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복공동구매에 나선 군포·의왕지역 5개 학교가 공개입찰을 통해 업체를 선정하자 교복업체들은 이
번 공동구매가 기존 교복시장구조를 무시한 채 진행돼 일반 업체들의 피해가 불가피하다며 반발하
고 있어 덤핑 등 후유증이 우려되고 있다.
군포·의왕지역 곡란 고천 백운 흥진 4개 중학교와 흥진고등학교 등 5개 학교는 최근 군포새교육공동
체(상임대표 이상임) 지원으로 하복공동구매를 추진했다. 이들 학교는 학부모회를 중심으로 학교하
복공동구매 추진위원회를 구성, 지난 3일 교복판매업체들을 대상으로 공동구매설명회를 갖고 7일 공
개입찰을 통해 학교별로 교복제작업체를 선정했다.
군포새교육공동체 이상임 대표는 “부천 동여중 사례를 적용한 것으로 제한적 최저가 낙찰제는 투명
성과 공정성을 최대한 기할 수 있는 방식”이라며 “교복의 품질도 3대 메이커 제품수준의 사양서를
기준으로 제공받기 때문에 문제가 없다”고 설명했다.
반면, 이번 공동구매과정에 대해 지역 교복업체 관계자들은 기존 교복시장의 구조를 무시한 채 공동
구매가 진행되면서 중소업체들의 피해가 불가피하다고 반발하고 나섰다.
업체 관계자들은 우선 교복공동구매 추진 시점의 문제를 지적했다. 학교별로 공동구매추진 여부가 4
월말이나 5월에 결정되지만 업체들은 각 학교 교복을 3월말이면 이미 제작해 놓기 때문에 공동구매
에 낙찰받지 못하면 그 학교 교복은 그대로 제고로 남게 된다.
중소업체 한 관계자는 “어차피 버릴 수밖에 없는 옷을 처리하려면 덤핑도 불가피한 상황”이라고
주장했다.
또한, 유명 메이커를 선호하는 학생들은 공동구매에 참여하지 않고 메이커를 찾기 때문에 오히려 공
동구매로 타격을 입는 것은 중소규모 일반업체들이라고 덧붙였다.
대기업 메이커 제품판매업자들은 교복공동구매방식이 전체적으로 가격을 내리는 가격협상방향으로
진행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공동구매할 경우, 유명메이커도 10∼15% 할인이 가능한 만큼 최
저가 단독 낙찰방식을 탈피하면 다양한 수준의 할인가격에 대기업제품과 일반제품을 소비자가 자유
롭게 선택할 수 있게 된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군포새교육공동체 이상임 대표는 “제고품도 할인없이 판매되는게 교복시장인데 업체들
이 미리 생산한 것에 대해 소비자가 책임질 필요는 없다”며 “지난해 교복인하협상 당시 가격인하
의사를 전혀 보이지 않아 입찰로 갈 수밖에 없었던 것”이라고 말했다.
경기도교육청 관계자는 “교복 공동구매가 점차 확산되어 가고 있는 추세지만 기존에 형성된 시장구
조속에서 업체들과의 마찰이 많다”며 “공동구매가 정착되기까지는 많은 시행착오를 겪게 될 것”
이라고 말했다.
번 공동구매가 기존 교복시장구조를 무시한 채 진행돼 일반 업체들의 피해가 불가피하다며 반발하
고 있어 덤핑 등 후유증이 우려되고 있다.
군포·의왕지역 곡란 고천 백운 흥진 4개 중학교와 흥진고등학교 등 5개 학교는 최근 군포새교육공동
체(상임대표 이상임) 지원으로 하복공동구매를 추진했다. 이들 학교는 학부모회를 중심으로 학교하
복공동구매 추진위원회를 구성, 지난 3일 교복판매업체들을 대상으로 공동구매설명회를 갖고 7일 공
개입찰을 통해 학교별로 교복제작업체를 선정했다.
군포새교육공동체 이상임 대표는 “부천 동여중 사례를 적용한 것으로 제한적 최저가 낙찰제는 투명
성과 공정성을 최대한 기할 수 있는 방식”이라며 “교복의 품질도 3대 메이커 제품수준의 사양서를
기준으로 제공받기 때문에 문제가 없다”고 설명했다.
반면, 이번 공동구매과정에 대해 지역 교복업체 관계자들은 기존 교복시장의 구조를 무시한 채 공동
구매가 진행되면서 중소업체들의 피해가 불가피하다고 반발하고 나섰다.
업체 관계자들은 우선 교복공동구매 추진 시점의 문제를 지적했다. 학교별로 공동구매추진 여부가 4
월말이나 5월에 결정되지만 업체들은 각 학교 교복을 3월말이면 이미 제작해 놓기 때문에 공동구매
에 낙찰받지 못하면 그 학교 교복은 그대로 제고로 남게 된다.
중소업체 한 관계자는 “어차피 버릴 수밖에 없는 옷을 처리하려면 덤핑도 불가피한 상황”이라고
주장했다.
또한, 유명 메이커를 선호하는 학생들은 공동구매에 참여하지 않고 메이커를 찾기 때문에 오히려 공
동구매로 타격을 입는 것은 중소규모 일반업체들이라고 덧붙였다.
대기업 메이커 제품판매업자들은 교복공동구매방식이 전체적으로 가격을 내리는 가격협상방향으로
진행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공동구매할 경우, 유명메이커도 10∼15% 할인이 가능한 만큼 최
저가 단독 낙찰방식을 탈피하면 다양한 수준의 할인가격에 대기업제품과 일반제품을 소비자가 자유
롭게 선택할 수 있게 된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군포새교육공동체 이상임 대표는 “제고품도 할인없이 판매되는게 교복시장인데 업체들
이 미리 생산한 것에 대해 소비자가 책임질 필요는 없다”며 “지난해 교복인하협상 당시 가격인하
의사를 전혀 보이지 않아 입찰로 갈 수밖에 없었던 것”이라고 말했다.
경기도교육청 관계자는 “교복 공동구매가 점차 확산되어 가고 있는 추세지만 기존에 형성된 시장구
조속에서 업체들과의 마찰이 많다”며 “공동구매가 정착되기까지는 많은 시행착오를 겪게 될 것”
이라고 말했다.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