체들이 미리 생산한 것에 대해 소비자가 책임질 필요는 없다”며 “지난해 교복인하협상 당시 가격인하의사를 전혀 보이지 않아 입찰로 갈 수밖에 없었던 것”이라고 말했다.
또 현재 업체들에게 나서는 문제는 기존 교복시장구조 자체를 업체 스스로 잘못 만들어놓은 탓이라고 주장했다.
이 대표는 “교복공동구매는 소비자들이 싸고 좋은 물건을 구매하려는 기본 권리”라며 “기존의 잘못된 교복업체들의 생산·판매 구조를 소비자들의 요구에 맞게 재편해 나갈 수밖에 없는 것 아니냐”고 주장했다.
경기도교육청 관계자는 “교복 공동구매가 점차 확산되어 가고 있는 추세지만 기존에 형성된 시장구조속에서 업체들과의 마찰이 많다”며 “공동구매가 정착되기까지는 많은 시행착오를 겪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군포 곽태영 기자 tykwak@naeil.com
군포·의왕지역 곡란 고천 백운 흥진 4개 중학교와 흥진고등학교 등 5개 학교는 최근 군포새교육공동체(상임대표 이상임) 지원으로 하복공동구매를 추진했다.
이들 학교는 학부모회를 중심으로 학교하복공동구매 추진위원회를 구성, 지난 3일 교복판매업체들을 대상으로 공동구매설명회를 갖고 7일 공개입찰을 통해 학교별로 교복제작업체를 선정했다.
군포새교육공동체 이상임 대표는 “부천 동여중 사례를 적용한 것으로 제한적 최저가 낙찰제는 투명성과 공정성을 최대한 기할 수 있는 방식”이라며 “교복 질도 3대 메이커 제품수준의 사양서를 기준으로 제공받기 때문에 문제가 없다”고 설명했다.
반면, 이번 공동구매과정에 대해 지역 교복업체 관계자들은 기존 교복시장의 구조를 무시한 채 공동구매가 진행되면서 중소업체들의 피해가 불가피하다고 지적했다.
업체 관계자들은 우선 교복공동구매 추진 시점의 문제를 지적했다. 학교별로 공동구매추진 여부가 4월말이나 5월에 결정되지만 업체들은 각 학교 교복을 3월말이면 이미 제작해 놓기 때문에 공동구매에 낙찰받지 못하면 그 학교 교복은 그대로 제고로 남게 된다.
중소업체 한 관계자는 “교복을 이미 다 만들어놓은 상태에서 공동구매를 추진하면 탈락한 나머지 업체는 모두 망하는 것 아니냐”며 “어차피 버릴 수밖에 없는 옷을 처리하려면 덤핑도 불가피한 상황”이라고 주장했다.
또한, 유명 메이커를 선호하는 학생들은 공동구매에 참여하지 않고 메이커를 찾기 때문에 오히려 공동구매로 타격을 입는 것은 중소규모 일반업체들이라고 덧붙였다.
대기업 메이커 제품판매업자들은 교복공동구매방식이 전체적으로 가격을 내리는 가격협상방향으로 진행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공동구매할 경우, 유명메이커도 10∼15% 할인이 가능한 만큼 최저가 단독 낙찰방식을 탈피하면 다양한 수준의 할인가격에 대기업제품과 일반제품을 소비자가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게 된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군포새교육공동체 이상임 대표는 “제고품도 할인없이 판매되는게 교복시장인데 업체들이 미리 생산한 것에 대해 소비자가 책임질 필요는 없다”며 “지난해 교복인하협상 당시 가격인하의사를 전혀 보이지 않아 입찰로 갈 수밖에 없었던 것”이라고 말했다.
또 현재 업체들에게 나서는 문제는 기존 교복시장구조 자체를 업체 스스로 잘못 만들어놓은 탓이라고 주장했다.
이 대표는 “교복공동구매는 소비자들이 싸고 좋은 물건을 구매하려는 기본 권리”라며 “기존의 잘못된 교복업체들의 생산·판매 구조를 소비자들의 요구에 맞게 재편해 나갈 수밖에 없는 것 아니냐”고 주장했다.
경기도교육청 관계자는 “교복 공동구매가 점차 확산되어 가고 있는 추세지만 기존에 형성된 시장구조속에서 업체들과의 마찰이 많다”며 “공동구매가 정착되기까지는 많은 시행착오를 겪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군포 곽태영 기자 tykwak@naeil.com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