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재교육 대상 2012년 1%로 확대
영재학급 3배로 늘려 … 정규 교육과정에도 3곳 시범 운영
예술영재 학교선택권 확대 시 우선 선발 … 영재학교 전환 재추진
연합뉴스 박상돈 기자
서울시내 각급 학교의 방과후, 주말, 방학 등을 활용한 영재학급이 대폭 확대되고 정규 교육과정 안에서도 영재학급이 시범 운영된다. 일반계 고교의 학교선택권이 확대되는 2010년에는 예술 분야의 영재성을 지닌 중학생은 우선 선발하며 점차 수학·과학·정보 등 다른 영역으로 확대될 계획이다.
서울시교육청은 지난해 12월 당시 교육부가 발표한 ‘제2차 영재교육진흥종합계획’을 근거로 정규 교육과정 안에서 영재학급을 시범 운영하는 내용을 핵심으로 하는 ‘제2차 영재교육 종합 발전 계획’을 10일 발표했다.
시교육청은 현재 전체 학생의 0.32%(4600여명) 수준인 영재교육 대상자를 2012년 1%선인 1만3000여명 이상으로 확대하고 이를 위해 방과후, 방학 등을 활용한 영재학급을 현재 110개교 232학급에서 350개교 661학급으로 늘릴 계획이다.
또 방과후나 주말 등에 운영되는 영재학급과는 별도로 정규 교육과정 안에서 영재학급을 시범 운영키로 하고 우선 내년에 예술 분야의 영재학급을 초등학교와 고등학교 1곳씩 운영하며 중학교는 수학·과학 분야에서 1곳을 운영하기로 했다.
현재 영재교육기관은 부산의 한국과학영재학교 같은 정식 영재학교와 방학 등에 운영하는 영재학급, 각 시·도교육청과 지역교육청 등이 지원하는 영재교육원에서 운영된다.
정규 교육과정 안에서 영재학급을 시범 운영한 뒤 2010년 고교 학교선택권이 확대되는 시점에서는 예술 영역의 영재학급을 운영하는 학교를 5곳 정도로 확대하고 이들 학교에 대해서는 다른 학생에 앞서 우선적으로 선발할 방침이다.
이들 학교에 진학한 학생은 1학년 때 일반 학생과 함께 국민공통 기본과정을 이수하면서 특별활동·재량활동을 활용해 영재성을 기르다가 2, 3학년 때 별도의 영재학급에서 함께 본격적으로 영재교육을 받게 된다.
앞으로 수학, 과학, 예술 분야 뿐 아니라 발명, 체육 분야까지 영재교육을 확대하고 영재교육 대상자의 선발 시기는 영재성 검사 등을 통해 현행 초등 4학년에서 3학년으로 낮추고 예술 분야는 초등 1학년까지 낮추기로 했다.
소외계층 학생에 대한 영재교육 참여 기회를 보장하기 위해 정원의 10% 이내에서 별도의 선발전형 없이 추천서로만 선발하는 ‘리치아웃(Reach-Out)’ 프로그램이 도입된다.
영재교육을 담당한 교원은 2012년까지 4500여명을 양성하고 전문성 강화를 위해 전보인사에서 우대해 같은 학교에 오랜 기간 머무를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시교육청은 서울과학고를 내년 3월까지 서울과학영재학교로 전환하는 계획을 다시 추진한다. 서울시 지원을 받는 공립학교 형태로 전국 학생에 문호를 개방할 계획이다.
공정택 서울시교육감은 “이번 방안을 통해 각 분야에서 뛰어난 잠재력을 지닌 학생에게 더욱 많은 영재교육 기회를 줌으로써 국제 경쟁력을 갖춘 핵심 인재를 양성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영재학급 3배로 늘려 … 정규 교육과정에도 3곳 시범 운영
예술영재 학교선택권 확대 시 우선 선발 … 영재학교 전환 재추진
연합뉴스 박상돈 기자
서울시내 각급 학교의 방과후, 주말, 방학 등을 활용한 영재학급이 대폭 확대되고 정규 교육과정 안에서도 영재학급이 시범 운영된다. 일반계 고교의 학교선택권이 확대되는 2010년에는 예술 분야의 영재성을 지닌 중학생은 우선 선발하며 점차 수학·과학·정보 등 다른 영역으로 확대될 계획이다.
서울시교육청은 지난해 12월 당시 교육부가 발표한 ‘제2차 영재교육진흥종합계획’을 근거로 정규 교육과정 안에서 영재학급을 시범 운영하는 내용을 핵심으로 하는 ‘제2차 영재교육 종합 발전 계획’을 10일 발표했다.
시교육청은 현재 전체 학생의 0.32%(4600여명) 수준인 영재교육 대상자를 2012년 1%선인 1만3000여명 이상으로 확대하고 이를 위해 방과후, 방학 등을 활용한 영재학급을 현재 110개교 232학급에서 350개교 661학급으로 늘릴 계획이다.
또 방과후나 주말 등에 운영되는 영재학급과는 별도로 정규 교육과정 안에서 영재학급을 시범 운영키로 하고 우선 내년에 예술 분야의 영재학급을 초등학교와 고등학교 1곳씩 운영하며 중학교는 수학·과학 분야에서 1곳을 운영하기로 했다.
현재 영재교육기관은 부산의 한국과학영재학교 같은 정식 영재학교와 방학 등에 운영하는 영재학급, 각 시·도교육청과 지역교육청 등이 지원하는 영재교육원에서 운영된다.
정규 교육과정 안에서 영재학급을 시범 운영한 뒤 2010년 고교 학교선택권이 확대되는 시점에서는 예술 영역의 영재학급을 운영하는 학교를 5곳 정도로 확대하고 이들 학교에 대해서는 다른 학생에 앞서 우선적으로 선발할 방침이다.
이들 학교에 진학한 학생은 1학년 때 일반 학생과 함께 국민공통 기본과정을 이수하면서 특별활동·재량활동을 활용해 영재성을 기르다가 2, 3학년 때 별도의 영재학급에서 함께 본격적으로 영재교육을 받게 된다.
앞으로 수학, 과학, 예술 분야 뿐 아니라 발명, 체육 분야까지 영재교육을 확대하고 영재교육 대상자의 선발 시기는 영재성 검사 등을 통해 현행 초등 4학년에서 3학년으로 낮추고 예술 분야는 초등 1학년까지 낮추기로 했다.
소외계층 학생에 대한 영재교육 참여 기회를 보장하기 위해 정원의 10% 이내에서 별도의 선발전형 없이 추천서로만 선발하는 ‘리치아웃(Reach-Out)’ 프로그램이 도입된다.
영재교육을 담당한 교원은 2012년까지 4500여명을 양성하고 전문성 강화를 위해 전보인사에서 우대해 같은 학교에 오랜 기간 머무를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시교육청은 서울과학고를 내년 3월까지 서울과학영재학교로 전환하는 계획을 다시 추진한다. 서울시 지원을 받는 공립학교 형태로 전국 학생에 문호를 개방할 계획이다.
공정택 서울시교육감은 “이번 방안을 통해 각 분야에서 뛰어난 잠재력을 지닌 학생에게 더욱 많은 영재교육 기회를 줌으로써 국제 경쟁력을 갖춘 핵심 인재를 양성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