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의회 강창규 의원 지적 … 교육청 “공기질 적합판정”
민간투자건설사업(BTL)방식으로 건립된 인천지역 신설학교들이 짧은 기간에 공사가 진행돼 새학교증후군(SSS)에 노출될 우려가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인천시의회 강창규 의원은 6일 임시회 시정질문을 통해 “올해 개교한 학교 중 7개 초·중·고교의 공사기간이 10개월에 불과하고 개교 직전 준공돼 학생들이 새학교증후군에 노출될 우려가 있다”고 주장했다.
강 의원에 따르면 이달 문을 연 관내 12개 학교 가운데 7개 학교는 공사기간이 10개월로 모두 지난달 준공된 반면 다른 5개 학교는 11개월~1년2개월 간 공사해 지난해 하반기 완공됐다.
강 의원은 “학교건축물관리기본계획에는 최소한 개교 2개월 전부터 베이크아웃(Bake-out:고온난방 후 환기)을 실시토록 돼 있다”며 “날씨가 추운 2월에 준공한 학교들의 경우 베이크아웃을 해도 효과가 낮아 유해물질 잔류가능성이 높다”고 지적했다.
강 의원은 이에 따라 BTL방식의 학교건립사업에 대한 전면적인 평가와 보완책 마련을 인천시교육청에 요구했다.
이에 대해 시 교육청은 “7개 학교를 올해 무리하게 개교한 이유는 개교 연기 시 학부모들의 민원제기와 아파트 입주로 유입된 학생들의 수용문제 등을 고려한 것”이라면서 “3월 개교한 12개 학교 모두 전문기관의 실내공기질 측정 결과 적합판정을 받았다”고 해명했다.
또 시 교육청은 BTL사업에 대해서도 최소한 개교 1년 전 착공토록 하고, 불가능할 경우 학생수용계획을 변경해 차질이 없도록 보완하겠다고 밝혔다.
새학교증후군은 실내공기오염으로 학생과 교직원들에게 눈 코 목 등의 건조, 재채기, 코막힘, 피로, 두통, 구토 등의 증상이 나타나는 것을 말하며 새집증후군과 함께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인천 곽태영 기자 tykwak@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민간투자건설사업(BTL)방식으로 건립된 인천지역 신설학교들이 짧은 기간에 공사가 진행돼 새학교증후군(SSS)에 노출될 우려가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인천시의회 강창규 의원은 6일 임시회 시정질문을 통해 “올해 개교한 학교 중 7개 초·중·고교의 공사기간이 10개월에 불과하고 개교 직전 준공돼 학생들이 새학교증후군에 노출될 우려가 있다”고 주장했다.
강 의원에 따르면 이달 문을 연 관내 12개 학교 가운데 7개 학교는 공사기간이 10개월로 모두 지난달 준공된 반면 다른 5개 학교는 11개월~1년2개월 간 공사해 지난해 하반기 완공됐다.
강 의원은 “학교건축물관리기본계획에는 최소한 개교 2개월 전부터 베이크아웃(Bake-out:고온난방 후 환기)을 실시토록 돼 있다”며 “날씨가 추운 2월에 준공한 학교들의 경우 베이크아웃을 해도 효과가 낮아 유해물질 잔류가능성이 높다”고 지적했다.
강 의원은 이에 따라 BTL방식의 학교건립사업에 대한 전면적인 평가와 보완책 마련을 인천시교육청에 요구했다.
이에 대해 시 교육청은 “7개 학교를 올해 무리하게 개교한 이유는 개교 연기 시 학부모들의 민원제기와 아파트 입주로 유입된 학생들의 수용문제 등을 고려한 것”이라면서 “3월 개교한 12개 학교 모두 전문기관의 실내공기질 측정 결과 적합판정을 받았다”고 해명했다.
또 시 교육청은 BTL사업에 대해서도 최소한 개교 1년 전 착공토록 하고, 불가능할 경우 학생수용계획을 변경해 차질이 없도록 보완하겠다고 밝혔다.
새학교증후군은 실내공기오염으로 학생과 교직원들에게 눈 코 목 등의 건조, 재채기, 코막힘, 피로, 두통, 구토 등의 증상이 나타나는 것을 말하며 새집증후군과 함께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인천 곽태영 기자 tykwak@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